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린이박물관 시니어 자원봉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서울상상나라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Senior Volunteers at the Children's Museum : Focusing on the Seoul Children's Mus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68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future roles and satisfaction improvement of senior volunteers in children's museums, focusing on bot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It examines the volunteer satisfaction of senior volunteers at 'Seoul Sangsangnara,' a children's museum oper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develops a capacity-building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ir roles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The study employs 'activity immersion' theory to analyz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 involved 15 senior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a combined theoretical and workshop-based training. The program aimed to expand their roles by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with the <!-- Not Allowed Tag Filtered --><Support Everyone> exhibition providing a framework for visitor interaction. Post-training interview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interaction being a key factor. Volunteers reported that engaging with visitors and receiving positive feedback enhanced their sense of value and motivation.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1. Continuous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training programs to align with changing exhibits and visitor demographics.
      2. Tailored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different group audiences, such a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3.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for communication and sharing best practices among children's museums in Korea.
      4. Training volunteer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 evolving characteristics of visitors and societal changes.

      Overall, continuous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is essential to professionalize senior volunteers and enrich the visitor experience in children's museum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future roles and satisfaction improvement of senior volunteers in children's museums, focusing on bot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It examines the volunteer satisfaction of senior volunteers at 'Seoul Sangsangnar...

      This study explores the future roles and satisfaction improvement of senior volunteers in children's museums, focusing on bot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It examines the volunteer satisfaction of senior volunteers at 'Seoul Sangsangnara,' a children's museum oper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develops a capacity-building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ir roles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The study employs 'activity immersion' theory to analyz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 involved 15 senior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a combined theoretical and workshop-based training. The program aimed to expand their roles by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with the <!-- Not Allowed Tag Filtered --><Support Everyone> exhibition providing a framework for visitor interaction. Post-training interview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interaction being a key factor. Volunteers reported that engaging with visitors and receiving positive feedback enhanced their sense of value and motivation.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1. Continuous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training programs to align with changing exhibits and visitor demographics.
      2. Tailored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different group audiences, such a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3.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for communication and sharing best practices among children's museums in Korea.
      4. Training volunteer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 evolving characteristics of visitors and societal changes.

      Overall, continuous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is essential to professionalize senior volunteers and enrich the visitor experience in children's museu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적배경과 박물관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어린이박물관 내에서 시니어자원봉사자가 앞으로 나가야 할 역할을 무엇인지, 자원봉사자의 개인의 입장과 기관의 입장에서 개선점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어린이박물관인 ‘서울상상나라’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만족도를 분석하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그들의 역할확대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교육프로그램 참여 후의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서울상상나라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면담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한 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하고자 한다. 사전면담과 프로그램 이후 사후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동몰입’ 이론을 도구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총 15명의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고, 교육은 이론과 워크숍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중심내용은 기존 시니어 자원봉사자의 역량강화를 기반으로 한 역할확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서울상상나라 1층 기획전<모두를 응원해> 전시를 중심으로 관람객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했다.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전시물을 대상으로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작성했다. 이를 토대로 전시장에서 관람객과 상호작용하는 활동을 직접 체험해보았다. 교육프로그램 이후, 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후면담을 진행했다.
      교육프로그램 전보다 만족도가 많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주요 요인에는 ‘상호작용’이 큰 부분을 차지했다. 관람객과 상호작용을 하며 관람객들이 긍적적인 피드백을 주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통해 봉사활동의 가치성을 느꼈고, 이는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게 되는 지원동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에 대한 몰입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시니어 자원봉사자의 역할을 확대하며 성장시키기 위해 신규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전시가 바뀔 때마다 주제와 체험방식, 스토리텔링이 변경되니 이에 맞춰 시니어 자원봉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주체적으로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두 번째, 단체관람객의 특성도 고려하여 소통 방향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어린이박물관은 특성상 유치원, 어린이집, 초등학교에서 단체로 방문한다.
      적용 가능한 특성들과 핵심 요소들을 활용하여 소통 방법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국내의 다양한 어린이박물관 내 시니어 자원봉사자와 소통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유관기관의 사례들과 교육활동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필요한 점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네 번째, 사회에 따라 달라지는 관람객과 전시의 특성을 이해하고 함께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방문자의 특성이 변화하고 있다. 조손가정이나 다문화가정 등 가족의 구성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어린이박물관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도 이러한 특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시니어 자원봉사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사회변화, 기관의 특성에 따라 교육에 대한 내용도 변화하여 시니어자원봉사자들도 전문적인 역할로 나아갈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적배경과 박물관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어린이박물관 내에서 시니어자원봉사자가 앞으로 나가야 할 역할을 무엇인지, 자원봉사자의 개인...

      본 연구는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적배경과 박물관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어린이박물관 내에서 시니어자원봉사자가 앞으로 나가야 할 역할을 무엇인지, 자원봉사자의 개인의 입장과 기관의 입장에서 개선점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어린이박물관인 ‘서울상상나라’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만족도를 분석하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그들의 역할확대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교육프로그램 참여 후의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서울상상나라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면담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한 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하고자 한다. 사전면담과 프로그램 이후 사후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동몰입’ 이론을 도구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총 15명의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고, 교육은 이론과 워크숍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중심내용은 기존 시니어 자원봉사자의 역량강화를 기반으로 한 역할확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서울상상나라 1층 기획전<모두를 응원해> 전시를 중심으로 관람객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했다.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전시물을 대상으로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작성했다. 이를 토대로 전시장에서 관람객과 상호작용하는 활동을 직접 체험해보았다. 교육프로그램 이후, 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후면담을 진행했다.
      교육프로그램 전보다 만족도가 많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주요 요인에는 ‘상호작용’이 큰 부분을 차지했다. 관람객과 상호작용을 하며 관람객들이 긍적적인 피드백을 주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통해 봉사활동의 가치성을 느꼈고, 이는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게 되는 지원동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에 대한 몰입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시니어 자원봉사자의 역할을 확대하며 성장시키기 위해 신규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전시가 바뀔 때마다 주제와 체험방식, 스토리텔링이 변경되니 이에 맞춰 시니어 자원봉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주체적으로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두 번째, 단체관람객의 특성도 고려하여 소통 방향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어린이박물관은 특성상 유치원, 어린이집, 초등학교에서 단체로 방문한다.
      적용 가능한 특성들과 핵심 요소들을 활용하여 소통 방법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국내의 다양한 어린이박물관 내 시니어 자원봉사자와 소통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유관기관의 사례들과 교육활동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필요한 점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네 번째, 사회에 따라 달라지는 관람객과 전시의 특성을 이해하고 함께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방문자의 특성이 변화하고 있다. 조손가정이나 다문화가정 등 가족의 구성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어린이박물관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도 이러한 특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시니어 자원봉사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사회변화, 기관의 특성에 따라 교육에 대한 내용도 변화하여 시니어자원봉사자들도 전문적인 역할로 나아갈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방법 2
      • 3. 선행연구고찰 3
      • Ⅱ. 이론적배경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방법 2
      • 3. 선행연구고찰 3
      • Ⅱ. 이론적배경 7
      • 1. 어린이박물관과 시니어 자원봉사자 7
      • 2. 자원봉사자의 활동 몰입 15
      • Ⅲ. 서울상상나라 시니어 자원봉사자 현황과 문제점. 19
      • 1. 서울상상나라 19
      • 2. 시니어 자원봉사자 운영현황과 문제점 24
      • Ⅳ. 시니어 자원봉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26
      • 1. 교육내용 26
      • 2. 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실행 39
      • 3. 결과 및 사후 면담 52
      • 4. 프로그램 효과 58
      • Ⅴ. 결론 63
      • 1. 요약 63
      • 2. 제언 65
      • 참고문헌 68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