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12월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19 범유행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독서를 할 수 있는 전자책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전자책에 관한 인식조사와 개선방안연구가 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56206
전주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사서교육) , 2023. 2
2023
한국어
학교도서관 ; 학교도서관 이용자 ; 이용자 인식 ; 체육고등학교 ; 전자책 ; 전자책 인식 ; 질적연구 ; 인터뷰 ; School Library ; School Library User ; User Perception ;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 E-book ; Electronic book ; E-book Perception
전북특별자치도
iv, 47 p. ; 26 cm
지도교수: 김선태
I804:45011-00000005670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9년도 12월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19 범유행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독서를 할 수 있는 전자책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전자책에 관한 인식조사와 개선방안연구가 활...
2019년도 12월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19 범유행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독서를 할 수 있는 전자책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전자책에 관한 인식조사와 개선방안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서도 알 수 있듯 종이책 독서율은 감소했지만, 전자책 독서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둘째,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 청소년들도 종이책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자책의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종이책을 선호하는 이유를 추적하여 전자책에 적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본 연구는 특수한 상황에 있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전자책 인식을 조사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광주체육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여 실질적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들의 전자책 독서에 대한 인식과 태도, 스마트기기와 독서의 연관성, 전자책 이용 시 불편함과 개선방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크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타게트(Taguette)를 활용하여 1차 코딩을 시행하고, 생성된 하이라이트 자료를 가지고 의미 단위로 분석하여 파워포인트로 태그 카드를 만드는 방법으로 2차 코딩을 시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를 개념화하고 하위범주들을 관계짓는 오픈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을 진행 한 결과 12개의 개념을 추출하였고 하위범주의 공통성을 대표할 수 있는 3개의 상위 범주로 재분류하였다. Lincoln과 Guba의 기준에 따라 분석한 자료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전자책 인식 관련 연구조사는 아직 행해지지 않았다는 점, 특목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