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자주 일어나는 분노라는 감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분노유발상황에 대...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자주 일어나는 분노라는 감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분노유발상황에 대한 반응과 분노를 조절하는 능력,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아동이 분노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인 오류를 알고 그 오류의 수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있는 아동의 분노통제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러한 연구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분노통제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2.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분노조절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가?
3.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개선에 효과적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는 분노의 개념과 분노의 유발원인, 공격성의 개념과 공격성의 유발원인, 분노와 공격성의 개념, 또래관계의 개념과 분노와 또래관계의 관계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2, 3학년 남·여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분노유발상황검사, 분노조절능력검사,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하여 검사결과의 상위 20%아동인 30명을 선정하여 아동을 개별적으로 만나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목적과 과정을 설명 한 후, 프로그램의 취지에 동의하고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며 동시에 부모가 동의한 아동 2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분노조절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회기 진행시간은 약 50분이다. 각 회기마다 도입활동과 본활동, 마무리 활동의 3단계로 진행이 되었으며 회기의 도입부분에서는 지난 시간을 회상하고 회기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다음 회기의 활동에 대해서 소개를 하였다. 그리고 각 회기에서 다룬 내용을 토대로 과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첫째, Novaco(1994)가 제작한 Novaco Anger Scale(NAS)를 남궁희승(1997)이 번안 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크게 인지영역과 행동영역으로 나뉘며 인지영역에는 주의의 초점, 의심, 반추, 적대적 태도가 있고 행동영역에서는 충동반응, 언어적공격, 신체적대결, 간접적표현이 포함된다. 둘째, 분노조절 능력 검사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분노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Morganett(1994)이 제작한 분노조절검사이다. 셋째,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는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제의 지속과 적응, 친구와의 공동생활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김영진(2005)이 수정하고 보완한 것을 연령을 고려하여 단어를 교정하고 문항수를 10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분석은 분노검사, 분노조절검사,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의 검사결과를 통계적 분석 SPSS 14.0/WIN를 이용하여 paired t-test 통계 처리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아동은 사전 분노유발상황검사(M=82.00)와 사후 분노유발상황검사(M=50.00)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전 분노조절검사(M=17.40)와 사후 분노조절검사(M=42.20)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사전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검사(M=19.20)와 사후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검사(M=38.65)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공격성향을 가진 초등학교 아동들의 분노유발상황에서의 분노유발경험의 감소, 분노조절능력의 향상,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