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43990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 형태사항

        viii, 8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곽한병
        참고문헌 : p. 63-70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6467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와 석·박사학위 논문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의 종합하여 메타분석 하였고, 분석대�...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와 석·박사학위 논문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의 종합하여 메타분석 하였고, 분석대상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알아보고, 특성별로 효과크기의 차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논문 총 97편을 수집하였고, 그 중 메타분석이 가능한 연구논문 79편을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분석대상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출간유형은 석·박사 학위 논문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출판연도는 2011년에 출판된 논문의 편수가 많았으며 2010년 이후부터 비교적 일정하게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연구설계 유형은 RCT의 논문의 편수가 많았으며, 성별은 혼성으로 이루어진 집단의 비율이 높았다. 연구대상자 연령으로는 초등학생∼성인의 논문이 대다수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구대상자 유형은 비병리·비장애군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집단원 수는 8명∼10명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총 시행회기 수는 12회∼14회, 1회기 당 시행시간은 81분∼100분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당 시행회기 수는 주 2회와 주 1회가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426으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백분위 지수(U3)는 약 92%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특성(출간유형, 연구대상자 연령, 연구대상자 유형, 집단원 수, 총 시행 회기 수, 1회기 당 시행시간, 주당 시행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위 논문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성인집단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병리·장애군 집단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집단원 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8명∼10명의 집단에서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원의 수가 많아질수록 효과의 크기가 감소하였는데, 메타회기 분석 결과 집단원의 수가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총 시행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16회기 이상이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회기 당 시행시간의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61분∼90분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시행회기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주 1회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 향상에 큰 효과성이 있음을 입증하였고, 총 시행회기 수를 16회기 이상, 61분∼90분, 주 1회로 구성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메타회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집단미술치료로 프로그램 진행시 집단원 수는 8명∼10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조금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of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in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1999 to 2020. saw.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of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in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1999 to 2020. saw.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and to compare how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varies by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a total of 97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79 research papers that could be meta-analyzed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 pap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trend of the thesis analysis related to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the majority of publication types were master's and doctoral thesis. In the year of publicatio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2011 was large, and papers have been published relatively consistently since 2010. As for the type of research design, the number of RCT papers was large, and the ratio of the group consisting of mixed sex was high.
      As for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the majority of papers were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dults, and the non-pathological group and non-disabled group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study subject types. The number of group members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8 to 10, and the total number of trial sessions was 12 to 14,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81 to 100 minutes, accounting for the highest ratio. As for the number of trial sessions per week, twice a week and once a week accounted for a similar ratio,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as 1.426,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according to Cohen's criteria, and the percentile index (U3) was about 92%.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as high.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type of publication, age of study subjects, type of study subjects, number of group members, total number of trials, time per session,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he effect size of the dissertation was found to be larger,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size of the adult group was found to be hig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y subjects, the effect size of the pathological/disabled group was larg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effect was high in the group of 8 to 10 people. As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ncreased, the size of the effect decreased. As a result of meta-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group memb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size.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tria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bu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 was high after 16 trials. The effect size of the trial time per s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size of 61 to 90 minutes was found to be high. The effect size of the weekly trial sess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once-weekly effect size was found to be high.
      Therefore, tak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it was proved that group art therapy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It is consider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analysis, it is considered that when the program is conducted with group art therapy, a slightly higher effect can be obtained if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s 8 to 1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 문제 5
      • 제 3 절 용어의 정의 5
      • 제 1 항 자기효능감 6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 문제 5
      • 제 3 절 용어의 정의 5
      • 제 1 항 자기효능감 6
      • 제 2 항 집단미술치료 6
      • 제 3 항 메타분석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 제 1 절 자기효능감 7
      • 제 1 항 자기효능감의 개념 및 특성 7
      • 제 2 항 자기효능감의 증진요인 9
      • 제 3 항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 10
      • 제 2 절 집단미술치료와 자기효능감 12
      • 제 1 항 집단미술치료의 개념 12
      • 제 2 항 집단미술치료와 자기효능감 14
      • 제 3 절 집단미술치료 처치변인 15
      • 제 1 항 연구대상자 연령 16
      • 제 2 항 연구대상자 유형 17
      • 제 3 항 집단원 수 18
      • 제 4 항 총 시행회기 수 18
      • 제 5 항 1회기 당 시행시간 19
      • 제 6 항 주당 시행회기 수 19
      • 제 4 절 메타분석 20
      • 제 1 항 메타분석의 개념 및 특징 20
      • 제 2 항 메타분석의 단계 및 절차 22
      • 제 3 항 메타분석의 한계점 24
      • 제 4 항 효과크기 산출 및 해석 24
      • 제 5 항 동질성 검증 및 이질성 검증 25
      • 제 6 항 출판편향 분석 27
      • 제 3 장 연구방법 29
      • 제 1 절 자료수집과 선정 29
      • 제 1 항 자료수집 29
      • 제 2 항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기준 30
      • 제 2 절 분석대상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 30
      • 제 1 항 기본 특성별 분포 30
      • 제 2 항 처치 특성별 분포 34
      • 제 3 항 자료의 코딩 39
      • 제 4 항 자료분석 방법 40
      • 제 4 장 연구결과 42
      • 제 1 절 전체 평균효과크기 분석 42
      • 제 1 항 자기효능감 전체 평균효과크기 42
      • 제 2 절 기본 특성별 효과크기 분석 46
      • 제 1 항 출간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46
      • 제 2 항 연구대상자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 47
      • 제 3 항 연구대상자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47
      • 제 3 절 처치 특성별 효과크기 분석 48
      • 제 1 항 집단원 수에 따른 효과크기 48
      • 제 2 항 총 시행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 50
      • 제 3 항 1회기 당 시행 시간에 따른 효과크기 51
      • 제 4 항 주당 시행 회기에 따른 효과크기 52
      • 제 4 절 출간오류 분석 52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57
      • 제 1 절 결론 57
      • 제 2 절 제언 61
      • 참고문헌 63
      • 부 록 71
      • 부록 1. 분석대상 논문 71
      • 부록 2. 코딩표 78
      • 부록 3. 분석대상 논문 코딩 80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