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이 실제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거주민의 건강 및 정신건강을 개인변수와 환경변수로 나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878634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도시공학과 , 2012. 8
2012
한국어
539.7 판사항(4)
서울
v, 58 p. : 삽화 ; 26cm.
지도교수:양승우
참고문헌 : p.53-5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이 실제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거주민의 건강 및 정신건강을 개인변수와 환경변수로 나누...
본 연구는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이 실제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거주민의 건강 및 정신건강을 개인변수와 환경변수로 나누어 설명하려 하였고 건강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설문조사에 의한 자료 대신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불하는 진료비로 대체함으로써 의학적인 전문 데이터에 의거하여 좀 더 객관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개인변수와 관련해서는 공시지가와 주택유형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는데 공시지가와 주택유형은 소득과 큰 관계가 있어 소득수준으로 설명하는데 적절하였으며, 환경 변수로는 도시의 토지이용을 주거, 상업, 공업 그리고 공원/녹지로 구분하여 총 12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건강 및 정신 및 행동장애(F코드) 진료비의 구득이 가능한 전라북도 전주시 3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변수별 데이터를 구축한 후 해당 지표들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회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행정동의 공시지가가 높을수록, 아파트와 연립주택이 많아질수록 건강 및 정신 및 행동장애(F코드) 진료비가 늘어나는 한편, 공시지가가 낮거나, 다세대 주택이 많아질수록 정신관련 진료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거주자의 소득계층에 따라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지불능력이 진료비와 관계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환경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중에서 공원과 건강 및 정신건강의 관계는 행정동 내에 공원의 면적이 클수록 관련 진료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원에서 건강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운동과 레크레이션, 녹지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환경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행정동 내에 주거지역과 녹지면적이 늘어날수록 건강 및 정신건강 관련 진료비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주시 주택유형의 70% 이상을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하였을때, 진료비 지출이 많은 아파트 거주자들로 인해 분석에 정의 영향을 끼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녹지면적이 늘어날수록 진료비 또한 늘어나는 것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공원과 상반되는 결과로써 전주시에서 녹지와 아파트는 상당히 유사하게 분포되어있는데 이 때문에 아파트가 가진 진료비의 특성이 녹지의 분석결과에까지 영향을 미쳐 녹지와 건강 및 정신 건강간 정의 영향을 보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건강 및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개인 변수가 중요하며, 특히 도시계획적으로는 공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행정동 기준으로 등분포시키는 공원계획에 합리적 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상지가 전주시로 한정되어 학문적 일반화가 어려운 점과 정신 건강과의 관계를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에만 집중시켰다는 점은 연구의 한계이다. 차후에는 통섭적인 모형을 설정한 후, 공원의 조성비용과 국가의 보험 부담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국가 정책추진의 동인이 될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pedestrian mov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movement and internet photo on grid street system, and to suggest the new complementary f...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pedestrian mov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movement and internet photo on grid street system, and to suggest the new complementary factors of space syntax.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connectivity of space syntax is very high on grid street system. Second, old complementary factors of space syntax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distribution of the stores.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photos in the internet photo map, a newly suggested index, ha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pedestrian volume, and had the highest level of explanation when supplemented by local integration of space syntax. In conclusion, internet photo and pedestrian movement are closely related and the outcomes of space syntax using the internet photo may be utilized as a preliminar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urban space struct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