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 궁정희 「보공대제(報功大祭)」속 선농단(先農壇) 제사 퍼포먼스를 통해 본 청 황실의 문화 정체성 = Cultural identity of the Qing royal family seen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Tribute at the Xiannong Altar(先農壇) in the Snow Appreciation Play Baogongdaji(報功大祭)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48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 궁정희 속에 투된 청대 오례(五禮) 문화 연구’라는 주제 하에 상설절희 「보공대제(報功大 祭)」 속에 재현된 길례(吉禮) 선농단(先農壇) 제사를 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보공대제」는 현재 중국국가 도서관에 소장된 건륭 연간 월령승응희(月令承應戱) 작품집 󰡔절절호음(節節好音)󰡕 제29책에 수록되어 있다. 한나라 태상시정경(太常寺正卿)인 숙손통(叔孫通)이 서설이 내린 납일에 황명을 받들어 선농단으로 가서 제 사를 지내는 이야기를 상세히 묘사하고 있어, 국가 제례인 ‘길례’ ‘중사(中祀)’ 중 선농단 제례 문화와 그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셰크너(Schechner)의 ‘퍼포먼스 연구’에 따르면 모든 연극과 의례는 그 사회의 문화를 반하는 ‘문화 적 퍼포먼스’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공대제」에 반된 선농단 제의의 ‘복원된 행동’을 통해, 청 황실에서 선농단 제의를 사회적 변화와 통치자의 목적에 따라 어떻게 변형하고 전승했는지를 분석하다. 「보공대제」에는 제품(祭品)부터 총 12단계로 펼쳐지는 구체적 제례(祭禮) 순서, 축문(祝文)까지 소상하게 묘사하고 있어, 연극이라기보다 관객들에게 마치 실제 선농단 제사를 관람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 그 러나 실제 의례를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 상징적으로 무대에서 구현하고 있다. 한편, 명·청의 정사 및 전례서를 참고하면, 선농 제사가 고도로 정식화 된 명·청 시기의 선농단 제사는 모두 그 제사일이 중춘 또는 계춘의 길일로서 봄에 제사를 거행한 반면, 「보공대제」 속 제사일은 상설일이자 납일인 겨울, 연말이라는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연말 감사 제례인 ‘팔사(八蜡)’ 풍속과 관련이 깊은데, 주나라 때부터 시작되었으며 본래 국가 주요 제례 활동이던 것이 농업 생산의 발전 및 국가의 선농 염제(炎帝)에 대 한 숭배가 강화되면서 점차 관방 제사 속에서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보공대제」 속 납일 선농 제사는 과거 연말에 거행된 팔사 제사의 반이자, 팔사의 대표 격인 선농에게 ‘추보(秋報)’하는 제사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보공대제」는 상설일 혹은 납일에 청 황실의 궁정 무대에서 공연되며, 주요 관객인 황제, 황후 및 비빈들, 왕공대신, 외번(外藩)이나 외국의 사신 등이 함께 선농단 제례를 되새기는 동시에 신농신에게 일 년의 풍작에 대해 감사하며 한 해를 마무리하는 의식이었다. 즉, 「보공대제」 공연은 역대 혹은 청나라 길례, 중사 제례인 선농단 제사를 있는 모습 그대로 반복 재현하기보다는 무대 및 배우들의 직접적 향과 공연을 관람하는 청 황실 통치자들의 신분이 가져온 간접적 향을 받아 새롭게 재현되는 기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청 황실에 의해 새롭게 정의되고 재현된 선농단 의례는 대청제국의 문화 정체성을 드러내며, 청나라의 정치와 문화를 반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 궁정희 속에 투된 청대 오례(五禮) 문화 연구’라는 주제 하에 상설절희 「보공대제(報功大 祭)」 속에 재현된 길례(吉禮) 선농단(先農壇) 제사를 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

      본 연구는 ‘청 궁정희 속에 투된 청대 오례(五禮) 문화 연구’라는 주제 하에 상설절희 「보공대제(報功大 祭)」 속에 재현된 길례(吉禮) 선농단(先農壇) 제사를 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보공대제」는 현재 중국국가 도서관에 소장된 건륭 연간 월령승응희(月令承應戱) 작품집 󰡔절절호음(節節好音)󰡕 제29책에 수록되어 있다. 한나라 태상시정경(太常寺正卿)인 숙손통(叔孫通)이 서설이 내린 납일에 황명을 받들어 선농단으로 가서 제 사를 지내는 이야기를 상세히 묘사하고 있어, 국가 제례인 ‘길례’ ‘중사(中祀)’ 중 선농단 제례 문화와 그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셰크너(Schechner)의 ‘퍼포먼스 연구’에 따르면 모든 연극과 의례는 그 사회의 문화를 반하는 ‘문화 적 퍼포먼스’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공대제」에 반된 선농단 제의의 ‘복원된 행동’을 통해, 청 황실에서 선농단 제의를 사회적 변화와 통치자의 목적에 따라 어떻게 변형하고 전승했는지를 분석하다. 「보공대제」에는 제품(祭品)부터 총 12단계로 펼쳐지는 구체적 제례(祭禮) 순서, 축문(祝文)까지 소상하게 묘사하고 있어, 연극이라기보다 관객들에게 마치 실제 선농단 제사를 관람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 그 러나 실제 의례를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 상징적으로 무대에서 구현하고 있다. 한편, 명·청의 정사 및 전례서를 참고하면, 선농 제사가 고도로 정식화 된 명·청 시기의 선농단 제사는 모두 그 제사일이 중춘 또는 계춘의 길일로서 봄에 제사를 거행한 반면, 「보공대제」 속 제사일은 상설일이자 납일인 겨울, 연말이라는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연말 감사 제례인 ‘팔사(八蜡)’ 풍속과 관련이 깊은데, 주나라 때부터 시작되었으며 본래 국가 주요 제례 활동이던 것이 농업 생산의 발전 및 국가의 선농 염제(炎帝)에 대 한 숭배가 강화되면서 점차 관방 제사 속에서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보공대제」 속 납일 선농 제사는 과거 연말에 거행된 팔사 제사의 반이자, 팔사의 대표 격인 선농에게 ‘추보(秋報)’하는 제사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보공대제」는 상설일 혹은 납일에 청 황실의 궁정 무대에서 공연되며, 주요 관객인 황제, 황후 및 비빈들, 왕공대신, 외번(外藩)이나 외국의 사신 등이 함께 선농단 제례를 되새기는 동시에 신농신에게 일 년의 풍작에 대해 감사하며 한 해를 마무리하는 의식이었다. 즉, 「보공대제」 공연은 역대 혹은 청나라 길례, 중사 제례인 선농단 제사를 있는 모습 그대로 반복 재현하기보다는 무대 및 배우들의 직접적 향과 공연을 관람하는 청 황실 통치자들의 신분이 가져온 간접적 향을 받아 새롭게 재현되는 기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청 황실에 의해 새롭게 정의되고 재현된 선농단 의례는 대청제국의 문화 정체성을 드러내며, 청나라의 정치와 문화를 반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nder an overall Study on the Culture of Orye in the Palace Dramas of Qing Dynasty, emphasizes the ji rite of the Tribute at the Xiannong Altar(先農壇), which is re-enacted in the snow appreciation play Baogongdaji( 報功大祭 ) . Baogongdaji is recorded in the twenty-ninth book of the Qianlong period festival court play Jiejiehaoyin( 節絶好音 ) , which is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NLC). The play portrays a detailed description of Shu Suntong(叔 孫通), Chief Minister of Taichang Temple during the Han Dynasty, performing an ancestral tribute at Xiannong Altar under imperial mandate on a timely snow during La ri(臘日). Hence, the play increases understanding of the Xiannong Altar ancestral rite of the national ancestral rite ji rite middle service and reveals the transformations within such a culture. Meanwhile, according to Schechner in Performance Studies, all plays and rites embody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mplex performance,” which reflects a society’s culture. Thus, this study, through the “restored behaviors” of the Xiannong Altar rites depicted in Baogongdaji , seeks to analyze how the original Qing Dynasty ji rite, the middle service Xiannong ancestral rite formalities, was transformed and is being passed down based on the time’s society, historical environment, and the ruler’s motives. Because Baogongdaji meticulously portrays the food offering used in ancestral tributes, the sixteen steps of the formalities, and the tribute prayers, it gives the audience a similar experience to witnessing a Xiannong Altar tribute rather than a play. However, instead of explicitly depicting the actual formalities, it symbolically re-enacts on stage. Ming-Qing history (the period when Xiannong Altar tributes became formalized) and ceremonial protocol manuals reveal that Ming-Qing Xiannong Altar tributes and the Xiannong Altar tribute depicted in Baogongdaji differ in that while the former occurred during middle or late spring, thelatter occurs during snow appreciation on La ri, which is in winter near the end of the year. Ba la, an end-of-the-year thanksgiving ancestral ceremony, started as an important national custom of the Zhou Dynasty, but gradually disappeared from the national ancestral tributes as agricultural production advanced and worship of the nation’s Shen Nong, The Emperor Yan, was reinforced. Therefore, the La ri Xiannong tribute in Baogongdaji is a reflection of the antecedent end-of-the-year ancestral tribute of Ba la and is an ancestral tribute giving “autumn thanksgiving” to the representative Shen Nong of Ba la(八臘). Thus, Baogongdaji was a ceremony that was performed on Snow Day or La ri in the Qing Dynasty palace for an audience of the Emperor, Empress and the royal concubines, royal lords, foreign guests, and foreign ambassadors, in which they recollected the Xiannong Altar tribute ceremony and ended the year giving thanks to Shen Nong for the year’s harvest. Hence, Baogongdaji , instead of explicitly presenting and duplicating the actual formalities of the Tribute at the Xiannong Altar, which is a middle service rite and an antecedent or Qing Dynasty ji rite, reinvents the remembrance of the Tribute through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tage and performers and the indirect influence of the Qing Dynasty rulers’ status. Accordingly, the Xiannong Altar ceremony, which is newly defined and depicted as such, reveals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Qing Empire and reflects the politics and culture of the Qing Dynasty.
      번역하기

      This study, under an overall Study on the Culture of Orye in the Palace Dramas of Qing Dynasty, emphasizes the ji rite of the Tribute at the Xiannong Altar(先農壇), which is re-enacted in the snow appreciation play Baogongdaji( 報功大祭 ) . Bao...

      This study, under an overall Study on the Culture of Orye in the Palace Dramas of Qing Dynasty, emphasizes the ji rite of the Tribute at the Xiannong Altar(先農壇), which is re-enacted in the snow appreciation play Baogongdaji( 報功大祭 ) . Baogongdaji is recorded in the twenty-ninth book of the Qianlong period festival court play Jiejiehaoyin( 節絶好音 ) , which is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NLC). The play portrays a detailed description of Shu Suntong(叔 孫通), Chief Minister of Taichang Temple during the Han Dynasty, performing an ancestral tribute at Xiannong Altar under imperial mandate on a timely snow during La ri(臘日). Hence, the play increases understanding of the Xiannong Altar ancestral rite of the national ancestral rite ji rite middle service and reveals the transformations within such a culture. Meanwhile, according to Schechner in Performance Studies, all plays and rites embody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mplex performance,” which reflects a society’s culture. Thus, this study, through the “restored behaviors” of the Xiannong Altar rites depicted in Baogongdaji , seeks to analyze how the original Qing Dynasty ji rite, the middle service Xiannong ancestral rite formalities, was transformed and is being passed down based on the time’s society, historical environment, and the ruler’s motives. Because Baogongdaji meticulously portrays the food offering used in ancestral tributes, the sixteen steps of the formalities, and the tribute prayers, it gives the audience a similar experience to witnessing a Xiannong Altar tribute rather than a play. However, instead of explicitly depicting the actual formalities, it symbolically re-enacts on stage. Ming-Qing history (the period when Xiannong Altar tributes became formalized) and ceremonial protocol manuals reveal that Ming-Qing Xiannong Altar tributes and the Xiannong Altar tribute depicted in Baogongdaji differ in that while the former occurred during middle or late spring, thelatter occurs during snow appreciation on La ri, which is in winter near the end of the year. Ba la, an end-of-the-year thanksgiving ancestral ceremony, started as an important national custom of the Zhou Dynasty, but gradually disappeared from the national ancestral tributes as agricultural production advanced and worship of the nation’s Shen Nong, The Emperor Yan, was reinforced. Therefore, the La ri Xiannong tribute in Baogongdaji is a reflection of the antecedent end-of-the-year ancestral tribute of Ba la and is an ancestral tribute giving “autumn thanksgiving” to the representative Shen Nong of Ba la(八臘). Thus, Baogongdaji was a ceremony that was performed on Snow Day or La ri in the Qing Dynasty palace for an audience of the Emperor, Empress and the royal concubines, royal lords, foreign guests, and foreign ambassadors, in which they recollected the Xiannong Altar tribute ceremony and ended the year giving thanks to Shen Nong for the year’s harvest. Hence, Baogongdaji , instead of explicitly presenting and duplicating the actual formalities of the Tribute at the Xiannong Altar, which is a middle service rite and an antecedent or Qing Dynasty ji rite, reinvents the remembrance of the Tribute through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tage and performers and the indirect influence of the Qing Dynasty rulers’ status. Accordingly, the Xiannong Altar ceremony, which is newly defined and depicted as such, reveals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Qing Empire and reflects the politics and culture of the Qing Dynas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