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존의 형이상학: 『말도로르의 노래』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 = The Metaphysics of Ex-sistence: Ontological Meditations on The Songs of Maldor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6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주요 문제의식은 현존재의 존재방식인 평균적 일상성이 윤리적·법적 규범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윤리적·법적 규범성이 일상세계에서 근본적이라는 점을 보지 않았다. 바로 이것이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고통, 쾌락, 증오, 분노, 정의, 현존재의 행위에 대한 윤리적·법적 정당화 요구 등에 대한 개념이 없다시피 하다는 기이한 사실의 원인이다. 주의할 점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도덕적 선, 덕, 이타심 등 윤리학의 통념적 이념에 호소할 수 없다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하이데거는, 전회 이전이나 이후나, 가치의 이념을 비판한다. 가치의 이념이야말로, 삶의 궁극적 목적에 대한 전통 윤리학의 성찰과 맞물리며, 존재를 가치 판단적 이념인 이데아(ἰδέα), 형상(εἶδος) 내지 – 지극히 강하고, 지극히 공의롭고, 지극히 공의로우며, 지극히 선한 완전한 존재자로서의 – 신과 혼동하도록 한 으뜸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 글은 현존재의 본래성(고유함)이 현존재의 본래적(고유한) 실존의 근원적 무규범성에 대한 자각을 함축한다는 주장에서 출발한다. 그 까닭은 규범성이 현존재의 존재방식인 평균적 일성성에 속한 것이기 때문이다. 현존재의 본래적 실존의 근원적 무규범성이 지니는 존재론적 의미를 밝힐 목적으로 문학 작품 하나가 분석될 것이다. 『말도로르의 노래』가 그것이다. 이 작품은 시적 산문의 형태를 지닌 프랑스 소설로, 1868년에서 1869년 사이 우루과이에서 태어난 프랑스 소설가 이지도르 뤼시앵 뒤카스가 로트레아몽이라는 필명으로 저술하고 출판한 것이다. 『말도로르의 노래』가 현존재의 본래적 실존의 근원적 무규범성을 존재론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의미한 까닭은 소설의 주인공인 말도로르가, 가능한 한 최고로 잔인하고, 무자비하며 비인간적이 되고자 하는 가운데, 윤리적·법적 규범성이란 현존재의 비본래적(비-고유한; 탈-고유한) 실존에 속한다는 현사실성을 분명하게 자각하고 있는 비범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이 글의 주요 문제의식은 현존재의 존재방식인 평균적 일상성이 윤리적·법적 규범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윤리적·법적 규범성이 일상세계에서 근본적이�...

      이 글의 주요 문제의식은 현존재의 존재방식인 평균적 일상성이 윤리적·법적 규범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윤리적·법적 규범성이 일상세계에서 근본적이라는 점을 보지 않았다. 바로 이것이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고통, 쾌락, 증오, 분노, 정의, 현존재의 행위에 대한 윤리적·법적 정당화 요구 등에 대한 개념이 없다시피 하다는 기이한 사실의 원인이다. 주의할 점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도덕적 선, 덕, 이타심 등 윤리학의 통념적 이념에 호소할 수 없다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하이데거는, 전회 이전이나 이후나, 가치의 이념을 비판한다. 가치의 이념이야말로, 삶의 궁극적 목적에 대한 전통 윤리학의 성찰과 맞물리며, 존재를 가치 판단적 이념인 이데아(ἰδέα), 형상(εἶδος) 내지 – 지극히 강하고, 지극히 공의롭고, 지극히 공의로우며, 지극히 선한 완전한 존재자로서의 – 신과 혼동하도록 한 으뜸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 글은 현존재의 본래성(고유함)이 현존재의 본래적(고유한) 실존의 근원적 무규범성에 대한 자각을 함축한다는 주장에서 출발한다. 그 까닭은 규범성이 현존재의 존재방식인 평균적 일성성에 속한 것이기 때문이다. 현존재의 본래적 실존의 근원적 무규범성이 지니는 존재론적 의미를 밝힐 목적으로 문학 작품 하나가 분석될 것이다. 『말도로르의 노래』가 그것이다. 이 작품은 시적 산문의 형태를 지닌 프랑스 소설로, 1868년에서 1869년 사이 우루과이에서 태어난 프랑스 소설가 이지도르 뤼시앵 뒤카스가 로트레아몽이라는 필명으로 저술하고 출판한 것이다. 『말도로르의 노래』가 현존재의 본래적 실존의 근원적 무규범성을 존재론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의미한 까닭은 소설의 주인공인 말도로르가, 가능한 한 최고로 잔인하고, 무자비하며 비인간적이 되고자 하는 가운데, 윤리적·법적 규범성이란 현존재의 비본래적(비-고유한; 탈-고유한) 실존에 속한다는 현사실성을 분명하게 자각하고 있는 비범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매슬로, A. H,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17

      2 한상연, "시간과 윤리" 서광사 2021

      3 한상연, "문학과 살/몸 존재론" 세창출판사 2019

      4 로트레아몽, "말도로르의 노래" 달섬 2020

      5 하이데거, M, "니체 I" 도서출판 길 2010

      6 한상연, "공감의 존재론" 세창출판사 2018

      7 Scheler, M., "Wesen und Formen der Sympatie" 1923

      8 Maslow, A. 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Start Publishing LLC 2013

      9 Aquinas, T., "The Summa Theologica: Trans. by the fathers of the english dominican province" Catholic Way Publishing 2014

      10 Heidegger, M., "Sein und Zeit" 1993

      1 매슬로, A. H,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17

      2 한상연, "시간과 윤리" 서광사 2021

      3 한상연, "문학과 살/몸 존재론" 세창출판사 2019

      4 로트레아몽, "말도로르의 노래" 달섬 2020

      5 하이데거, M, "니체 I" 도서출판 길 2010

      6 한상연, "공감의 존재론" 세창출판사 2018

      7 Scheler, M., "Wesen und Formen der Sympatie" 1923

      8 Maslow, A. 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Start Publishing LLC 2013

      9 Aquinas, T., "The Summa Theologica: Trans. by the fathers of the english dominican province" Catholic Way Publishing 2014

      10 Heidegger, M., "Sein und Zeit" 1993

      11 Heidegger, M., "Nietzsche I" 1996

      12 Blanchot, M., "Lautréamont et Sade" Editions de Minuit 2016

      13 Kristeva, J., "La révolution du langage poétique" Editions de Seuil 1974

      14 Spinoza, B., "Ethics" Penguin Classics 2017

      15 Marion, J. -L., "Dieu sans l’être" Presses Universitaire de France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53 1.16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