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 노인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이 성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on Sex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367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on Sex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Junghee Jang, Yongsook Kim, & Sungpil Yo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over 60 years ...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on Sex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Junghee Jang, Yongsook Kim, & Sungpil Yo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f age, and verify the effect on the sex percep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number of elderly women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in K provinc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a total of 37 people, including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on the sex percep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was measured. Excluding data with many missing values ​​in the questionnaire response, data from 16 experimental group and 16 control group were finally analyzed.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ex perception score and life satisfact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indicates that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ome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x percep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 suggests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senior sex education programs.


      Key Words: Elderly Welfare, Elderly Women, Sex Education Program, Sex Perception, Life Satisfa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 노인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이 성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장 정 희*ㆍ김 용 숙**ㆍ육 성 필***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60세 이상 여성 노인에게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

      여성 노인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이 성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장 정 희*ㆍ김 용 숙**ㆍ육 성 필***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60세 이상 여성 노인에게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성인식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에 참여한 여성노인은 K도의 노인복지관 중심으로 참여한 실험집단 17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총 37명이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성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중에서 설문응답에 결측값이 많은 자료는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실험집단 16명, 통제집단 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성인식 점수와 삶의 만족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결과는 여성 노인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이 성인식 개선은 물론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성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핵심어: 노인복지, 여성 노인, 성교육프로그램, 성인식, 삶의 만족도



      □ 접수일: 2021년 12월 23일, 수정일: 2022년 1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수료(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eoul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Email: jjhee1205@hanmail.net)** 공동저자, 숭실대학교 겸임교수(Co-author, Professor, Soongsil Univ., Email: kyskdw@nate.com)*** 교신저자,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eoul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Email: ysp62@hanmail.n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희, "홀로 된 여성 노인의 성" 5 (5): 105-131, 2006

      2 나임순, "여성노인의 성지식 및 성태도가 성욕구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215-236, 2005

      3 유시순, "여성 노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6 (6): 2009

      4 홍정옥, "노인의 성생활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5 김지현, "노인의 성생활실태, 성인식 및 성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6 이창은,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7 김현철,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1

      8 최영애, "노인의 성생활 실태 및 인식 연구동향 분석" 2 (2): 759-779, 2016

      9 성문화연구소, "노인의 성" 인구보건복지협회 2006

      10 임장남, "노인성교육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7

      1 이경희, "홀로 된 여성 노인의 성" 5 (5): 105-131, 2006

      2 나임순, "여성노인의 성지식 및 성태도가 성욕구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215-236, 2005

      3 유시순, "여성 노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6 (6): 2009

      4 홍정옥, "노인의 성생활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5 김지현, "노인의 성생활실태, 성인식 및 성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6 이창은,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7 김현철,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1

      8 최영애, "노인의 성생활 실태 및 인식 연구동향 분석" 2 (2): 759-779, 2016

      9 성문화연구소, "노인의 성" 인구보건복지협회 2006

      10 임장남, "노인성교육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7

      11 정희원, "노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성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7

      12 정서연, "노년기 성인식과 성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13 성경원 ; 이영균, "노년기 성교육에 관한 실태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28) : 295-316, 2005

      14 김홍란, "노년기 부부를 위한 성적 갈등 대처교육 프로그램"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4

      15 배영희, "노년기 부부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전주시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16 Ferguson G. A., "Statistical Analysi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McGraw-Hill 1989

      17 Box, G. E. P., "Some theorems on quadratic forms applied in the study of analysis of variance problems, II. Effects of inequality of variance and of correlation between errors in the two-way classification" 25 : 484-498, 1954

      18 Susan, M., "Sexuality in older men with mental health problems" 17 (17): 271-279, 2002

      19 Minichiello, V., "Sexuality and Older People : Social Issues"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93-111, 1996

      20 Gorden, S., "Personal issues in human sexuality" Allyn & Bacon 1986

      21 Willert, A.,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Later Life Sexuality : What Clinicians Need to Know About Helping the Elderly" 22 (22): 415-435, 2000

      22 Glass, G. V., "Consequences of failure to meet assumptions underlying the fixed effects analysis of variance and covariance" 42 : 237-288, 1972

      23 통계청, "2020고령자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