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의 조직문화, 흡수역량, 혁신능력과의 관계 : 첨단기술 벤처기업에 대한 실증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5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혁신 역량은 많은 기업들에게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수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혁신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혁신 능력을 보유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의 흡수역량 및 혁신능력을 강화시키는 문화를 만드는 데는 능숙하지 않다. 본 연구는 기업의 조직 문화가 조직의 흡수역량 및 혁신능력에 영향을 미 치고, 흡수역량은 기업의 혁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제 안을 테스트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덕 연구 개발특구의 하이테크 벤처 기업을 대상으로 총 131 개의 유효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흡수역량은 조직 문화와 혁신능력 사 이의 매개 변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경영적 함의와 간결한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흡수역량이 혁신능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흡수 역량이 기업의 혁신능력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흡수역량이 높을 수록 혁신 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모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조직 문화가 흡 수역량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조직 문화가 기업의 흡수역량을 개발 하고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역량은 외부의 지식을 통합하고 이를 기업의 역량 으로 변환함으로써 조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역량은 학습 지향적인 조직 문화의 결과이며,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창출의 기초가 된다. 셋째, 분석결과에 의하면, 흡수역량은 조직문화와 혁신능력 사이의 매개 변수이며 두 변수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한다. 이는 흡수역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기업의 조직 문화가 기업의 혁신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을 의미한다. 그러나 조직 문화가 기업의 흡수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이는 기업의 혁신능력 강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완전히 매개된 모델은 기업의 문화가 흡수역량을 강화시키고, 강화된 흡수역량은 회사의 제품 및 절차 혁신 능력을 개선하는 핵심 전략 요소임을 나타낸다.
      번역하기

      혁신 역량은 많은 기업들에게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수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혁신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혁신...

      혁신 역량은 많은 기업들에게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수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혁신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혁신 능력을 보유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의 흡수역량 및 혁신능력을 강화시키는 문화를 만드는 데는 능숙하지 않다. 본 연구는 기업의 조직 문화가 조직의 흡수역량 및 혁신능력에 영향을 미 치고, 흡수역량은 기업의 혁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제 안을 테스트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덕 연구 개발특구의 하이테크 벤처 기업을 대상으로 총 131 개의 유효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흡수역량은 조직 문화와 혁신능력 사 이의 매개 변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경영적 함의와 간결한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흡수역량이 혁신능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흡수 역량이 기업의 혁신능력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흡수역량이 높을 수록 혁신 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모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조직 문화가 흡 수역량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조직 문화가 기업의 흡수역량을 개발 하고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역량은 외부의 지식을 통합하고 이를 기업의 역량 으로 변환함으로써 조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역량은 학습 지향적인 조직 문화의 결과이며,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창출의 기초가 된다. 셋째, 분석결과에 의하면, 흡수역량은 조직문화와 혁신능력 사이의 매개 변수이며 두 변수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한다. 이는 흡수역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기업의 조직 문화가 기업의 혁신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을 의미한다. 그러나 조직 문화가 기업의 흡수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이는 기업의 혁신능력 강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완전히 매개된 모델은 기업의 문화가 흡수역량을 강화시키고, 강화된 흡수역량은 회사의 제품 및 절차 혁신 능력을 개선하는 핵심 전략 요소임을 나타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novation capability is considered as the prerequisite tool for many enterprises to enhance their productivi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capability as a tool for retain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keeps growing. While most enterprises are currently seeking well equipped innovation capability, they are not good at creating the culture for facilitating the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To improve the innovation capability, we propose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and, in sequence, the absorptive capacity affects innovation capability in Hi-tech venture enterprises. To test the above proposi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131 hi-tech venture enterprises in Daedeok Innopolis, the largest and oldest R&D cluster in Korea. In general,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as the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capability. In addition,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Mor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brief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our study suggests that absorptive capac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capability, indicating that absorptive capa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firm’s innovation capability. Thus, the higher absorptive capacity, the higher innovation capability. As predicted in the hypotheses, the research results also reveal that organization cultu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This is an important finding since it varies from prior studies that treat absorptive capacity as an exogenous variable. Our study finds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an both develop and increase a firm’s absorptive capacity. Absorptive capacity can benefit an organization by integrating external knowledge and then transforming it into the firm’s competence. This ability is part of learning 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and is the basis of the firm creating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bsorptive capacity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capability, acting as a bridg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means that if absorptive capacity is inadequate, th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a firm will have less direct effect on the firm’s innovation capability. However, if the organizational culture can increase the firm’s absorptive capacity, it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m’s innovation capacity. The completely mediating model foun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absorptive capacity is a key strategic factor in improving a firm’s product and procedure innovation capability.
      번역하기

      Innovation capability is considered as the prerequisite tool for many enterprises to enhance their productivi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capability as a tool for retain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keeps growing. While most enterprises ...

      Innovation capability is considered as the prerequisite tool for many enterprises to enhance their productivi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capability as a tool for retain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keeps growing. While most enterprises are currently seeking well equipped innovation capability, they are not good at creating the culture for facilitating the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To improve the innovation capability, we propose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and, in sequence, the absorptive capacity affects innovation capability in Hi-tech venture enterprises. To test the above proposi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131 hi-tech venture enterprises in Daedeok Innopolis, the largest and oldest R&D cluster in Korea. In general,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as the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capability. In addition,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Mor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brief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our study suggests that absorptive capac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capability, indicating that absorptive capa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firm’s innovation capability. Thus, the higher absorptive capacity, the higher innovation capability. As predicted in the hypotheses, the research results also reveal that organization cultu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This is an important finding since it varies from prior studies that treat absorptive capacity as an exogenous variable. Our study finds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an both develop and increase a firm’s absorptive capacity. Absorptive capacity can benefit an organization by integrating external knowledge and then transforming it into the firm’s competence. This ability is part of learning 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and is the basis of the firm creating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bsorptive capacity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capability, acting as a bridg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means that if absorptive capacity is inadequate, th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a firm will have less direct effect on the firm’s innovation capability. However, if the organizational culture can increase the firm’s absorptive capacity, it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m’s innovation capacity. The completely mediating model foun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absorptive capacity is a key strategic factor in improving a firm’s product and procedure innovation cap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초록
      • I. 서론
      • II. 선행연구
      • 2.1 조직문화
      • 2.2 흡수역량
      • 논문초록
      • I. 서론
      • II. 선행연구
      • 2.1 조직문화
      • 2.2 흡수역량
      • 2.3 혁신능력
      • III. 연구모형
      • 3.1 연구문제 및 모형
      •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 IV. 실증분석
      • 4.1 표본자료의 특성
      • 4.2 측정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 평가
      • 4.3 연구모형의 평가
      • 4.4 구조모델의 평가
      • 4.5 분석결과의 해석
      • V. 연구결과의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현, "인터넷기반 공급사슬관리의 구성・성공요소 분석-PLS 구조방정식 모델 접근법-" 국제e-비즈니스학회 10 (10): 257-290, 2009

      2 안건호,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과 성과" 산업개발연구소 33 (33): 153-176, 2017

      3 서준석, "성공적 지식경영 프레임웍의 구축: 첨단기술 벤처기업의 지식경영기반구조 및 문화, 지식개발역량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산업개발연구소 31 (31): 111-143, 2015

      4 노종범, "기술집약적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흡수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산업개발연구소 32 (32): 31-71, 2016

      5 V. Vroom, "Work and Motivation" Wiley 1964

      6 Tsai, C. -T.,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factors, creativ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18 (18): 527-566, 2001

      7 Godfrey, P. C., "The problem of unobservables in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16 (16): 519-533, 1995

      8 T. Baldwin, "The perils of participation : effects of choice of training on trainee motivation and learning" 44 : 51-65, 1991

      9 Prajogo, D. I., "The multidimensionality of TQM practices in determining qua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 empirical examination" 24 (24): 443-453, 2004

      10 Francis, D., "Targeting innovation and implications for capability development" 25 (25): 171-183, 2005

      1 조성현, "인터넷기반 공급사슬관리의 구성・성공요소 분석-PLS 구조방정식 모델 접근법-" 국제e-비즈니스학회 10 (10): 257-290, 2009

      2 안건호,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과 성과" 산업개발연구소 33 (33): 153-176, 2017

      3 서준석, "성공적 지식경영 프레임웍의 구축: 첨단기술 벤처기업의 지식경영기반구조 및 문화, 지식개발역량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산업개발연구소 31 (31): 111-143, 2015

      4 노종범, "기술집약적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흡수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산업개발연구소 32 (32): 31-71, 2016

      5 V. Vroom, "Work and Motivation" Wiley 1964

      6 Tsai, C. -T.,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factors, creativ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18 (18): 527-566, 2001

      7 Godfrey, P. C., "The problem of unobservables in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16 (16): 519-533, 1995

      8 T. Baldwin, "The perils of participation : effects of choice of training on trainee motivation and learning" 44 : 51-65, 1991

      9 Prajogo, D. I., "The multidimensionality of TQM practices in determining qua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 empirical examination" 24 (24): 443-453, 2004

      10 Francis, D., "Targeting innovation and implications for capability development" 25 (25): 171-183, 2005

      11 Hult, G. T. M., "Strategic supply chain management: Improving performance through a culture of competitiveness and knowledge development" 28 (28): 1035-1052, 2007

      12 P. Lane, "Relative absorptive capacity and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19 (19): 461-477, 1998

      13 M. Lenox, "Prospects for developing absorptive capacity through internal information provision" 5 : 331-345, 2004

      14 Huber, G. P., "Organizational learning : The contributing processes and the literatures" 2 (2): 88-115, 1991

      15 Schein, E. H., "Organizational leadership and culture" Jossey-Bass 1992

      16 Damanpour, F., "Organizational innovation :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34 (34): 555-590, 1991

      17 Naicker, N.,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 commitment: a case study"

      18 Barney, J. B., "Organizational culture : can it be a source of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11 (11): 656-665, 1986

      19 Cummings, T.,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Change" Irwin McGraw Hill 2005

      20 Slater, S. F., "Market Orientation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73 (73): 141-141, 2009

      21 Davenport, T. H., "Managing customer support knowledge" 40 (40): 195-208, 1998

      22 D. Minbaeva, "MNC knowledge transfer, subsidiary absorptive capacity, and HRM" 34 : 586-599, 2003

      23 Liao, S. H., "Knowledge sharing,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an empirical study of Taiwan's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33 (33): 340-359, 2007

      24 Y. Caloghirou, "Internal capabilities and external knowledge sources : complements or substitutes for innovative performance?" 24 : 29-39, 2004

      25 Subramanian, A., "Innovativeness : Redefining the concept" 13 (13): 223-243, 1996

      26 Hurley, R. F., "Innovatio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 an integration and empirical examination" 62 : 42-54, 1998

      27 Peters, T. J., "In Search of Excellence: Lessons from America’s best-run companies" Harper and Row 1982

      28 Scholderer, J., "Handbuch PLS-Pfadmodellierung" Schäffer Poeschel 2005

      29 Naman, J. L., "Entrepreneurship and the concept of fit: A model and empirical tests" 14 (14): 137-153, 1993

      30 Schein, E. H., "Dialogue and Learning" 12 (12): 3-4, 1995

      31 Cameron, K. S., "Diagnosis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Jossey-Bass 2011

      32 Williams, A., "Creativity, invention and innovation" Allen and Unwin 1999

      33 Porter, M., "Competitive Advantage Creating and Sustaining Superior Performance" Free Press 1985

      34 Denison, D. R., "Bringing corporate culture to the bottom line" 13 (13): 5-22, 1984

      35 Berrio, A. A., "An organizational culture assessment using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A profile of Ohio State University Extension" 41 (41): 2003

      36 Hult G. T. M, "An examination of a culture of competitiveness and order fulfillment cycle time within supply chains" 45 (45): 577-586, 2002

      37 Zahra, A.S, "Absorptive capacity :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27 (27): 185-203, 2002

      38 Cohen, W. M., "Absorptive capacity :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35 : 128-151, 1990

      39 Wernerfelt, B., "A resource based view of the firm" 5 (5): 171-180,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상경연구 -> 산업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12 0.8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