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음악강사의 심리적 어려움과 COVID-19로 인한 어려움에 대한 의미를 찾고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방과후학교 음악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167558
전주: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 2022
학위논문(석사) --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 상담심리치료학 전공 , 2022.2
2022
한국어
616.89 판사항(23)
전북특별자치도
83p.; 26 cm.
지도교수: 송현
참고문헌(p.77-82) 수록
I804:45018-20000061745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음악강사의 심리적 어려움과 COVID-19로 인한 어려움에 대한 의미를 찾고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방과후학교 음악교...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음악강사의 심리적 어려움과 COVID-19로 인한 어려움에 대한 의미를 찾고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방과후학교 음악교사로서 겪은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경험들이 자신의 삶 속에서 어떤 영향을 받게 되었는지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조사와 수집기간은 2021년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한자이며, 초·중 방과후학교 음악강사로서 활동을 하며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한 8명이 참여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당 면담 횟수는 1회에서 2회가 진행되었다. 1회당 면담시간은 평균 1시간30분이 소요되었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의미단위를 유사한 것들로 묶어 6개의 범주와 14개의 구성요소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연구문제로는 방과후학교 음악강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50개의 의미 단위와 14개의 핵심구성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6개 구성요소가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로 나타난 6개의 범주는 ‘도약하기’, ‘음악수업의 기대감’, ‘비정규직의 애환’, ‘COVID-19로 절망을 경험함 ’, ‘음악을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움’, ‘자기 성장의 기회로 삼음’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방과후학교 음악강사는 음악을 전공 후 육아로 일을 쉬게 되었고, 경력 단절 속에서 새로운 일을 시작하겠다는 결심을 하면서 관련된 음악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방과후학교 음악강사로서 활동하면서 비정규직으로 많은 애환을 경험하였고, COVID-19 이후 수업이 중지되면서 좌절과 절망감을 경험하면서 안정성과 보장성 있는 일자리를 선호하게 되어 새로운 분야에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하며 자기 성장의 기회로 삼게 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