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최근 동향: Recombineering을 통한 타깃 벡터 제작 = Recent Advances in DNA Recombination Technology; Construction of Gene Targeting Vector Through Recombineering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전자 적중 기술에서 핵심은 타깃 벡터를 잘 만드는 것이다. 최근 제한효소나 결합효소 없이 타깃 벡터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제한효소와 결합효소들 없이 벡터 제작이 가능한 것은 바이러스 유래 단백질들이 세균 내에서 상동 재조합의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Recombineering은 박테리오파지 λ에서 얻은 exo, bet, gam 유전자들을 이용하여 세균 내에서 외부 DNA 조각들 사이에 상동 재조합이 잘 일어나게 하는 기술이다. 이것은 타깃 벡터 제작뿐 아니라 여러 가지 용도로 응용 가능한 새로운 기술이다.
      번역하기

      유전자 적중 기술에서 핵심은 타깃 벡터를 잘 만드는 것이다. 최근 제한효소나 결합효소 없이 타깃 벡터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제한효소와 결합효소들 없이 벡터 제작이 가능한 것은 바...

      유전자 적중 기술에서 핵심은 타깃 벡터를 잘 만드는 것이다. 최근 제한효소나 결합효소 없이 타깃 벡터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제한효소와 결합효소들 없이 벡터 제작이 가능한 것은 바이러스 유래 단백질들이 세균 내에서 상동 재조합의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Recombineering은 박테리오파지 λ에서 얻은 exo, bet, gam 유전자들을 이용하여 세균 내에서 외부 DNA 조각들 사이에 상동 재조합이 잘 일어나게 하는 기술이다. 이것은 타깃 벡터 제작뿐 아니라 여러 가지 용도로 응용 가능한 새로운 기술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urphy KC, "Use of bacteriophage lambda recombination functions to promote gene replacement in Escherichia coli" 180 (180): 2063-2071, 1998

      2 Benzinger R, "Transfection of Escherichia coli spheroplasts. V. Activity of recBC nuclease in rec+ and rec minus spheroplasts measured with different forms of bacteriophage DNA" 15 (15): 861-871, 1975

      3 Copeland NG, "Recombineering: a powerful new tool for mouse functional genomics" 2 (2): 769-779, 2001

      4 Takahashi K,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mouse embryonic and adult fibroblast cultures by defined factors" 126 (126): 663-676, 2006

      5 Buchhotz F, "Improved properties of FLP recombinase evolved by cycling mutagenesis" 16 (16): 657-662, 1998

      6 Evans MJ, "Establishment in culture of pluripotential cells from mouse embryos" 292 (292): 154-156, 1981

      7 Cohen SN, "Construction of biologically functional bacterial plasmids in vitro" 70 (70): 3240-3244, 1973

      8 Yu D, "An efficient recombination system for chromosome engineering in Escherichia coli" 97 (97): 5978-5983, 2000

      9 Zhang Y, "A new logic for DNA engineering using recombination in Escherichia coli" 20 (20): 123-128, 1998

      10 Yamanaka S, "A fresh look at iPS cells" 137 (137): 13-17, 2009

      1 Murphy KC, "Use of bacteriophage lambda recombination functions to promote gene replacement in Escherichia coli" 180 (180): 2063-2071, 1998

      2 Benzinger R, "Transfection of Escherichia coli spheroplasts. V. Activity of recBC nuclease in rec+ and rec minus spheroplasts measured with different forms of bacteriophage DNA" 15 (15): 861-871, 1975

      3 Copeland NG, "Recombineering: a powerful new tool for mouse functional genomics" 2 (2): 769-779, 2001

      4 Takahashi K,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mouse embryonic and adult fibroblast cultures by defined factors" 126 (126): 663-676, 2006

      5 Buchhotz F, "Improved properties of FLP recombinase evolved by cycling mutagenesis" 16 (16): 657-662, 1998

      6 Evans MJ, "Establishment in culture of pluripotential cells from mouse embryos" 292 (292): 154-156, 1981

      7 Cohen SN, "Construction of biologically functional bacterial plasmids in vitro" 70 (70): 3240-3244, 1973

      8 Yu D, "An efficient recombination system for chromosome engineering in Escherichia coli" 97 (97): 5978-5983, 2000

      9 Zhang Y, "A new logic for DNA engineering using recombination in Escherichia coli" 20 (20): 123-128, 1998

      10 Yamanaka S, "A fresh look at iPS cells" 137 (137): 13-1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05-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기타) KCI등재후보
      2011-05-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OSTEOPOROSIS</br>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steoporosi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