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또래관계성향, 관계유지노력 학교생활적응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또래관계유형에 따라 일반아동과 영재아동이 학교생활에 어떻...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55410
2012
Korean
379
KCI등재
학술저널
875-892(18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또래관계성향, 관계유지노력 학교생활적응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또래관계유형에 따라 일반아동과 영재아동이 학교생활에 어떻...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또래관계성향, 관계유지노력 학교생활적응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또래관계유형에 따라 일반아동과 영재아동이 학교생활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분석하여 영재아동의 긍정적인 또래관계성향과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한 5개의 초등학교 4학년, 6학년 재학생 중 단위학교 영재학급 아동 175명, 일반아동 179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성향, 관계유지노력, 학교생활적응검사를 실시하여 각 변인들 간의 차이, 상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에 따라 또래관계유형을 제안하여 각 유형에 따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영재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긍정적인 또래관계성향을 가지고 있고 또래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보다 노력하고 있으며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고 있었다. 또래관계성향 및 관계유지노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설명력이 있는 변인이 일반아동은 독립적 책임감적 또래관계성향, 영재아동은 동정적 수용적 또래관계성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성향과 관계유지노력을 변인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이 제안되었고 각 군집의 성격에 따라 또래관계유형을 명명하였으며 군집유형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의의와 실용적 함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기술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of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And then the final purpose of the study is to give sugg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of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And then the final purpose of the study is to give suggestions to help improving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hip and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e study, 175 gifted students and 179 non-gifted students in grades 4 and 6 of 5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reas were assessed on their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gifted students as a whole. Second, in the correlation among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peer relation disposition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Third, Sympathy-Acceptance disposi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gifted students, and Independence-Responsibility disposi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non-gifted students. Finally,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peer relation type of the gifted and the non-gifted suggested four meaningful clusters. And the four cluste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with all the sub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practic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신동, "최신영재교육학개론" 학지사 2009
2 봉희영,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교우관계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이영철, "초등학교 수학 영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교우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박승철,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기효능감 비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권현진, "중학생의 단짝 친구관계에서의 유지 전략과 만족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6 이슬기, "자살상담 받는 초등학생 2. 6배 증가"
7 조현철, "영재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학교적응, 스트레스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간 관계" 한국영재교육학회 9 (9): 121-140, 2010
8 이정규, "영재학급ㆍ영재교육원 운영실태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9 권지숙,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과 또래관계 성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민진숙, "영재의 또래지위와 자기 지각"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 이신동, "최신영재교육학개론" 학지사 2009
2 봉희영,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교우관계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이영철, "초등학교 수학 영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교우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박승철,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기효능감 비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권현진, "중학생의 단짝 친구관계에서의 유지 전략과 만족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6 이슬기, "자살상담 받는 초등학생 2. 6배 증가"
7 조현철, "영재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학교적응, 스트레스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간 관계" 한국영재교육학회 9 (9): 121-140, 2010
8 이정규, "영재학급ㆍ영재교육원 운영실태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9 권지숙,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과 또래관계 성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민진숙, "영재의 또래지위와 자기 지각"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1 김지혜, "영재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성희경, "영재의 고민과 상담요구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09-336, 2011
13 윤여홍, "영재상담과 진로지도, In 영재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2003
14 한성희, "영재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5 송의열, "영재 아동의 사회 정서적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 행동의 이해" 1 (1): 69-95, 2002
16 이호선, "아동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7 천성문,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9
18 임용순, "새학기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은"
19 송영혜, "또래관계 : 진단과 치료" 집문당 2007
20 洪相妊, "국민학교 1학년 아동의 성별 및 지적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구"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21 李周炫, "英才兒의 學校適應과 社會成熟度에 관한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22 安凡熙, "對人關係 適切性과 性向檢査의 妥當度 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23 池龍根, "人間關係 훈련이 對人關係 性向에 미치는 效果"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24 Perry, D. C., "Social development" Prentice-Hall 1984
25 Schneider, B. H., "Social Relations of gifted children as a function of age and school program" 81 : 48-56, 1989
26 Austin, A. B., "Peer relationships of the academically gifted : A review" 25 (25): 129-133, 1981
27 Webb, J. T.,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ergamon Press 525-538, 1993
28 Delisle, J. R., "Guiding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youth" Longman 1992
29 Hollingworth, L. S., "Gifted children: Their nature and nurture" The Macmillan company 1926
30 Silverman, L. K., "Family counseling with the gifted, In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Ally & Bacon 307-320, 1997
31 Terrassier. J. C., "Dyssynchrony-uneven development, In The Psychology of Gifted Children" John Wiley & Sons 265-274, 1985
32 Hollingworth, L. S.,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World block 1942
33 Karnes, F. A., "Attitudes of intellectually gifted youth toward school" 10 : 173-175, 1998
34 Danber, S. L., "Aspect of personality and peer relations of extremely talented adolescents" 34 : 10-15, 1990
35 Langan, E. J., "A friend like you : Attachment and maintenance strategies in young adult friendships" Arizona State University 2001
36 조영란, "5요인 성격특성과 대인관계성향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수학·과학 영재의 인식론적 신념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계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효과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지하수에 대한 개념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7 | 1.47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9 | 1.961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