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ve on Influence of College Life Adjustment, Self-Efficacy, and Mother 's Rearing Attitud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0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 practical researches after extracting important variables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as a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adulthood based on social phenomenon and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plans to help to prepare the career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ch variable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s a main variable which was expected to influence college students to be independent, self-controlling, sound minded workers and citiz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study,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selected, 6 large universities having the colleges of natural sciences · engineering and humanities · social scienc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reg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 data of 506 college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As a study tool,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onsisting of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daptation scale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daptation scale to college life consisting of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consisting of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tool preparation activities’, and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ere appl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ces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ere conducted.
      First, what kind of correlation is observ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overall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Mother’s car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overprotect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st variable correlation was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self-efficacy, mother’s caring, and mother’s overprotectiveness.
      Second, how much is the influence of overall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model I apply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howed the explanation of 18.2%, model II adding self-efficacy showed 26.8%, and model III adding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the explanation of 28.6%.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ubordinate factor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first, model I for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6.8%, model II was 26.2% increased by 9.4% in comparison with model I. The explanation of model III little increased to 27.5%. Second,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ool preparation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2.7%, model II was 16.4%, and model III was 20.4%. Third, the explanation of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as 13.6%, model II was 21.6%, and model III was 22%.
      Third, with regard to the results, does self-efficacy mediate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and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does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mediat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under the influence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mother’s 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partially medicated.
      Finally,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time to choose the career suited to the aptitude and interests and practice the decision and through the study, mother’s rear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is limited to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ern Gyeonggi region, it failed to represent the who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up researches in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a variety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areer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 practical researches after extracting important variables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as a developmental stage of ea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 practical researches after extracting important variables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as a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adulthood based on social phenomenon and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plans to help to prepare the career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ch variable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s a main variable which was expected to influence college students to be independent, self-controlling, sound minded workers and citiz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study,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selected, 6 large universities having the colleges of natural sciences · engineering and humanities · social scienc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reg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 data of 506 college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As a study tool,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onsisting of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daptation scale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daptation scale to college life consisting of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consisting of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tool preparation activities’, and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ere appl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ces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ere conducted.
      First, what kind of correlation is observ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overall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Mother’s car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overprotect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st variable correlation was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self-efficacy, mother’s caring, and mother’s overprotectiveness.
      Second, how much is the influence of overall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model I apply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howed the explanation of 18.2%, model II adding self-efficacy showed 26.8%, and model III adding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the explanation of 28.6%.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ubordinate factor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first, model I for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6.8%, model II was 26.2% increased by 9.4% in comparison with model I. The explanation of model III little increased to 27.5%. Second,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ool preparation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2.7%, model II was 16.4%, and model III was 20.4%. Third, the explanation of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as 13.6%, model II was 21.6%, and model III was 22%.
      Third, with regard to the results, does self-efficacy mediate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and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does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mediat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under the influence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mother’s 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partially medicated.
      Finally,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time to choose the career suited to the aptitude and interests and practice the decision and through the study, mother’s rear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is limited to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ern Gyeonggi region, it failed to represent the who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up researches in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a variety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areer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발달단계인 대학생 시기에 중요한 변인들을 사회현상 및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추출한 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을 갖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입 방향 제시 및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심신이 건강한 직장인 및 시민으로 발달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주요변인‘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각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문·사회계열을 전공하는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기 남부에 소재한 자연·공학 및 인문·사회계열 단과대학이 모두 설치 되어있는 대규모 대학 6 곳을 목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총 50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 하위요인이 ‘돌봄’과 ‘과보호’로 구성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척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구성된 자기효능감척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적 적응’으로 구성된 대학생활적응척도와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으로 구성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어머니의 돌봄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는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이었으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의 돌봄, 부모의 과보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어머니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분석 결과는 대학생활적응만 투입한 모형Ⅰ은 18.2%의 설명력을 나타낸 반면, 자기효능감이 더해진 모형Ⅱ는 26.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해진 모형Ⅲ의 설명력은 28.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 하위요인들과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영향력를 탐색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로는 정보수집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6.8%, 모델Ⅱ의 설명력은 26.2%로 모델Ⅰ보다 9.4%가 높아졌다. 또 모델Ⅲ의 설명력은 27.5%로 소폭 증가하였다. 둘째로 도구구비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2.7%로 나타났으며, 모델Ⅱ에서는 16.4%, 모델Ⅲ에서는 20.4%로 나타났다. 셋째로 목표달성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3.6%, 모델Ⅱ는 21.6%, 모델Ⅲ은 22%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활적응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적성과 관심에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사항을 실행하여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이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기남부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연구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대학생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 진로발달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러 각도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발달단계인 대학생 시기에 중요한 변인들을 사회현상 및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추출한 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을 갖는 요인들을 ...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발달단계인 대학생 시기에 중요한 변인들을 사회현상 및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추출한 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을 갖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입 방향 제시 및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심신이 건강한 직장인 및 시민으로 발달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주요변인‘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각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문·사회계열을 전공하는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기 남부에 소재한 자연·공학 및 인문·사회계열 단과대학이 모두 설치 되어있는 대규모 대학 6 곳을 목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총 50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 하위요인이 ‘돌봄’과 ‘과보호’로 구성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척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구성된 자기효능감척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적 적응’으로 구성된 대학생활적응척도와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으로 구성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어머니의 돌봄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는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이었으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의 돌봄, 부모의 과보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어머니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분석 결과는 대학생활적응만 투입한 모형Ⅰ은 18.2%의 설명력을 나타낸 반면, 자기효능감이 더해진 모형Ⅱ는 26.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해진 모형Ⅲ의 설명력은 28.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 하위요인들과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영향력를 탐색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로는 정보수집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6.8%, 모델Ⅱ의 설명력은 26.2%로 모델Ⅰ보다 9.4%가 높아졌다. 또 모델Ⅲ의 설명력은 27.5%로 소폭 증가하였다. 둘째로 도구구비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2.7%로 나타났으며, 모델Ⅱ에서는 16.4%, 모델Ⅲ에서는 20.4%로 나타났다. 셋째로 목표달성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3.6%, 모델Ⅱ는 21.6%, 모델Ⅲ은 22%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활적응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적성과 관심에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사항을 실행하여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이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기남부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연구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대학생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 진로발달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러 각도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i
      • 표 목 차 v
      • 그림목차 v
      • Ⅰ. 서 론
      •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
      • 국문요약 i
      • 표 목 차 v
      • 그림목차 v
      • Ⅰ. 서 론
      •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 1. 부모양육태도 10
      • 2. 대학생활적응 15
      • 3. 자기효능감 18
      • 4. 진로준비행동 22
      • 5. 선행연구를 통한 변인들 간의 관계 25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31
      • 2. 연구 도구 32
      • 3. 자료 수집 및 분석 35
      • Ⅳ. 연구결과
      • 1. 대학생이 회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과보호),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37
      • 2.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과보호), 일반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41
      • 3.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 상대적 영향력 비교 46
      • 4.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검증 47
      • 5.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 효과 검증 50
      • Ⅴ. 논의 및 결론
      • 1. 논의 53
      • 2. 결론 58
      • 참고문헌 60
      • 부 록 83
      • Abstract 9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계수, "통계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008

      2 김병석, 정철영,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2000

      3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164&cid=41991&categoryId=41991, 2014

      4 권석만, "인간관계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7

      5 김계수, "조사연구방법론",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1

      6 김봉환, "등 진로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2010

      7 윤운성, "에니어그램 이해", 서울: 학지사, 1999

      8 최정훈, "“지각향성검사”", 표준화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9(1), 87-101, 1972

      9 Atwater, E., "김인자 역, 적응 심리",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004

      10 류성진, "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3

      1 김계수, "통계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008

      2 김병석, 정철영,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2000

      3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164&cid=41991&categoryId=41991, 2014

      4 권석만, "인간관계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7

      5 김계수, "조사연구방법론",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1

      6 김봉환, "등 진로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2010

      7 윤운성, "에니어그램 이해", 서울: 학지사, 1999

      8 최정훈, "“지각향성검사”", 표준화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9(1), 87-101, 1972

      9 Atwater, E., "김인자 역, 적응 심리",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004

      10 류성진, "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3

      11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64, 1996

      12 신건권,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서울: 청람, 2013

      13 김민규, 홍세희,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4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2016

      15 한상길, "대학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연구", 한국교육, 23(1), 107-139, 1996

      16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오해와 편견”",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4

      17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4

      18 윤미선, "학교학습에서의 개인차에 대한 이해", 교육방법연구, 20(1), 23-47, 2008

      19 김미애, 이보라, 이기학, "외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 교, 2(1), 99-112, 2005

      20 곽금주, "흔들리는 20대: 청년기 생애설계 심리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21 장택원, "년). 세상에서 가장 쉬운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22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2015

      23 임정하, 정옥분, "한국적 양육행동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11(4), 55-73, 2004

      24 박혜영, 황매향,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학교적응도와의 관계", 직업 능력개발연구, 8(2), 157-176, 2005

      25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1997

      26 배성희, 양난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56(1), 339-370, 2017

      27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서울: 한빛아카데미, 2014

      28 이창호, 한덕웅, 전겸구, "한국 대학의 생활환경 변화와 대학생활 적응",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1(1), 259-266, 1991

      29 김계현, 황매향, 선혜연, 김영빈, "대학생 학교생활 적응검사의 예언 타당도 연구", 상담 학연구, 6(4), 1103-1117, 2005

      30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0

      31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 음악의 치료적 사용", 한국예술연구, (6), 99-116, 2012

      32 남현주, "애착이론에서 내적 작동 모델의 본질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 발표논문집, 2013, 521-522, 2013

      33 최선미, "전문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4), 2556-2563, 2015

      34 정승환, "지각된 부모-자녀 관계와 대학생의 우울증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 위논문, 1998

      35 이재명,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2, 1-18, 2009

      36 임수진,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49-363, 2015

      37 최윤경,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8 유수복, "진로성숙도 유형에 따른 빈곤아동의 동질집단 특성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013(41), 67-100, 2013

      39 교육부, "2015년 OECD 교육지표 조사결과 발표 보도자료(2015. 11.24일자)", 2015

      40 대학내일20대연구소, 청년유니온,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2017 진입경로별 공시준비 청년층 현황 및 특성연구보고서>", Issue, 2017-02 호, 2017

      41 이승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격특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교육연장, 1(20), 85-104, 2001

      42 한애리, "대학생의 취업성과의 관련 영향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3 한상길, "미국의 대학확장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44 권순명, "지각된 양육 경험과 자아 정체감 및 통제 귀인간의 관계분석", 전북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3

      45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2004

      46 박용한, 정은이, ", 대학생들의 교수신뢰와 학습동기 및 대학 생활적응과의 관계", 아시 아교육연구, 9(1), 73-93, 2008

      47 최항석, "교육정상화를 위한 학벌사회의 해체에 관한 성인교육학적 연구",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0(2), 189-212, 2007

      48 이한샘, "대학생이 인식하는 주요 발달과업과 대학생의 적응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9 장연주, "성인애착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7

      50 김수정, 조민경, 송성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변인 연구", 진로교육연구, 26(4), 85-107, 2013

      51 윤영미,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과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 지역사 회발전학회논문집, 38(2), 21-30, 2013

      52 백지숙,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 관리학회지, 18(1), 127-137, 2000

      53 강명숙,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4 장지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및 애착과의 관계", 연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3

      55 김유진, 김현영,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미 래교육연구, 8(2), 51-76, 2018

      56 김연화, 유경미, "대학생의 사회비교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1(4), 107-132, 2014

      57 이영민, 임정연, "대학생의 개인특성 및 학교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결정요인 분석", 평생교육ㆍ HRD 연구, 7(4), 89-118, 2011

      58 이시은,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또래애착의 차이", 한국심 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2), 481-500, 2009

      59 김영혜, 안현의, "사회인지진로 이론적 관점에 근거한 국내 진로발달연구의 동향 분 석", 진로교육연구, 25(4), 1-18, 2012

      60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97

      61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5

      62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 결정수준과 진로준비 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 적 유형화",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1997

      63 박초희, "대학생의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성균관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4 강혜원, 홍계옥, "대학생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13, 133-144, 2010

      65 권혁철, 이영순, 오남경,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리개별화 및 대인관계문제 의 관계", 재활심리연구, 19(1), 85-102, 2012

      66 윤미선, "중학생의 영어 교과유능감 및 학습동기 발달경향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교 육학연구, 17(1). 294-320, 2011

      67 백운호, "고독감 수준에 따른 대학신입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1

      68 강효주, "대인관계성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9

      69 서진숙,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8

      70 문한식, "초등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경험과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와의 관계", 한국 체육과학회지, 20(5), 347-361, 2011

      71 문명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애착과 진로기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 년학연구, 22(7), 221-245, 2015

      72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일립 논총, 8, 9-34, 2002

      73 최옥현,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 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숙 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74 김봉환, 최옥현,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 향", 상담학연구, 8(3), 1063-1084, 2007

      75 허승연, "부모의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및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아 동복지연구, 4(3), 129-147, 2006

      76 김의철, 박영신,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95-165, 2009

      77 김미영, 정덕유, 박효정,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5(4), 513-521, 2008

      78 박범혁,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6

      79 김은영,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2

      80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 구성과의 비교분석", 취 업진로연구, 3(1), 49-66, 2013

      81 서영석, 조화진,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411, 2010

      82 김정희, 이장호, "김성태교수 화갑기념 특집/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 의 관계", 행동과학연구, 7(0), 127-138, 1985

      83 권재환, 이성주,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기통제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4(2), 35-62, 2013

      84 김기섭, 한광령, 김지혜, 김우석, "무용전공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4(3), 49-66, 2011

      85 문혁준,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 효능감이 자녀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6), 97-107, 1999

      86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1

      87 김옥태, 이승희, "체육계열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53-67, 2011

      88 김희수,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3(3), 63-88, 2005

      89 권재환, 박희현, "부모의 양육태도, 교수의 지지 및 학습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 모형 검증", 인간발달연구, 21, 55-73, 2014

      90 서혜진, "성격강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역경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 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91 디아오 리 쥔, "한국과 중국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기대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교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2 송지영, "한국판 부모ᅳ자녀 결합 형태 검사 (Parental Bonding Instrument): 신뢰도 및 타 당도검증", 신경정신의학, 31, 979-992, 1992

      93 김성환, 이종훈,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ㆍ HRD 연구, 14(2), 77-96, 2018

      94 박효희, 성태제, "성별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 부모-청소년 자녀 유대가 미치는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19(1), 117-142, 2008

      95 김선희, 주민선, 이영란, ".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 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1), 172-182, 2013

      96 이은주, 최효진, "간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9(2), 261-268, 2012

      97 금지헌, "초등교육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 및 부모애착 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4(2), 45-57, 2013

      98 김현숙,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무용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36(0), 5-19, 2003

      99 이찬숙, 이혜경,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K 전문대학 교 신입생을 중심으로", 대학생활연구, 20(1), 19-31, 2014

      100 윤미숙, "전문대학 졸업예정자의 취업행동과 개인 및 조직 변인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1 배영문, 정봉희, 이영순,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7(1), 57-74, 2008

      102 송승민, 이사라, 송애란, "영아의 기질, 교사의 민감성 및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영아 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5(1), 37-53, 2015

      103 정은선,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 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04 김수리, 이재창,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 사고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93-407, 2007

      105 서우석,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존중 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4), 149-171, 2015

      106 김의철, 한기혜, 박영신, "한국인의 성취의식 탐구: 성공, 실패, 미래성취의식에 대한 10 여 년 간의 연구의 통합적 분석", 교육학연구, 50(3), 51-89, 2012

      107 김영혜, "대학생의 부모-자녀 유대와 진로결정 관계에서 성취압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 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08 윤석은, 하창순, "특성화고 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성 관계: 정서지능, 진로결정자 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6), 239-256, 2017

      109 김지언, 어성연, "대학생활적응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 몰입 수준, 친구관계,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 55-74, 2015

      110 오경화, "부모의 양육태도가 한 중 대학생의 생활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호 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11 강주현, "대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2 하수정, "유아기 수줍음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대학생의 협조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13 구본용, 유제민, "진로상담: 부모의 긍정적 관여와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1), 171-187, 2010

      114 옥정,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영향: 또래애착 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3(3), 116-123, 2013

      115 강영배, 윤지온,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성취목표지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 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분석", 청소년문화포럼, 54, 155-183, 2018

      116 류진숙,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가족탄력성, 자기결정성 및 진로결정 몰입과 진로준비행 동 간의 구조적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17 강문희, 심호규, "부모의 애착수준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심리치료, 7(1), 1-17, 2007

      118 장효임,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부적응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 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19 윤석주, "전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부모 양육태도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20 신지연,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 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대구카톨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4

      121 곽윤영, 정문자,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 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1(3), 121-141, 2010

      122 명대정, "상담자의 직무충족에 미치는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영 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23 김영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구조관 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24 김미숙, 박완성,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 수도권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2(4), 85-108, 2009

      125 박수영, "공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 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26 최인선,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사회적 지지의 매 개효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27 신정인, "대학생의 대상관계가 긍정적 심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리개별화,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28 김민정,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 의사결정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29 노승현, "기본심리욕구와 게임전략유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게임몰임경험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30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 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1 김민정, 박소영, "대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및 지각된 진로장애의 관 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0(1), 162-180, 2017

      132 김현희, "요양보호사 치매지식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돌봄 이행에 미치 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3 손상희,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 어머니의 정서표현을 매개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4 정인숙,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관계적 특성으로 인한 부모-자녀 동반의존증에 대한 목 회상담적 치유 방안 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35 김현희,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 준비행동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36 강혜순, "항공 관광서비스 전공자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 유형에 미치는 형향 분 석: 학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37 김경욱, "자기효능감과 불확실성에 대한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 료, 21(2), 501-519, 2009

      138 류현강,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이 유아 공감능력에 미 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39 노윤신,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불확실성 불관용,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 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40 방한승,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41 정희연, "여성폭력 상담소 종사자들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 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