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손실과 이득 프레이밍과 낙관적 편견이 독감 백신 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손실과 이득 프레이밍 유형과 낙관적 편견이 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69576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4-134(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손실과 이득 프레이밍과 낙관적 편견이 독감 백신 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손실과 이득 프레이밍 유형과 낙관적 편견이 각...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손실과 이득 프레이밍과 낙관적 편견이 독감 백신 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손실과 이득 프레이밍 유형과 낙관적 편견이 각각 독감 백신 접종 의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득 프레임보다 손실 프레임을 접했을 때 독감 백신 접종 의도가 높아졌으며, 낙관적 편견이 낮을수록 독감 백신 접종 의도가 높아졌다. 또한 손실 프레임이 독감 백신 접종 의도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낙관적 편견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함도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는 손실 프레임이 낙관적 편견을 낮추어 독감 백신 접종 의도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밝히고 있으며, 노인 대상 건강 증진 캠페인에 있어 낙관적 편견의 중요성을 보여 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and optimistic bias on older adults’ (65 years and over) intention to get influenza vaccination. The main effects of message framing (loss vs gain) and optimistic bias were all shown to be significan...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and optimistic bias on older adults’ (65 years and over) intention to get influenza vaccination. The main effects of message framing (loss vs gain) and optimistic bias were all shown to be significant. That is, a loss-framed message led to higher levels of intention to get influenza vaccination than a gain-framed one. Also, those with lower levels of optimistic bia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intention to get the vaccination.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tic bias was found between the message framing and intention for getting influenza vaccination. The results delineat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a loss-framed message lowers older adults’ optimistic bias which, in turn, increases their intention to get influenza vaccination. This study points to the important role of older adults’ optimistic bias for health promotion campaigns that target older adults.
목차 (Table of Contents)
감정 민감도와 자아 표현이 SNS 게임의 프레즌스 경험과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과 교육학의 학제 간 융합 가능성 진단을 위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