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n) Observational study of low-level 8th grade English classes = 중학 2학년 하위 레벨 영어 학급에 관한 관찰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778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중학 2학년 하위 레벨 영어 학급에 관한 관찰 연구 An Observational Study of Low-Level 8th Grade English Classes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TESOL 학과 차 은 애 이 논문의 목적은 제 7차 ...

      국문초록

      중학 2학년 하위 레벨 영어 학급에 관한 관찰 연구
      An Observational Study of Low-Level 8th Grade English Classes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TESOL 학과
      차 은 애

      이 논문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수업 정책에 따라 하위 레벨 학급에서는 영어 교수와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즉, 비교적 동기부여가 되지 않은 하위 레벨 학생들에게 교사가 어떻게 동기부여를 하며 학생들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조사하고 아울러 한정된 영어 능력을 지닌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된 교수방법을 조사하는 것이다. 나아가, 한국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을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를 탐구하여 하위 레벨 학급에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관찰에 기초한 사례연구이다. 서울 시내의 모 중학교 2학년 하위 레벨 두 학급을 선정하여 10주간 관찰하였다. 두 학급 모두 한 명의 교사가 가르쳤다. 자료는 주로 관찰 일지와 교사 인터뷰, 학생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수집했다.
      관찰한 중학교 2학년에는 모두 12학급이 있으며 학교는 두 학급을 합하여 상, 중, 하, 세 레벨로 나눈다. 이런 방식으로 각 레벨에 여섯 학급씩 18학급을 만들어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성적이 상위 40%에 속하는 학생들은 상위 레벨에, 40~80% 범위에 속하는 학생들은 중위 레벨에, 그리고 하위 20%에 속하는 학생들은 하위 레벨에 배정받는다.
      교사는 매우 단순한 전략, 즉 단기 보상을 주는 방법으로 동기부여를 했다. 학생들이 숙제를 하거나 수업 시간 중에 과제를 수행할 때마다 교사는 공책에 표시를 해 주었다. 학교는 매학기 말에 표시된 숫자를 전부 합하여 수행평가 자료로 활용한다. 교사는 정해진 원칙이나 기준이 없이 단기 보상 전략을 지나치게 사용했다. 학기 초에는 이러한 전략을 통해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시키는 데 성공하는 듯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 학생들이 교사의 단기 보상 전략에 익숙해지자 학생들은 곧 흥미를 잃고 교사의 지시를 무시했다. 단기 보상은 제한된 범위 안에서 사용할 때만 효과가 있다. 지나친 단기 보상은 오히려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저해할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영어 학습의 즐거움과 같은 장기 보상의 효과를 깨닫게 해 주고 학생들이 유창한 영어 습득과 같은 장기 목표를 세울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대부분의 수업 시간은 독해 수업에 할애되었다. 교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독해를 가르쳤으나 문법 설명은 충분히 하지 않았다. 문법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기본 원리를 가르치기 보다는 표면적인 구조만을 설명하는 데 그쳤다. 이는 아마도 정확성보다는 유창성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교육과정의 영향과 하위 레벨 학생들에게는 자세한 문법 설명이 어려울지 모른다는 교사의 판단이 작용한 듯 하다. 하위 레벨 학급의 학생들은 영어를 잘 읽지 못했다. 교사는 이를 매우 염려하여 읽기를 가르치고자 노력했으나 시간 부족 등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
      대학 수학능력 시험의 영향으로 예전에 비해 듣기는 많이 강화되었으나 여전히 단순한 기계적인 반복에 의존하고 있었다. 말하기 수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10주간의 관찰 기간 동안 의사소통을 위한 과제나 활동은 전혀 실시되지 않았다.
      하위 레벨 학급에서도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 대해 대다수 한국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편견과 오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은 네 가지 언어 기능을 통합하여 유창성과 더불어 정확성을 함께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반해 교실에서는 여전히 형식보다 의미만을 강조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는 하위 레벨 학습자들에게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은 상위레벨 학습자만을 위해 고안된 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하위 레벨 학습자일수록 영어로 말하기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영어에 흥미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통해 수업 시간에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제공해 주어야 한다.
      수준별 수업의 목적은 학생들의 개성과 흥미, 능력을 고려한 차별화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개인적인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 편성을 위한 정확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각각의 레벨에 맞춘 교재와 교수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학생들은 똑같은 교재로 배우며 똑같은 방법과 기준으로 평가를 받는다. 이런 상황에서는 수준별 학습은 상위 학생들만을 위한 불평등한 수업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수준별 교재를 갖추고 교육과정에 맞는 평가방법을 계발하여 제도가 정착될 때 까지는 지금처럼 학업 성적으로만 반을 나누어 이동 수업을 하는 것 보다는 한 학급에서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소그룹으로 묶어서 협력 수업을 실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학생들은 서로 가르쳐 주고 서로에게 배우며 영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준별 수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정책 입안자, 교재 개발자, 교육자등 모든 관련 당사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최선의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수준별 학습이나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익힐 수 있도록 교사 연수를 확대해야 하며 미래에 교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도 이론과 실제를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현장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ⅰ
      • List of Tables and Figures ⅴ
      •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ⅰ
      • List of Tables and Figures ⅴ
      • Ⅰ. Introduction 1
      • Ⅱ. Theoretical Background 4
      • 2.1. English Education in Korea 4
      • 2.1.1. From the First to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1954~1997) 5
      • 2.2.2.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1997~) 7
      • 2.2. Proficiency-Based English Class 9
      • 2.2.1. Definition 10
      • 2.2.2. Cases in Other Countries 11
      • 2.2.3. Previous Studies 13
      • 2.2.4. The Status Quo 15
      • 2.2.5. Problems and Implications 16
      • 2.3. Motivation and Attitudes 19
      • 2.3.1. Distinctions of Motivation 19
      • 2.3.2. Integrativeness vs. Instrumentality 21
      • 2.3.3. Teachers' role and Textbooks 23
      • 2.3.4. Self-determination and Self-confidence 24
      • 2.3.5. Cultural Awareness 25
      • 2.3.6. Implications 27
      • 2.4.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28
      • 2.4.1. Communicative Competence 29
      • 2.4.2. Application of CLT in the Classroom 32
      • Ⅲ. Methodology 36
      • 3.1. Participants 36
      • 3.1.1. A School 36
      • 3.1.2. A Teacher 37
      • 3.1.3. Students 37
      • 3.1.4. Organization of the Classes for PBEC 38
      • 3.2. Procedures 39
      • 3.2.1. Observation 39
      • 3.2.2. Questionnaires 40
      • 3.3. Data Analysis 41
      • Ⅳ. Discussion 42
      • 4.1. Motivating Low Level Students 42
      • 4.2. Teaching Low Level Students 50
      • 4.2.1. Teaching Reading 50
      • 4.2.2. Teaching Pronunciation 54
      • 4.2.3. Teaching Listening and Speaking 55
      • 4.3. Difficulties of CLT in Korea 57
      • 4.3.1. Misconceptions and Stereotypes 57
      • 4.3.2. Lack of Ability and Motivation 60
      • 4.3.3. The Educational System and Evaluation Tools 64
      • 4.3.4. Classroom Management 70
      • 4.4. Implications 73
      • 4.4.1. Changing the Perceptional Paradigm 73
      • 4.4.2. Fundamental Innovation of Educational System 78
      • 4.4.3. Building Systematic Cooperation 79
      • Ⅴ. Conclusion 82
      • 5.1. Summary of Findings 83
      • 5.2.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87
      • References 89
      • Appendices 98
      • Appendix 1. Questionnaires 98
      • Appendix 2. Textbook p. 70 101
      • Appendix 3. Textbook p. 77 102
      • Appendix 4. Textbook p. 92 103
      • Appendix 5. Textbook p. 94 104
      • Appendix 6. New Words List 105
      • Appendix 7. Personal Pronouns 106
      • Appendix 8. Be Verbs 107
      • Appendix 9. Spelling for Basic Words 108
      • Appendix 10. Demonstratives 109
      • Appendix 11. Textbook p. 22 110
      • Abstract in Korean 111
      • List of Tables and Figures
      • Table
      • Table 4-1. Students' English Preference 43
      • Table 4-2.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English 43
      • Table 4-3. Students' Preference to Classroom Tasks 52
      • Table 4-4. Reasons Low Level Students Avoid English Camp 64
      • Figure
      • Figure 2-1.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Competence & Communicative Competence 30
      • Figure 2-2. Traditional Model 33
      • Figure 2-3. Communicative Model 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