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 성과 향상을 위한 평가요소들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AHP 및 FGI 방법을 중심으로 =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valuation elements for enhancing the management outcomes of public cultural art centers : focusing on the AHP and FGI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9509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상명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80 판사항(6)

      • DDC

        79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137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남규
        권말부록 수록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valuation elements to measure the management outcomes of public cultural art center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ather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was analyzed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 FGI(Focused Group Interview) on the result of the AHP was also held with professionals in the field.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questions such as how public art centers can develop a strategy for enhancing management outcomes and where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public administration of culture and art.
      The elements for evaluating outcome were analyzed and selec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reports. These elements were refined and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such as publicness, artistry, and management efficiency and 27 sub-elements, which was evaluated using the AHP method.
      The AHP analysis on the first level elements reveals that publicnes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public art centers, followed by artistry and management efficiency.
      In the publicness category, professionals in the field indicated that 󰡐expanding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enjoy culture and art'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planning events with high publicness,󰡑 󰡐encouraging education in culture and art,󰡑󰡐institutions󰡑distinctive mission·role·objective,󰡑󰡐contribution to local community,󰡑󰡐accessibility of the theater,󰡑and 󰡐focusing on minorities and diversity.󰡑
      In the artistry category,󰡐various performance·exhibitions󰡑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attracting people’s interest,󰡑󰡐reflecting the contemporary nature of the works,󰡑󰡐developing new programs and architectonics,󰡑󰡐proportion of experts in the institution,󰡑󰡐regular interchange with local artists,󰡑and󰡐active support for exclusive artists.󰡑
      In the management efficiency category,󰡐leadership of head officer󰡑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management of human resources,󰡑󰡐management of finance·accounting·budget,󰡑󰡐marketing·advertisement,󰡑󰡐theater operation rate,󰡑󰡐constructing external relationships,󰡑and 󰡐revenues of the theater.󰡑
      When it comes to the degree of importance among those sub-elements,󰡐expanding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enjoy culture and art󰡑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various performances·exhibitions,󰡑󰡐attracting people’s interest,󰡑󰡐planning events with high publicness,󰡑󰡐reflecting the contemporary nature of the works,󰡑and󰡐encouraging education in culture and art.󰡑Some sub-elemments which are lower in the rank showed much lower degrees of importance.

      In addition to the AHP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n FGI with five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the FGI, several important points were
      First,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public art centers in Korea are established with the objective of promoting publicness in art and supporting pure art performance.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a lack of publicness, an over-concentration of public art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artists, and excessive power of the head officers of art centers.
      Second, discussing about the system of evaluating the management outcomes of public art centers, the participants showed strong agreement with the result of the AHP analysis in this study.
      Third, the participants suggested some management improvement strategies,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In the case of publicness, they pointed out that centers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publicness and a balance between publicness and other elements is needed. In the case of the artistry category, they emphasized that centers should try to develop civil understanding on art by benchmarking good examples abroad. Finally, in the case of management efficiency, they suggested that centers should attenuate tension between managers and field officers by reinforcing the regulations, processes, and procedures of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we should confirm how local art centers successfully disseminate art to local residents. To achieve this goal, local art centers need to establish a way to communicate with people, to promote their participation, and to survey the satisfaction degree of local art centers, in addition to existing quantitative elements in the evaluation system. Second, centers should establish a business model for developing and marketing various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and public art centers need to develop educational art programs for citizens. Third, art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in less-developed areas to solve the problem of over-concentration of public art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In particular, the national network of public art center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mall theaters so that the main institution in a local area can manage these theaters and accessibility to art centers will be enhanced. Finall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art centers, the excessive power of head officers should be controlled by regulating and limiting their roles.

      Keyword: Public Institution of Culture and Art, Outcome Evaluation, AHP, FGI, Priority Analysis, Policy on Culture and Ar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valuation elements to measure the management outcomes of public cultural art center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ather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was anal...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valuation elements to measure the management outcomes of public cultural art center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ather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was analyzed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 FGI(Focused Group Interview) on the result of the AHP was also held with professionals in the field.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questions such as how public art centers can develop a strategy for enhancing management outcomes and where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public administration of culture and art.
      The elements for evaluating outcome were analyzed and selec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reports. These elements were refined and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such as publicness, artistry, and management efficiency and 27 sub-elements, which was evaluated using the AHP method.
      The AHP analysis on the first level elements reveals that publicnes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public art centers, followed by artistry and management efficiency.
      In the publicness category, professionals in the field indicated that 󰡐expanding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enjoy culture and art'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planning events with high publicness,󰡑 󰡐encouraging education in culture and art,󰡑󰡐institutions󰡑distinctive mission·role·objective,󰡑󰡐contribution to local community,󰡑󰡐accessibility of the theater,󰡑and 󰡐focusing on minorities and diversity.󰡑
      In the artistry category,󰡐various performance·exhibitions󰡑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attracting people’s interest,󰡑󰡐reflecting the contemporary nature of the works,󰡑󰡐developing new programs and architectonics,󰡑󰡐proportion of experts in the institution,󰡑󰡐regular interchange with local artists,󰡑and󰡐active support for exclusive artists.󰡑
      In the management efficiency category,󰡐leadership of head officer󰡑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management of human resources,󰡑󰡐management of finance·accounting·budget,󰡑󰡐marketing·advertisement,󰡑󰡐theater operation rate,󰡑󰡐constructing external relationships,󰡑and 󰡐revenues of the theater.󰡑
      When it comes to the degree of importance among those sub-elements,󰡐expanding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enjoy culture and art󰡑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various performances·exhibitions,󰡑󰡐attracting people’s interest,󰡑󰡐planning events with high publicness,󰡑󰡐reflecting the contemporary nature of the works,󰡑and󰡐encouraging education in culture and art.󰡑Some sub-elemments which are lower in the rank showed much lower degrees of importance.

      In addition to the AHP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n FGI with five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the FGI, several important points were
      First,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public art centers in Korea are established with the objective of promoting publicness in art and supporting pure art performance.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a lack of publicness, an over-concentration of public art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artists, and excessive power of the head officers of art centers.
      Second, discussing about the system of evaluating the management outcomes of public art centers, the participants showed strong agreement with the result of the AHP analysis in this study.
      Third, the participants suggested some management improvement strategies,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In the case of publicness, they pointed out that centers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publicness and a balance between publicness and other elements is needed. In the case of the artistry category, they emphasized that centers should try to develop civil understanding on art by benchmarking good examples abroad. Finally, in the case of management efficiency, they suggested that centers should attenuate tension between managers and field officers by reinforcing the regulations, processes, and procedures of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we should confirm how local art centers successfully disseminate art to local residents. To achieve this goal, local art centers need to establish a way to communicate with people, to promote their participation, and to survey the satisfaction degree of local art centers, in addition to existing quantitative elements in the evaluation system. Second, centers should establish a business model for developing and marketing various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and public art centers need to develop educational art programs for citizens. Third, art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in less-developed areas to solve the problem of over-concentration of public art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In particular, the national network of public art center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mall theaters so that the main institution in a local area can manage these theaters and accessibility to art centers will be enhanced. Finall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art centers, the excessive power of head officers should be controlled by regulating and limiting their roles.

      Keyword: Public Institution of Culture and Art, Outcome Evaluation, AHP, FGI, Priority Analysis, Policy on Culture and 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헌검토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성과 측정을 위한 요소들을 수집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식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AHP 설문의 중요도 분석을 토대로 전문가들과의 FGI(Focused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여, 기관의 입장에서 문화예술행정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떤 부문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향후 문화예술행정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선행연구 및 보고서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과 평가 체계의 구성요인들을 취합하여, 겹치는 내용을 제거하고, 상위 범주로 분류하는 과정을 거쳤다. 문헌검토를 통해 도출한 ‘공공성’, ‘예술성’, ‘경영효율성’의 3가지 상위범주 및 27개 하위 요인을 대상으로 AHP 분석을 진행하였다.
      1차 수준, 즉 상위계층의 AHP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 평가 요소들 중에서 공공성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예술성, 그리고 경영효율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2차 수준, 즉 하위 요인들의 AHP 분석 결과, 공공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중요도 평가를 보면 국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 노력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다음으로 공공성 높은 공연 기획,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기관의 사명‧역할‧목적의 명료성, 지역사회공헌, 공연장 접근성, 그리고 소수자 배려 및 다양성 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술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중요도 평가에서 응답자들은 공연 ‧ 전시프로그램의 다양성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다음으로 대중의 관심유발, 예술작품의 시대 반영, 새로운 프로그램 및 지식정보 창출, 구성원 중 문화예술 전문가 비율, 지역 문화예술계와 정기교류, 그리고 전속단체 운영활성화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경영효율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중요도 평가를 보면 기관장 리더십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았고, 그 다음으로 조직인사관리, 재정‧회계‧예산관리, 마케팅‧대외홍보, 공연장가동률, 대외협조체제 구축, 그리고 공연장수익률 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 항목 중요도 순위를 계산한 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 성과 평가를 위한 요소들 중 응답자들이 가장 크게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국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 노력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공연‧전시프로그램의 다양성, 대중의 관심유발, 공공성 높은 공연 기획, 예술작품의 시대 반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그 이하의 순위에서는 중요도가 크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AHP 분석에 더하여 공공문화예술기관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 참여자를 총 5명 선정하여 FGI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특성에 대해 공공성의 강조, 순수 예술지원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공성과 예술성 사이의 괴리, 지나친 수도권 집중, 기관과 예술가의 관계 개선, 지나치게 강한 기관장의 역할 등은 개선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 체계에 대해 논의하면서, AHP에서 도출된 1차 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즉 공공성-예술성-경영효율성의 순서로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AHP 분석결과와 관련하여 향후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공성과 관련해서는 공공성의 실현을 중요시해야 하나, 공공성 자체에 관한 인식을 개선하여 공공성에만 치우치지 않은 경영을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술성과 관련해서는 공공성과의 조화를 우선해야 하지만, 지나친 예술성의 강조보다는 해외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시민들의 전반적인 예술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경영효율성과 관련해서는 조직 구성의 효율성을 강화하여 경영자와 현장 사이의 갈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에 있어, 기존의 정량적 요소들에 더해 지역주민과의 소통 시도 및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그리고 참여한 주민들의 만족도 조사를 병행하여 실질적으로 지역별 공공문화예술기관이 해당 지역주민에게 얼마나 성공적으로 예술을 보급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중들의 관심을 끌만 한 다양한 공연‧전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보급하는 사업들의 선순환을 위해 우선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나친 수도권 편중 문제의 경우,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기관을 설치하되 소극장 및 소공연장 등을 해당 지역의 중심 문화예술기관의 하위 기관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전국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넷째, 지자체와 공공문화예술기관 사이의 관계를 재논의하면서 기관장의 역할 및 한계를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기관장의 지나친 영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는 예술계가 법제화 및 조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 전제된다.

      주제어: 공공문화예술기관, 성과평가, AHP, FGI, 중요도 분석, 문화예술정책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문헌검토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성과 측정을 위한 요소들을 수집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식으로 우선순...

      본 연구는 문헌검토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성과 측정을 위한 요소들을 수집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식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AHP 설문의 중요도 분석을 토대로 전문가들과의 FGI(Focused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여, 기관의 입장에서 문화예술행정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떤 부문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향후 문화예술행정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선행연구 및 보고서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과 평가 체계의 구성요인들을 취합하여, 겹치는 내용을 제거하고, 상위 범주로 분류하는 과정을 거쳤다. 문헌검토를 통해 도출한 ‘공공성’, ‘예술성’, ‘경영효율성’의 3가지 상위범주 및 27개 하위 요인을 대상으로 AHP 분석을 진행하였다.
      1차 수준, 즉 상위계층의 AHP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 평가 요소들 중에서 공공성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예술성, 그리고 경영효율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2차 수준, 즉 하위 요인들의 AHP 분석 결과, 공공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중요도 평가를 보면 국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 노력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다음으로 공공성 높은 공연 기획,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기관의 사명‧역할‧목적의 명료성, 지역사회공헌, 공연장 접근성, 그리고 소수자 배려 및 다양성 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술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중요도 평가에서 응답자들은 공연 ‧ 전시프로그램의 다양성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다음으로 대중의 관심유발, 예술작품의 시대 반영, 새로운 프로그램 및 지식정보 창출, 구성원 중 문화예술 전문가 비율, 지역 문화예술계와 정기교류, 그리고 전속단체 운영활성화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경영효율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중요도 평가를 보면 기관장 리더십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았고, 그 다음으로 조직인사관리, 재정‧회계‧예산관리, 마케팅‧대외홍보, 공연장가동률, 대외협조체제 구축, 그리고 공연장수익률 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 항목 중요도 순위를 계산한 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 성과 평가를 위한 요소들 중 응답자들이 가장 크게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국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 노력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공연‧전시프로그램의 다양성, 대중의 관심유발, 공공성 높은 공연 기획, 예술작품의 시대 반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그 이하의 순위에서는 중요도가 크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AHP 분석에 더하여 공공문화예술기관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 참여자를 총 5명 선정하여 FGI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특성에 대해 공공성의 강조, 순수 예술지원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공성과 예술성 사이의 괴리, 지나친 수도권 집중, 기관과 예술가의 관계 개선, 지나치게 강한 기관장의 역할 등은 개선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 체계에 대해 논의하면서, AHP에서 도출된 1차 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즉 공공성-예술성-경영효율성의 순서로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AHP 분석결과와 관련하여 향후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공성과 관련해서는 공공성의 실현을 중요시해야 하나, 공공성 자체에 관한 인식을 개선하여 공공성에만 치우치지 않은 경영을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술성과 관련해서는 공공성과의 조화를 우선해야 하지만, 지나친 예술성의 강조보다는 해외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시민들의 전반적인 예술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경영효율성과 관련해서는 조직 구성의 효율성을 강화하여 경영자와 현장 사이의 갈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에 있어, 기존의 정량적 요소들에 더해 지역주민과의 소통 시도 및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그리고 참여한 주민들의 만족도 조사를 병행하여 실질적으로 지역별 공공문화예술기관이 해당 지역주민에게 얼마나 성공적으로 예술을 보급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중들의 관심을 끌만 한 다양한 공연‧전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보급하는 사업들의 선순환을 위해 우선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나친 수도권 편중 문제의 경우,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기관을 설치하되 소극장 및 소공연장 등을 해당 지역의 중심 문화예술기관의 하위 기관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전국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넷째, 지자체와 공공문화예술기관 사이의 관계를 재논의하면서 기관장의 역할 및 한계를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기관장의 지나친 영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는 예술계가 법제화 및 조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 전제된다.

      주제어: 공공문화예술기관, 성과평가, AHP, FGI, 중요도 분석, 문화예술정책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연구문제 진술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의 범위 및 구성 8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연구문제 진술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의 범위 및 구성 8
      •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10
      • 1.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개념 및 운영 방식 10
      • 2. 공공문화예술기관 성과 평가의 의의 25
      • 3. 공공문화예술기관 성과 평가 사례 32
      • 4. 선행연구의 예술기관 운영 성과 측정 요소 47
      • 5. 선행연구 검토 및 비판적 평가 54
      • Ⅲ. 연구 방법 56
      • 1. AHP 방법의 개요 56
      • 1) 분석방법 57
      • 2) 연구설계 61
      • 2. FGI를 통한 종사자들의 인식 분석 64
      • 1) FGI(Focused Group Interview) 개요 64
      • 2) 질문지 구성과 내용 67
      • Ⅳ. 분석 결과 68
      • 1. 공공문화예술기관 운영 성과 평가 요인 분석 및 우선순위 평가 68
      • 1) 설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8
      • 2) 1차 수준(First Level)의 분석결과 69
      • 3) 2차 수준(Second Level)의 분석결과 71
      • 4) 1차 수준과 2차 수준의 통합분석결과 76
      • 2. 전문가 FGI(Focused Group Interview)를 통한 AHP 결과 분석 및 평가 79
      • 1) 참여자의 일반적 사항 80
      • 2)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특성에 대한 인식 81
      • 3)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이 경험하는 성과평가 체계에 대한 인식 87
      • 4) AHP 결과 관련 연구참여자들이 체험한 사항 91
      • 5)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의견 93
      • Ⅴ. 결론 및 제언 100
      • 1. 연구결과 요약 100
      • 2. 논의 및 제언 104
      •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 107
      • 참고문헌 109
      • 부록 117
      • ABSTRACT 13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광국, 주효진, 정홍익, 이종열, "『문화 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8

      2 이종인, "『문화정책과 문화행정』", 성남: 북코리아, 2011

      3 강내희,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정치』", 서울: 문화과학사, 2007

      4 윤민석, 이성근, "AHP기법을 이용한 마케팅 의사결정", 서울: 석정, 1994

      5 정광렬, "“문화정책 연구의 정체성과 과제”", 『문화정책논총』, 21, 2009

      6 이혜숙,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역량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2014

      7 박주동,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8

      8 허은영, "“문화시설 운영 효율성 지표개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연구, 2010

      9 류지원, 서휘석, "문화예술회관 운영주체에 따른 성과 분석", 『한국자 치행정학보』, 26(3), 2012

      10 이창민, "“문화예술기관 운영의 효율성 영향요인”", 『한국정부학회 학술 발표 논문집』, 2015

      1 박광국, 주효진, 정홍익, 이종열, "『문화 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8

      2 이종인, "『문화정책과 문화행정』", 성남: 북코리아, 2011

      3 강내희,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정치』", 서울: 문화과학사, 2007

      4 윤민석, 이성근, "AHP기법을 이용한 마케팅 의사결정", 서울: 석정, 1994

      5 정광렬, "“문화정책 연구의 정체성과 과제”", 『문화정책논총』, 21, 2009

      6 이혜숙,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역량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2014

      7 박주동,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8

      8 허은영, "“문화시설 운영 효율성 지표개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연구, 2010

      9 류지원, 서휘석, "문화예술회관 운영주체에 따른 성과 분석", 『한국자 치행정학보』, 26(3), 2012

      10 이창민, "“문화예술기관 운영의 효율성 영향요인”", 『한국정부학회 학술 발표 논문집』, 2015

      11 이은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평가 시스템 구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2 권인석, "“신공공관리론의 논리, 한계, 그리고 극복”", 『한국공공관리학 보』, 18(2), 2004

      13 손희준, 최용환,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사업에 대한 평가”", 『지방행 정연구』, 17(1), 2003

      14 이혜숙, "「공공문화예술기관 운영 성과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4

      15 이정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8

      16 이용철,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7 허난영, "“公共 公演場의 문화자본 분배유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7

      18 최영한, "공공예술지원에 있어 지원주체별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종 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6

      19 한승준, "“문화예술기관 경영평가에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예 산정책연구』, 5(1), 2016

      20 김미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성과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1 이은미, 정영기, "“공연장 예술 경영 전문인력의 역량체계에 관한 연 구”", 『예술경영연구』, 21, 2012

      22 이은미, "“공연장 경영평가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예 술경영연구』, 15, 2009

      23 이창민, "“문화예술회관의 운영주체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 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

      24 이은미, 정영기, "“공연예술단체 공공지원사업의 질적 평가에 관한 연 구”", 『예술경영연구』, 46, 2018

      25 김미리, "TQM 모델을 적용한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운영성과 평가 연 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6 문보옥, "“지역문화정책에서의 공연예술 프로그램 거버넌스 연구”", 명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7 김지현,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법적 주체에 따른 운영형태 분석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8 권윤의, "“공공예술회관의 민간위탁에 따른 공공성과 효율성의 문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9 김흥태,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 분석을 통한 운영 최적화 방안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0 김영훈,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를 위한 공연예술사업 성과분석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1 김은미, 정하소 , 오상화, 송요셉, 박소라,, 나은영, "“다매체 환경에서 청 소년의 미디어 활용 방식에 대한 FGI 연구”", 『언론정보연구』, 46(2), 2009

      32 최보연, 김세훈, "“BSC성과관리 시스템의 문화예술분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33, 2015

      33 이은미, 정영기, "“공공문화예술기관의 미션 수립과 평가의 연계성에 관 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14, 2009

      34 백승우, "“예술단체의 재원조성 사례분석을 통한 효과성 제고방안 연 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5 정영진, "“문화예술회관의 내부요소가 운영핵심가치에 미치는 영향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6 이병일, "“지방자치단체 공연문화시설 운영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 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7 김관진, "“문화산업 진흥을 위한 정부 정책 평가 지표로서의 BSC 활용 연 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38 김종헌, 조남규, "“한국공연관광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연구 중국을 중심으로”", 『MICE 관광연구』, 17(3), 2017

      39 김용민, 백상욱, "“지방정부 문화예술정책 전달체계의 효율성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사회연구』, 5(2), 2015

      40 성시경, 최선미, "“지역문화예술기관의 조직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4), 2015

      41 김영대, "“국립공연예술기관 단체의 민영화에 따른 공공성과 효율성에 관 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2 이권호, "“일본국 공립미술관 제도연구: 독립행정법인과 지정관리자제도 를 중심으로”", 『현대미술관연구』, 19, 2008

      43 최다미, "“민간위탁 지역공공문화시설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 수원 시 수원미술전시관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경영학연구』, 3(2), 2010

      44 노화준, "“지역종합개발에 있어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우선순위 설정 연구: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9(2),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