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on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1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on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order to figure out this relationship, the data from the 2014 National Survey on Persons of Disabilities by Ministry Health and Welfare was us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on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order to figure out this relationship, the data from the 2014 National Survey on Persons of Disabilities by Ministry Health and Welfare was used, and total 3,601 cases aged between 18 and 65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Findings from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domestic viol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participation. Seco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was detected. Third, control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a level/type of disability, IAD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cial participation.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가족이라는 사적영역에서 발생하는 폭력은 장애인의 일상을 무너뜨리는 위험요소 중 하나로 작용하며, 장애인이 사회참여활동을 통해 사회 내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동료(peers)로서의 지위...

      가족이라는 사적영역에서 발생하는 폭력은 장애인의 일상을 무너뜨리는 위험요소 중 하나로 작용하며, 장애인이 사회참여활동을 통해 사회 내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동료(peers)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타자와 동등하게 되는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에서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보건복지부의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18-65세 남녀장애인 3,601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은 사회참여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 중에는 연령, 학력, 가계소득, 장애등급, 장애유형, IADL이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정폭력 피해경험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선관수, "청소년의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9-52, 2016

      2 신은경, "지체장애인의 고용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159-184, 2008

      3 정진옥, "지적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참여에 관한 질적 연구 -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349-369, 2013

      4 한애경, "중증과 경증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125-153, 2012

      5 오혜경, "중도척수장애인의 신체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5 (15): 1-23, 2011

      6 임혜경, "장애인의 여가참여 실태와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97-319, 2014

      7 신은경, "장애인의 건강상태 분석 및 사회참여에 관한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검증 -WHODAS 2.0의 활용-" 사회복지연구소 39 : 121-148, 2014

      8 신은경, "장애인의 개인 및 지원환경요인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층모형을 이용한 분석 -"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121-146, 2007

      9 신나래, "장애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9) : 175-195, 2015

      10 김봉선, "장애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 환경적 특성과 사회적 참여를 중심으로-김봉선"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8) : 5-28, 2007

      1 선관수, "청소년의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9-52, 2016

      2 신은경, "지체장애인의 고용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159-184, 2008

      3 정진옥, "지적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참여에 관한 질적 연구 -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349-369, 2013

      4 한애경, "중증과 경증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125-153, 2012

      5 오혜경, "중도척수장애인의 신체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5 (15): 1-23, 2011

      6 임혜경, "장애인의 여가참여 실태와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97-319, 2014

      7 신은경, "장애인의 건강상태 분석 및 사회참여에 관한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검증 -WHODAS 2.0의 활용-" 사회복지연구소 39 : 121-148, 2014

      8 신은경, "장애인의 개인 및 지원환경요인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층모형을 이용한 분석 -"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121-146, 2007

      9 신나래, "장애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9) : 175-195, 2015

      10 김봉선, "장애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 환경적 특성과 사회적 참여를 중심으로-김봉선"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8) : 5-28, 2007

      11 강영실,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가정폭력실태와 사회복지적 접근방안에 대한 소고" 한국교정복지학회 (21) : 25-44, 2011

      12 박수경, "장애의 사회적 의미와 사회통합" 집문당 2008

      13 김용득, "장애와 사회복지" EM커뮤니티 2012

      14 이진희, "장애여성문제-이중차별, 취약계층, 보호의 대상이란 낡은 규정에서 벗어나기" 174 : 42-47, 2013

      15 김진우, "장애에 대한 사회적모델과 자립생활모델에 대한 이론적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39-63, 2010

      16 김진우,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의 의의와 한국사회에의 함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6) : 183-209, 2007

      17 이익섭, "자립생활서비스 이용과 지역사회참여 및 고용의 관계와 역량강화의 매개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5-24, 2007

      18 김동기, "자립생활서비스 이용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자립생활센터의 조직효과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21 : 59-92, 2009

      19 정병오, "여성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143-174, 2010

      20 류시문,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1 : 100-129, 2004

      21 변용찬, "여성장애인 생활실태와 대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22 신은경, "여성장애인 고용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43-63, 2010

      23 박자경,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27-51, 2008

      24 김재엽, "아내폭력 피해여성의 위험 음주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75-296, 2010

      25 이익섭,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149-176, 2003

      26 이정은, "내부기관 장애인의 지역사회환경 인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WHODAS 2.0의 활용-" 사회복지연구소 41 : 59-88, 2014

      27 박현숙, "고령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5 (25): 229-250, 2015

      28 김성원, "고령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5

      29 김소명, "가정폭력이 집단괴롭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와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17-32, 2004

      30 신나래,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쉼터거주여성의 생애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9 (29): 77-110, 2017

      31 심희정,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태-특성 불안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33-145, 2015

      32 김재엽, "가정폭력 피해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 영향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109-123, 2013

      33 Miller, S., "Women’s use of force : Voices of women arrested for domestic violence" 12 (12): 89-115, 2006

      34 Plummer, S-B., "Wom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with physical and sexual abu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mplications for the field" 13 (13): 15-29, 2012

      35 Powers, L., "Violence and abuse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experi ences, barriers and prevention strategies"

      36 Milberger, S., "Violence against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18 (18): 581-591, 2003

      37 Lightfoot, E., "The intersection of disbility, diversity, and domestic violence: Results of national focus groups" 18 : 133-152, 2009

      38 Barker, D., "The experience of senior stroke survivors : Factors in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wheelchair users" 73 (73): 18-25, 2006

      39 Paasilinna, S., "The effect of violence on women's elector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Bangladesh"

      40 Shakespeare, T, "The Sexual Politics of Disabled Masculinity" 17 (17): 53-64, 1999

      41 Archer, J, "Sex differences in aggression between heterosexual partners : A meta analytic review" 126 : 651-680, 2000

      42 Ballan, M., "Self-defense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 An unexplored domain in domestic violence cases" 18 (18): 1093-1107, 2012

      43 Fraser, N., "Recognition without ethics?" 18 (18): 21-42, 2001

      44 Kennedy, P., "Quality of life, social participation, appraisals and coping post spinal cord injury : a review of four community samples" 44 : 95-105, 2006

      45 Brandt, Å., "Mobility-related participation and user satisfaction: construct validity in the context of powered wheelchair use" 5 (5): 305-313, 2010

      46 Perenboom, R., "Measur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25 (25): 577-587, 2003

      47 Thiara, R., "Losing out on both counts : disabled women and domestic violence" 26 (26): 757-771, 2011

      48 Fougeyrollas, P., "Interaction of environment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participation;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pplications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7 (7): 1-16, 2002

      49 김경미,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95-119, 2010

      50 Kimmel, M., "Gender Symmetry in domestic violence : A Substantive and Methodological Research Review" 8 (8): 1332-1363, 2002

      51 Gregory, L, "Gender Scripting as a Factor in Domestic Violence" 31 (31): 172-181, 2001

      52 Whiteneck, G.,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Role in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85 : 1793-1803, 2004

      53 Kaufman Kantor, G., "Dynamics of partner violence and types of abuse and abusers"

      54 Hague, G., "Disabled women, domestic violence and social care : the risk of isolation, vulnerability, and neglect" 41 (41): 148-165, 2011

      55 Carpenter, C., "Community Particip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88 : 427-433, 2007

      56 Cardol, M., "Beyond disability: perceived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a chronic disabling condition" 16 : 27-35, 2002

      57 Jette, A., "Are the ICF activity and participation dimensions distinct?" 235 : 145-149, 2003

      58 Fiebert, M., "Annotated bibliography: References examining assaults by women on their spouses/partners" 1 : 273-286, 1997

      59 Lenker, J., "A review of conceptual models for assistive technology outcome research and practice" 15 (15): 1-15,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6 1.2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