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긍정심리자본과 심리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산하 유소년팀에 소속된 38명의 청소년 축구선수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06000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5-249(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긍정심리자본과 심리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산하 유소년팀에 소속된 38명의 청소년 축구선수를...
본 연구는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긍정심리자본과 심리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산하 유소년팀에 소속된 38명의 청소년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 결과와 선행연구 검토, 파일럿 프로그램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총 8회기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연구대상은 프로산하 유소년팀 소속 1학년 고등학생 축구선수 15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7명)이며, 주 2회기씩 긍정심리자본과 심리기술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총 8회기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통해 측정 도구별로 사전-사후-추후검사 효과검증을 하였으며, 그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스포츠수행전략(심리기술)에서 유의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긍정심리자본의 경우에는 하위요인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 축구선수를 위한 긍정심리자본과 심리기술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aimed at improv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skills of youth soccer players. Based on the results of a needs assessment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aimed at improv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skills of youth soccer players. Based on the results of a needs assessment survey conducted with 38 youth soccer players,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pilot program outcom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signed as an 8-session interven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 high school freshmen on a youth soccer team affiliated with a professional soccer organizatio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wice a week over 4 weeks, totaling 8 sessions. A pretest-posttest-follow-up design was used for each measure, and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Finding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psychological ski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후기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심리적 독립의 관계: 지각된 부모의 부부관계로 조절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메타경로분석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반 청소년 불안・우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