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어 상급 학습자의 연어 운용 실태 연구 = Study on the use of Japanese Collocation by Korean advanced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11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한국인 일본어 상급 학습자들의 연어 운용 실태를 파악하고 상급 학습자들을 위한 연어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같은 주제로 모어화자와 상급 학습자가 작성한 작문을 수록한 코퍼스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작문 안에서 사용한 연어를 추출하고 이를 모어화자와 비교하는 것으로 상급 학습자의 연어 운용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급 학습자 연어 운용의 다음과 같은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 수 있었다. 첫째, 학습자들은 초기에 습득한 연어는 모어화자보다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단어의 조합뿐 아니라 연어 자체의 용법에 있어서도 모국어의 영향이 강했다. 셋째, 같은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하는 연어 및 단어가 모어화자의 그것과 다른 경우가 많았다. 넷째, 단어를 사용하는 의미 영역이 대단히 한정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상급 학습자의 연어 학습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시해 본다. 먼저 상급 학습자용 연어 리스트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이미 습득한 연어에 대해서도 그 용법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단어의 의미영역에 관한 심화 학습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적은 한국인 일본어 상급 학습자들의 연어 운용 실태를 파악하고 상급 학습자들을 위한 연어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같은 주제로 모어화자와 상급 학습자가...

      본고의 목적은 한국인 일본어 상급 학습자들의 연어 운용 실태를 파악하고 상급 학습자들을 위한 연어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같은 주제로 모어화자와 상급 학습자가 작성한 작문을 수록한 코퍼스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작문 안에서 사용한 연어를 추출하고 이를 모어화자와 비교하는 것으로 상급 학습자의 연어 운용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급 학습자 연어 운용의 다음과 같은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 수 있었다. 첫째, 학습자들은 초기에 습득한 연어는 모어화자보다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단어의 조합뿐 아니라 연어 자체의 용법에 있어서도 모국어의 영향이 강했다. 셋째, 같은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하는 연어 및 단어가 모어화자의 그것과 다른 경우가 많았다. 넷째, 단어를 사용하는 의미 영역이 대단히 한정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상급 학습자의 연어 학습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시해 본다. 먼저 상급 학습자용 연어 리스트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이미 습득한 연어에 대해서도 그 용법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단어의 의미영역에 관한 심화 학습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영주,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 연어 구성에 대해서-결합 관계와 구성 형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54) : 313-330, 2015

      2 박노순, "일본어 콜로케이션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동아시아일본학회 (70) : 43-62, 2019

      3 유은성, "일본어 어휘교육을 위한 한국어「명사(를)+받다」 연어(collocation) 패턴에 대한 일고찰 -대응되는 일본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일어교육학회 (22) : 67-80, 2012

      4 유은성, "외국어교육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連語의 대조연구 - ?명사(조사)동사?형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33) : 325-346, 2007

      5 한송화 ; 강현화,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93-316, 2004

      6 三好裕子, "連語による語彙指導の有効性の検討" 日本語教育学会 134 : 80-89, 2007

      7 秋元美晴, "語彙習得の理論と実践"句語彙項目を中心として"" 한국일어교육학회 6 : 3-15, 2004

      8 秋元美晴, "語彙教育における連語指導の意義について" 国際大学 29-47, 1993

      9 三好裕子, "語彙のネットワーク構築のための連語による指導"初級クラスにおける語彙指導の試み"" 早稲田大学日本語教育研究センター 7 : 37-38, 2019

      10 Zhenjun Su, "日本語母語話者と学習者による定式表現の産出過程の研究" 広島大学大学院教育学研究科 67 : 211-220, 2018

      1 홍영주,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 연어 구성에 대해서-결합 관계와 구성 형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54) : 313-330, 2015

      2 박노순, "일본어 콜로케이션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동아시아일본학회 (70) : 43-62, 2019

      3 유은성, "일본어 어휘교육을 위한 한국어「명사(를)+받다」 연어(collocation) 패턴에 대한 일고찰 -대응되는 일본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일어교육학회 (22) : 67-80, 2012

      4 유은성, "외국어교육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連語의 대조연구 - ?명사(조사)동사?형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33) : 325-346, 2007

      5 한송화 ; 강현화,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93-316, 2004

      6 三好裕子, "連語による語彙指導の有効性の検討" 日本語教育学会 134 : 80-89, 2007

      7 秋元美晴, "語彙習得の理論と実践"句語彙項目を中心として"" 한국일어교육학회 6 : 3-15, 2004

      8 秋元美晴, "語彙教育における連語指導の意義について" 国際大学 29-47, 1993

      9 三好裕子, "語彙のネットワーク構築のための連語による指導"初級クラスにおける語彙指導の試み"" 早稲田大学日本語教育研究センター 7 : 37-38, 2019

      10 Zhenjun Su, "日本語母語話者と学習者による定式表現の産出過程の研究" 広島大学大学院教育学研究科 67 : 211-220, 2018

      11 西川朋美, "日本語教育のためのタスク別書き言葉コーパス" ひつじ書房 403-418, 2014

      12 STRAFELLA Elga Laura, "日本語教育とコロケーション : 連語の形で用法を学ぶ重要性" 国立国語研究所 73-78, 2015

      13 劉瑞利, "日本語学習者の"名詞+動詞"コロケーションの使用と日本語能力との関係 : ―"YNU書き言葉コーパス"の分析を通して―" 日本語教育学会 166 : 62-76, 2017

      14 三好裕子, "動詞と共起する語のカテゴリー化を促す指導 : ―模擬授業における実践報告―" 日本語教育方法研究会 19 (19): 36-37, 2012

      15 三好裕子, "共起表現による日本語中級動詞の指導方法の検討 : 動詞と共起する語のカテゴリー化を促す指導の有効性とその検証" 日本語教育学会 150 : 101-115, 2011

      16 劉瑞利, "中国語を母語とする上級日本語学習者の"名詞+動詞"コロケーションの使用ー日本語母語話者との使用上の違い及び母語の影響ー" 日本語教育学会 169 : 31-45,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2-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일어교육 -> 日本語敎育
      외국어명 : The Japanese Education Association Of Korea ->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9-02-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일어교육 -> 日本語敎育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8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