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내 만호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 Vascular Plants of Mt. Manhobong in Mt.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1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 of Gyeongju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t. Manhongbong (522 m).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orm May 2012 to August 2017. The vascular plants on this site was classified as follow.
      Based on voucher specimens, the vascular plants of this site consisted of 91 families, 292 genera, 397 species, 4 subspecies, 48 varieties and 8 forms. The 2 taxa of threatened species, 11 taxa of rare plants and 14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totally 39 taxa, which were 3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IV, 2 taxa of grade III, 11 taxa of grade II and 18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33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7.2%, and urbanized index (UI) was 10.3%, respectively.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 taxa,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 of Gyeongju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t. Manhongbong (522 m).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 of Gyeongju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t. Manhongbong (522 m).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orm May 2012 to August 2017. The vascular plants on this site was classified as follow.
      Based on voucher specimens, the vascular plants of this site consisted of 91 families, 292 genera, 397 species, 4 subspecies, 48 varieties and 8 forms. The 2 taxa of threatened species, 11 taxa of rare plants and 14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totally 39 taxa, which were 3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IV, 2 taxa of grade III, 11 taxa of grade II and 18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33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7.2%, and urbanized index (UI) was 10.3%, respectively.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 taxa,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토함산지구 내 만호봉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경주국립공원의 생태계를 관리 및보전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2012년 5월부터2017년 8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기초로 관속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1과 292속397종 4아종 48변종 8품종 등 총 45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 2분류군,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9 분류군으로, V등급은 3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2 분류군, II등급은 11분류군, I등급은 18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33분류군이고 귀화율(NI)과 도시화지수(UI)는 각 7.2%, 10.3% 이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토함산지구 내 만호봉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경주국립공원의 생태계를 관리 및보전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2012년 5월부터2017년 8...

      본 연구는 토함산지구 내 만호봉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경주국립공원의 생태계를 관리 및보전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2012년 5월부터2017년 8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기초로 관속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1과 292속397종 4아종 48변종 8품종 등 총 45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 2분류군,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9 분류군으로, V등급은 3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2 분류군, II등급은 11분류군, I등급은 18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33분류군이고 귀화율(NI)과 도시화지수(UI)는 각 7.2%, 10.3% 이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규영, "한반도 특산식물 목록" 한국식물분류학회 47 (47): 264-288, 2017

      2 정지영, "한반도 특산식물 꼬리말발도리 개체군 구조 및 서식지 특성"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31-41, 2016

      3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4 손성원, "한국 특산식물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구조"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310-319, 2013

      5 변준기, "한국 내 애기송이풀 자생지역의 식생구조"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214-226, 2013

      6 한병우, "진도(전라남도 진도군)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31 (31): 162-194, 2018

      7 한윤희, "전북 모악산 애기등 자생지의 환경생태적 특성 분석" 한국자연보호학회 9 (9): 105-116, 2015

      8 송재모, "석회암지대 석병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9 (29): 241-263, 2016

      9 윤정원, "경주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남산, 토함산, 단석산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170-195, 2013

      10 유주한,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7-35, 2011

      1 정규영, "한반도 특산식물 목록" 한국식물분류학회 47 (47): 264-288, 2017

      2 정지영, "한반도 특산식물 꼬리말발도리 개체군 구조 및 서식지 특성"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31-41, 2016

      3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4 손성원, "한국 특산식물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구조"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310-319, 2013

      5 변준기, "한국 내 애기송이풀 자생지역의 식생구조"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214-226, 2013

      6 한병우, "진도(전라남도 진도군)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31 (31): 162-194, 2018

      7 한윤희, "전북 모악산 애기등 자생지의 환경생태적 특성 분석" 한국자연보호학회 9 (9): 105-116, 2015

      8 송재모, "석회암지대 석병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9 (29): 241-263, 2016

      9 윤정원, "경주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남산, 토함산, 단석산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170-195, 2013

      10 유주한,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7-35, 2011

      11 문성주, "경주국립공원 탐방로의 훼손실태 분석 - 토함산, 남산, 단석산, 구미산 지구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1 (41): 31-42, 2013

      12 유주한, "경주국립공원 서악 지구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13-33, 2014

      13 강현미,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787-800, 2012

      14 윤정원,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의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550-558, 2012

      15 문성주, "경주국립공원 도심 지역 내 탐방로의 자연도 평가 - 소금강 지구, 화랑 지구, 서악 지구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2 (22): 303-317, 2013

      16 유주한,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30 (30): 507-521, 2017

      17 유주한, "경주국립공원 내 주요습지의 관속식물상- 토함산습지, 암곡습지, 남산습지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1 (21): 41-54, 2018

      18 유주한, "경주국립공원 구미산 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8 (28): 511-525, 2015

      19 Ministry of Environment, "The Conservation Plan of Ecosystem According to Inflow of Exotic Species" Ministry of Environment 30-, 2014

      20 Korea Forest Service.,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332-, 2009

      21 Lee, C.S,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Publishing Co 471-, 2015

      22 Park, S.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 575-, 2009

      23 Lee, Y.N, "New Flora of Korea, Vol I,II" Kyo-Hak Publishing Co 2006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39-195, 2014

      25 Kim, J.Y, "Growth environments of Cypripedium macranthum Sw. habitats in Korea" 16 (16): 30-32, 1998

      26 Cho, Y.H,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Publishing Co 527-, 2016

      27 Kwon, S.Y,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site of forest ecosystem improvement in Gyeongju National Park" 8 (8): 121-132, 2017

      28 Korea National Arboretum,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206-, 2005

      29 Yim, Y.J,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23 (23): 69-83, 1980

      30 김상준, "DMZ 접경지역 인근 사명산(양구군, 강원도) 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30 (30): 191-212, 2017

      31 Lee, T.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I" Hyangmunsa 2003

      32 Kim, C.H,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18 (18): 163-198, 2000

      33 Korea National Arboretum.,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34 Ministry of Environment,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185-215, 2012

      35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666-,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