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감추기와 드러내기 ― 젠더적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서화와 한글 텍스트 = Gender Perspectives on Visual Art and Hangeul Text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84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전통 서화의 영역에서 여성 書畵家 활동의 비가시성(invisibility)과 서화의 제찬과 제시에 보이는 한글의 비가시성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 그 자체로 젠더화된 체계인 ‘書畵’의 영역과 가부장적 한문중심의 유교사회에서 문화와 예술의 생산과 소비에 성(性)의 개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자와 한문이 갖는 젠더적 속성이 이미지와 결합될 때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 작품의 제작과 감상에 남성/성과 여성/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등 조선시대 서화의 후원과 제작과 감상, 수장 전반에 걸쳐 젠더 이데올로기의 작동 방식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논고는 여성 작가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선이라는 상층 남성 중심의 신분질서와 젠더적 질서로 위계화된 사회에서 하위주체의 여성이 회화와 문자(한글)를 통해 남성화된 서화의 세계―한문의 영역으로 소통되는―에 어떻게 침범하며 동화 또는 소외되는 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조선시대 서화 영역의 젠더성과 여성의 서화 활동을 젠더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조선시대 시각문화 속에서 한글 텍스트의 출현과 한글 사용을 둘러 싼 젠더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젠더 연구가 조선시대 미술사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개념적으로 또는 방법론적으로 어떤 의미 있는 질문을 던질 수 있는지에 대한 시론이기도 하다.
      번역하기

      조선시대 전통 서화의 영역에서 여성 書畵家 활동의 비가시성(invisibility)과 서화의 제찬과 제시에 보이는 한글의 비가시성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 그 자체로 젠더화된 체계인 ‘書畵’의 영...

      조선시대 전통 서화의 영역에서 여성 書畵家 활동의 비가시성(invisibility)과 서화의 제찬과 제시에 보이는 한글의 비가시성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 그 자체로 젠더화된 체계인 ‘書畵’의 영역과 가부장적 한문중심의 유교사회에서 문화와 예술의 생산과 소비에 성(性)의 개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자와 한문이 갖는 젠더적 속성이 이미지와 결합될 때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 작품의 제작과 감상에 남성/성과 여성/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등 조선시대 서화의 후원과 제작과 감상, 수장 전반에 걸쳐 젠더 이데올로기의 작동 방식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논고는 여성 작가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선이라는 상층 남성 중심의 신분질서와 젠더적 질서로 위계화된 사회에서 하위주체의 여성이 회화와 문자(한글)를 통해 남성화된 서화의 세계―한문의 영역으로 소통되는―에 어떻게 침범하며 동화 또는 소외되는 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조선시대 서화 영역의 젠더성과 여성의 서화 활동을 젠더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조선시대 시각문화 속에서 한글 텍스트의 출현과 한글 사용을 둘러 싼 젠더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젠더 연구가 조선시대 미술사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개념적으로 또는 방법론적으로 어떤 의미 있는 질문을 던질 수 있는지에 대한 시론이기도 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ackles the invisibility of female artists and the absence of the inscription of vernacular texts on works of art in the Joseon dynasty. This essay discusses women’s contributions as artists, patrons, and viewers while exploring how their gendered positions and roles impacted their creation’s production, appreciation, and value. Despite the social restriction and gender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ithin a male-domination society, women found meaningful places in their social order and sustainable ways to retain a sense of self-identity and exert their agency.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f visual materials revealing women’s active participation, this essay demonstrates how Hangeul, the Korean vernacular alphabet, was used as a versatile tool to uncover women’s contribution to culture as artists, patrons, and consumers. In particular, the genr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typically male-centered as women were not allowed to access formal learning and were discouraged from engaging in literati activities. Yet, considerable powerful and talented female patrons and artists ventured into the male-dominated world of arts and established new areas of art, such as Buddhist paintings and embroidery, through which they revealed their voice, agency, and power.
      번역하기

      This study tackles the invisibility of female artists and the absence of the inscription of vernacular texts on works of art in the Joseon dynasty. This essay discusses women’s contributions as artists, patrons, and viewers while exploring how their...

      This study tackles the invisibility of female artists and the absence of the inscription of vernacular texts on works of art in the Joseon dynasty. This essay discusses women’s contributions as artists, patrons, and viewers while exploring how their gendered positions and roles impacted their creation’s production, appreciation, and value. Despite the social restriction and gender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ithin a male-domination society, women found meaningful places in their social order and sustainable ways to retain a sense of self-identity and exert their agency.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f visual materials revealing women’s active participation, this essay demonstrates how Hangeul, the Korean vernacular alphabet, was used as a versatile tool to uncover women’s contribution to culture as artists, patrons, and consumers. In particular, the genr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typically male-centered as women were not allowed to access formal learning and were discouraged from engaging in literati activities. Yet, considerable powerful and talented female patrons and artists ventured into the male-dominated world of arts and established new areas of art, such as Buddhist paintings and embroidery, through which they revealed their voice, agency, and pow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