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산 지역 동학농민혁명 연구- 연산 전투, 노성 봉화산 전투, 소토산·황화대 전투를 중심으로 = Nonsan region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 Focusing on Yeonsan battle and Sotosan-Hwanghwadae batt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4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nsan is an indispensable area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retreating peasant army around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fter the Gongju Battle. This article is to be studied being limited only in the Nonsan area. Here...

      Nonsan is an indispensable area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retreating peasant army around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fter the Gongju Battle. This article is to be studied being limited only in the Nonsan area. Here, there were big events such as the alliance between the two main camps from the north(currently Chungchung Province)- south(Jeolla Province) region, and the Battle of Yeonsan and the Battle of Sotosan-Suhwadae. The study of this region can be sai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has the symbolism of the junction between two regions and that of advancement and retreat, while spreading the perspectives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ich was viewed only in a specific region, nationwide.
      In 1984, the Donghak Peasant Army attempted a second uprising, resisting the Japanese military’s armed occup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The peasant army from the north and the south gathered at Sotosan Mountain in Nonsan (currently Daelim Apartment and Gwaneumsa Hill), and marched toward Seoul. However, it was blocked by strong resistance from the suppression forces in Gongju.
      The main camp of the peasant army stayed in Noseong for a while, as seeking to advance again. While carrying out political propaganda work there, a large-scale elite unit with some of new weapons was put into Yeonsan region. It was the largest battle since the Battle of Ugeumchi, currently Yeonsan region. But it failed, and it changed its strategic route originally planned.
      As if it had expected the pursuit of the suppression forces, the government-Japanese combined forces, it moved to Nonsan in haste. The peasant army returned to Sotosan Mountain, where the North-South allied force formed and unfolded their camps at first. The peasant army could not endure their strong pressure from three directions with new weapons at the forefront of Sotosan Mountain. In the end, it hurriedly moved to Hwanghwadae, currently a mountain behind Daegun High School, which is more advantageous for defense, and prepared for the battle. It was no longer easy to expect a meaningful and successful battle for the discouraged peasant army, mostly being equipped with old-fashioned weapons. It collapsed quickly and retreated toward Jeonju in a hurry. (Sotosan·Suhwadae Battle) And after the Battle of Taein, it was disbanded, looking forward to the potential future. At the end of the disappointing year, it had to find a new way to replace the desperation without ho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논산지역은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시기에 공주전투 이후 후퇴하는 동학농민군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역이다. 논산에서 남북 접 동학농민군이 결성되어 공주성 전투에 나섰고, ...

      논산지역은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시기에 공주전투 이후 후퇴하는 동학농민군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역이다. 논산에서 남북 접 동학농민군이 결성되어 공주성 전투에 나섰고, 후퇴한 동학농민군 이 논산 곳곳에서 전투를 치러 진격과 후퇴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는 지역이다.
      전라도 전봉준 중심으로 바라보던 동학농민혁명의 시선을 돌려 전국 적인 사건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맥락에서도 논산지역의 동학농민혁명 사 연구는 필요하다. 이 연구는 2차 기포 시기에 남북접 연합 동학농민 군이 결성된 소토산과 연산 전투, 노성 봉화산 전투, 소토산·황화대 전투에 한정하고자 한다.
      1984년 6월 일본군이 조선 침략을 위해 경복궁을 무력으로 점령하 자 동학농민군은 2차 봉기에 나섰다. 남북접 연합 동학농민군은 논산 소토산에 집결하여 연합군진을 형성하여 서울로 진군했다. 그러나 동 학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관·일본 연합군에 패해 물러났다.
      동학농민군 본진은 노성에 잠시 머물며 전열을 가다듬고 새로운 진격을 준비했다. 대지휘소에서 정치적 선전 작업을 펼치는 한편, 수습 된 동학농민군 두 정예부대를 투입했다. 연산 전투에는 청주에서 패하 고 내려온 김개남군이 합류함으로써, 우금치 전투 이후에 벌어진 첫 번째 전투이자 가장 큰 규모의 전투였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동학농 민군은 신식 무기로 무장된 관·일본 연합군에 패했고, 계획했던 전투 전략을 변경하는 계기가 되었다.
      동학농민군은 관·일본 연합군의 추격을 예상하고 노성 봉황산을 거 쳐 서둘러 논산 소토산으로 본진을 옮겼다. 소토산은 남북접 연합군이 새 진영을 펼치고 대지휘소를 설치했던 곳이다. 관·일본 연합군이 신 식무기를 앞세워 소토산을 향해 세 방향에서 압박해 들어오자 동학농 민군은 방어에 더 유리한 인근의 황화대로 다시 진을 옮겨 항전에 들어 갔다. 그러나 구식무기에, 사기마저 꺾인 동학농민군에게 전투다운 전 투는 수행하기 어려웠다. 전열이 삽시간에 무너지며, 서둘러 전주 방 면으로 퇴각했다. 그리고 동학농민군은 원평전투와 태인전투를 끝으로 해산했다. 그리고 논산 지역 동학농민군은 가혹한 토벌전에서 희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카카오 맵"

      3 왕현종, "조선 정부의 농민군 진압 지휘체계와 진압 과정, 甲午軍政實記를 통해 본 동학농민혁명의 재인식"

      4 박맹수, "제2차 동학농민혁명 시기 연산전투에 관한 일본측 자료 검토 -제19대대장 미나미 고시로와 연산현감 이병제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2) : 337-361, 2020

      5 신복룡, "전봉준 평전" 들녘 2019

      6 박맹수, "연산현감 이병제와 제2차 동학농민혁명: 제2차 동학농민혁명 당시 連山전투를 중심으로"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7 천도교중앙총부, "여산종리원연혁" (203) : 1927

      8 국사편찬위원회, "신편 『한국사』 39"

      9 "미나미 고시로(南小四郎) 문서"

      10 오지영, "동학사(초고본)"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카카오 맵"

      3 왕현종, "조선 정부의 농민군 진압 지휘체계와 진압 과정, 甲午軍政實記를 통해 본 동학농민혁명의 재인식"

      4 박맹수, "제2차 동학농민혁명 시기 연산전투에 관한 일본측 자료 검토 -제19대대장 미나미 고시로와 연산현감 이병제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2) : 337-361, 2020

      5 신복룡, "전봉준 평전" 들녘 2019

      6 박맹수, "연산현감 이병제와 제2차 동학농민혁명: 제2차 동학농민혁명 당시 連山전투를 중심으로"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7 천도교중앙총부, "여산종리원연혁" (203) : 1927

      8 국사편찬위원회, "신편 『한국사』 39"

      9 "미나미 고시로(南小四郎) 문서"

      10 오지영, "동학사(초고본)"

      11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동학농민혁명사 일지"

      12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제공 참여자명단"

      13 "동학농민혁명 종합지식정보시스템"

      14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 신국역총서"

      15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16 박맹수, "동학농민전쟁기 일본군의 무기" 한국근현대사연구회 17 : 2001

      17 박민영, "대한제국 군인 李忠純의 생애와 순국"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59) : 45-78, 2017

      18 논산문화원, "논산지역의 지명유래"

      19 채길순, "논산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의미와 올바른 계승 방안" 2021

      20 이진영, "김개남과 동학농민전쟁" 한국근현대사연구회 2 : 1995

      21 "국립지리원 제작, 「논산지도」, 1991(수정)"

      22 "구글 어스"

      23 박맹수, "공주와 동학농민혁명" 모시는 사람들 2015

      24 박맹수, "개벽의 꿈, 동아시아를 꿈꾸다" 모시는 사람들 2012

      25 권병덕, "갑오동학란"

      26 "駐韓日本公使館記錄 6권, 二.各地東學黨征討에 관한 諸報告, (2) 東學黨 征討略記"

      27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권, 七.各地東學黨征討에 관한 諸報告, (8) 論山 戰鬪詳報"

      28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권, 七.各地東學黨征討에 관한 諸報告, (7) 連山 戰鬪詳報"

      29 "駐韓日本公使館記錄"

      30 "韓國東學黨蜂起一件」, 『日本外務省外交史料館所藏文書(1)』"

      31 "陣中日誌"

      32 "錦藩集略"

      33 "甲午軍政實記"

      34 "東學黨剿討記- 連山戰鬪"

      35 "東學亂記錄"

      36 "朝鮮五萬分一地形圖(論山) 大正4年(1915년)測圖同6年製版·8年印刷 및 發行, 朝鮮總督府"

      37 "日省錄"

      38 "大阪朝日新聞』, 1894년 11월 21일자"

      39 "均菴丈 林東豪 略歷"

      40 "啓草存案"

      41 "各陣將卒成冊"

      42 "召募日記"

      43 신영우, "北接農民軍의 公州 牛禁峙・連山・院坪・泰仁戰鬪" 한국사연구회 (154) : 255-298, 2011

      44 "「지적원도」 논산면, 1914년 6월 3일 著手-8월 22일 完成"

      45 정선원,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공주전투 시기 남접과 북접농민군의 동향" 동학학회 (56) : 77-116, 2020

      46 신영우, "1894년 日本軍 中路軍의 鎭壓策과 東學農民軍의 對應" 33 :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