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o Mental Heal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64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motion awaren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o mental health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ample of 383 undergraduate students(180 men, and 203 women) completed Emotional Clarity subscale of Tait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motion awaren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o mental health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ample of 383 undergraduate students(180 men, and 203 women) completed Emotional Clarity subscale of Tait Meta-Mood Scale, Negative Mood Regulation Scal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Beck Anxiety Inventory, Beck Depression Inventory, Somatization subscale of Symptom Checklist-90-R, and Index of Subjective Well-being Scal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was employed for analysis. In the hypothesis model, it was assumed that emotional clarity would be mediated with mental health b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well as that emotional clarity would effect on mental health. Partial mediation model was compared with liner mediation model and simple additive model.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as adopted because of its high goodness of fit and high explanatory power. In this model,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 so that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That is, this model showed that there was not only the direct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mental health but also the indirect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mental health. These results suggest framework that understands potential mechanisms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mental health. Moreover, these findings can be applied to therapy for a useful prevention and interv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인식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에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와 인...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인식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에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대학생 383명(남 180, 여 203)을 대상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에 대한 기대, 인지적 정서조절, 불안, 우울, 신체 증상,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AMOS)을 하였다. 주장 모형인 부분매개 모형 그리고 대안 모형인 완전매개 모형과 단순가산효과 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주장 모형인 부분매개 모형이 모든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만족스러운 수준의 부합치를 보여 변인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타당한 모형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모형 검증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정서인식과 정서조절 그리고 정신건강간의 단편적인 관계에 대한 포괄적이면서도 간명한 인과적 설명을 제시하며, 실제 생활 장면에서 작용하는 기제를 설명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정서와 정신건강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틀을 마련해줄 뿐 아니라, 개인이 적응적인 정서조절을 사용함으로써 건강하고 만족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정신건강을 위한 예방과 개입에 함의를 가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심리측정적 특성" 1997

      2 장수진, "직장인의 정서자각,표현과 정신건강의 관련" 성신여자대학교 2002

      3 박동건, "직장에서의 특정 부적 정서 경험에 따른 정서조절이 수행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831-852, 2004

      4 김미경, "정서주의력,정서인식의 명확성,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가 도움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1997

      5 이소연, "정서인식,스트레스 지각,통증 민감도가 신체화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2001

      6 유경, "정서 대처 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1-18, 2005

      7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2004

      8 이명신, "근로자의 주관적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 연세대학교 1998

      9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10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부 1984

      1 권석만,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심리측정적 특성" 1997

      2 장수진, "직장인의 정서자각,표현과 정신건강의 관련" 성신여자대학교 2002

      3 박동건, "직장에서의 특정 부적 정서 경험에 따른 정서조절이 수행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831-852, 2004

      4 김미경, "정서주의력,정서인식의 명확성,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가 도움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1997

      5 이소연, "정서인식,스트레스 지각,통증 민감도가 신체화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2001

      6 유경, "정서 대처 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1-18, 2005

      7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2004

      8 이명신, "근로자의 주관적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 연세대학교 1998

      9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10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부 1984

      11 Ajzen,I.,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Hall 1980

      12 이수정,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11 (11): 95-116, 1997

      13 Arthaud-Day,M.L., "The subjective well-being construct: the test of its convergent, discriminant and factorial validity" 74 (74): 445-446, 2005

      14 Boonsma,A., "The robustness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Cambridge University 1987

      15 Swinkels,A.,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21 (21): 934-949, 1995

      16 Lane,R.D.,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 a cognitive- developmental measure of emotion" 55 : 124-134, 1990

      17 Compbell,A.,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Russell Sage Foundation 1976

      18 Derogatis L.R., "Symptom Checklist-90-R.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 National Computer Systems 1997

      19 Monat,A., "Stress and coping: an antholog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20 Barrett, L. F., "Sex Differences in Emotional Awareness" 65 (65): 1027-1035, 2000

      21 Doerfler,L.A., "Self-initiated attempts to cope with depression" 5 : 367-371, 1981

      22 Ingram,R.E.,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107 (107): 156-176, 1990

      23 Nolen-Hoeksema,S., "Ruminative coping with depressed mood following loss" 67 (67): 92-104, 1994

      24 Nolen-Hoeksema,S.,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100 (100): 569-582, 1991

      25 Bentler,P.M.,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16 : 78-117, 1987

      26 Garnefski,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30 : 1311-1327, 2001

      27 Dillon,W.R., "Multivariate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1984

      28 Mayer,J.D., "Mood-congruent judgment is a general effect" 63 : 119-132, 1992

      29 Kirsch,I.,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s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37 : 306-312, 1990

      30 Catanzaro,S.J., "Mood regulation and suicidal behavior in : Suicide Science: Expanding the Boundaries" Kluwer Academic 81-103, 2000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New Hop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32 Catanzaro,S.J., "Measuring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Negative Mood Regulation: Initial Scal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54 (54): 546-563, 1990

      33 Greenberg,L.S., "Integrating an Emotion- Focused Approach to Treatment into psychotherapy Integration" 12 (12): 154-189, 2002

      34 Lane,R.D., "Impaired verbal and nonverbal emotion regulation in alexithymia" 58 : 203-210, 1996

      35 John,O.P., "Health and unhealthy emotion regulation: Personality process, individual differences, and life span development" 72 (72): 1301-1333, 2004

      36 Ryff,C.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37 Plutchik,R., "Emotions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Clinical Implication of Affect Theori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38 Cicchetti,D.,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7 : 1-10, 1995

      39 Plutchik,R., "Emotions and Life: Perspectives from Psychology, Bio- logy and Evolution" 학지사 2004

      40 Thompson,R.A.,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4 : 269-307, 1991

      41 Salovey,P.,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 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Pennebaker (Ed.),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pp. 125-154). Wa"

      42 Bonanno,G.A., "Emotion self-regulation in : Emotions: Curr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Guilford 251-286, 2001

      43 Gross,J.J, "Emotion regulation: Past, present, future" 13 : 551-573, 1999

      44 Gross,J.J.,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39 : 281-291, 2002

      45 Gross,J.J, "Emotion regulation in Adulthood: Timing is everything" 10 : 214-219, 2001

      46 Kring,A.M., "Emotion and psychopathology in : Emotions: Curr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Guilford 2001

      4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uthor 1994

      48 Mearns,J., "Coping with a break-up: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depression following the end of a romantic relationship" 60 : 327-334, 1991

      49 Garnefski,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36 : 267-276, 2004

      50 Martin,R.C.,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anger" 39 (39): 1249-1260, 2005

      51 Garnefski,N.,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 comparison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25 : 603-611, 2002

      52 Goldman,S.L.,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41 : 115-128, 1996

      53 이용호,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15 (15): 98-113, 1991

      54 Wheaton,B., "Assessing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panel models in :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y-Bass 1977

      55 Breckler,S.J., "Application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psychology: Cause for concern" 107 : 260-273, 1990

      56 Beck,A.T., "Anxious Disorders and Phobias: A Cognitive Perspective" Basic Book 1985

      57 Beck,A.T.,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4 : 561-571, 1961

      58 Mayer,J.D.,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meta-) experience of mood" 28 : 351-373,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0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 한국건강심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4 1.62 2.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