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POP 주류(Mainstream)에 의한 한국대중음악산업의 변화에 따른 실용음악교육 개선에 대한 소고 = A review on the improvement in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reflecting the change in mainstream Korean POP music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9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re has been more emphasis on the mobile and online digital music and performance industry with a strong connection with music management industry based on the sound source rather than on the sound disc. With the emergence of the online music market,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s started in early 2000, which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the digital music market. This market was dominated by TV Drama in the first generation, followed by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wave of the K-POP throughout the Asian market. Even though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s now under development in the pop music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the pop music industry which focuses on the training of entertainer and the sale of the goods, as well as developing the college education that gears toward the goals of training musicia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Korean pop music industry and explored how to improve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K-POP, its business strategies, and in the social recognition of K-Pop artists as well as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network of pop music due to the combination of K-POP and SN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he growth of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the colleg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 two different careers; second, the promotion of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third, the employment of lecturers with professional experiences in colleges.
      번역하기

      Currently, there has been more emphasis on the mobile and online digital music and performance industry with a strong connection with music management industry based on the sound source rather than on the sound disc. With the emergence of the online m...

      Currently, there has been more emphasis on the mobile and online digital music and performance industry with a strong connection with music management industry based on the sound source rather than on the sound disc. With the emergence of the online music market,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s started in early 2000, which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the digital music market. This market was dominated by TV Drama in the first generation, followed by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wave of the K-POP throughout the Asian market. Even though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s now under development in the pop music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the pop music industry which focuses on the training of entertainer and the sale of the goods, as well as developing the college education that gears toward the goals of training musicia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Korean pop music industry and explored how to improve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K-POP, its business strategies, and in the social recognition of K-Pop artists as well as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network of pop music due to the combination of K-POP and SN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he growth of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the colleg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 two different careers; second, the promotion of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third, the employment of lecturers with professional experiences in colle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시대는 음반 중심이 아닌 음원을 기본으로 한 모바일 및 온라인 중심의 디지털 음악 산업과 음악공연산업이 매니지먼트 산업과 연계되어 집중되고 있다. 온라인 음악시장의 등장으로 인해 2000년대 초 온라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개제 되면서 디지털 시장이 확대되었고 이는 1차는 드라마의 아시아 진입을 통해, 2차 K-POP 주류의 시대가 되었다. 대중음악의 산업 속에 실용음악교육 또한 함께 발전하고 있으나 연예인 양성과 상품의 판매로 수익을 목적으로 한 대중음악산업과 뮤지션을 육성하기 위한 대학의 실용음악 교육의 실질적인 교육방향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K-POP 주류의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변화된 과정을 통해 현 실용음악교육의 개선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을 살펴본 결과 K-POP의 운영 및 사업화 전략의 변화가 두드려졌고, K-POP 아티스트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K-POP과 SNS의 결합에 의한 대중음악시장의 유통망의 변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POP 주류의 한국 대중음악 산업과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첫째, 진로방향에 따른 커리큘럼 개발, 둘째, 산학 프로그램의 활성화, 셋째, 실무경력 중심의 전문 강사의 채용의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현시대는 음반 중심이 아닌 음원을 기본으로 한 모바일 및 온라인 중심의 디지털 음악 산업과 음악공연산업이 매니지먼트 산업과 연계되어 집중되고 있다. 온라인 음악시장의 등장으로 인...

      현시대는 음반 중심이 아닌 음원을 기본으로 한 모바일 및 온라인 중심의 디지털 음악 산업과 음악공연산업이 매니지먼트 산업과 연계되어 집중되고 있다. 온라인 음악시장의 등장으로 인해 2000년대 초 온라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개제 되면서 디지털 시장이 확대되었고 이는 1차는 드라마의 아시아 진입을 통해, 2차 K-POP 주류의 시대가 되었다. 대중음악의 산업 속에 실용음악교육 또한 함께 발전하고 있으나 연예인 양성과 상품의 판매로 수익을 목적으로 한 대중음악산업과 뮤지션을 육성하기 위한 대학의 실용음악 교육의 실질적인 교육방향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K-POP 주류의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변화된 과정을 통해 현 실용음악교육의 개선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을 살펴본 결과 K-POP의 운영 및 사업화 전략의 변화가 두드려졌고, K-POP 아티스트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K-POP과 SNS의 결합에 의한 대중음악시장의 유통망의 변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POP 주류의 한국 대중음악 산업과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첫째, 진로방향에 따른 커리큘럼 개발, 둘째, 산학 프로그램의 활성화, 셋째, 실무경력 중심의 전문 강사의 채용의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헤럴드경제, "한류의 새로운 도약"

      2 장량, "한류스타의 속성이 국가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3 권정택, "한류문화 역사와 국내 뮤지션들의 해외진출 도전사" 선 (2) : 2011

      4 반력, "한류 콘텐츠 노출정도가 한국 국가 이미지 및 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선호, "한국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의 특성과 현황에 관한 연구" 2 : 99-109, 2009

      6 정일서,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 최근의 K-POP 열풍을 계기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13

      7 정일서,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현황과 과제" 11 : 109-168, 2013

      8 장규수,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연구" 2 : 217-238, 2009

      9 박양우,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28 (28): 257-285, 2013

      10 장유정, "한국 대중음악사 개론" BM성안당 2015

      1 헤럴드경제, "한류의 새로운 도약"

      2 장량, "한류스타의 속성이 국가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3 권정택, "한류문화 역사와 국내 뮤지션들의 해외진출 도전사" 선 (2) : 2011

      4 반력, "한류 콘텐츠 노출정도가 한국 국가 이미지 및 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선호, "한국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의 특성과 현황에 관한 연구" 2 : 99-109, 2009

      6 정일서,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 최근의 K-POP 열풍을 계기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13

      7 정일서,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현황과 과제" 11 : 109-168, 2013

      8 장규수,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연구" 2 : 217-238, 2009

      9 박양우,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28 (28): 257-285, 2013

      10 장유정, "한국 대중음악사 개론" BM성안당 2015

      11 송기란, "지속가능한 K-pop산업의 생태계 구성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12 박장순, "전환기의 한류" 도서출판 북북서 2013

      13 홍정택, "인디 음악씬의 해외진출 역사와 현황 그리고 전망" 선 (2) : 2011

      14 한국콘텐츠진흥원, "음악산업 비즈니스 구조분석 보고서" 2014

      15 권석적, "음반시장붕괴와 K-POP 브랜드로 해외진출 시도" 선 (5) : 2012

      16 최규성, "우리시대우리명반: 1997년 여름 음반시장 점령"

      17 이에스더, "예술치료에서의 실용음악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문화교육학회 5 (5): 59-76, 2010

      18 하상욱, "실용음악교육에 관한 연구와 실태조사 : 국내 유명 실용음악과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영상정보대학원 2014

      19 윤정인, "신 한류 문화로서 K-Pop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0 이선호,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과 한국 음악 산업의 경향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음원산업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8 (8): 95-114, 2009

      21 홍정택, "공감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시대" 선 (3) : 2011

      22 노광우, "Youtube and K Pop fan’s Tribute Activity"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4-32, 2015

      23 최혁재, "K-pop 히트 유형 분석" 한국문화경제학회 17 (17): 3-34, 2014

      24 이유리, "K-Pop, 공감 그리고 일상학습: 대중문화를 통한 한국인의 문화인지 변화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교육학회 9 (9): 27-43, 2014

      25 최현준, "K-Pop 열풍에 따른 한국 대중음악 발전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26 정지숙, "K-POP이 국가이미지 및 제품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일본시장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27 조승현, "K-POP의 세계화를 위한 장기적 방안의 도출 -교육체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4418-4423, 2015

      28 김정호, "K-POP, 세계를 춤추게 하다" (주)FKI미디어 2013

      29 양지원, "K-POP 선호도가 국가 이미지와 K-POP 관련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2015

      30 황낙건, "K-POP 기반 마케팅이 중국 소비자의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3

      3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음악산업백서"

      3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음악산업백서"

      33 문화체육관광부, "2010 콘텐츠산업백서"

      34 한국콘텐츠진흥원, "2005 한국음악산업백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