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어 신문 기사에서 자주 나타나는 직접 인용문 중, 인용 삽입절이 포함된 인용구문의 언어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인용 삽입절이 통사 구조, 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7671
신선옥 (서울대학교)
2025
Korean
인용 삽입절 ; 직접 인용문 ; 인용문 ; 인용동사 ; 피인용절 ; Incise de citation ; Discours direct ; Discours rapporté ; Verbe de citation ; Énoncé rapporté
KCI등재
학술저널
113-13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어 신문 기사에서 자주 나타나는 직접 인용문 중, 인용 삽입절이 포함된 인용구문의 언어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인용 삽입절이 통사 구조, 의...
이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어 신문 기사에서 자주 나타나는 직접 인용문 중, 인용 삽입절이 포함된 인용구문의 언어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인용 삽입절이 통사 구조, 의미 표현, 담화 구성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규명하고, 피인용절의 형식적 특성과 삽입절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프랑스어 인용 담화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프랑스 신문 코퍼스를 기반으로, 인용 삽입절이 문장 내에서 중간 또는 후미에 위치하며 주어-동사 도치 구조를 취하고 특정 시제와 결합하는 통사적 제약을 상세히 고찰하였다. 피인용절에 대해서는 다양한 문장 유형과 형태적 변이를 분석하여 삽입절과 어떻게 의미적으로 결합하고 담화적 효과를 극대화하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인용 삽입절의 동사는 단순한 발화 동사 외에도 화자의 태도나 감정, 담화 흐름을 드러내는 다양한 의미 유형을 지니며, 피인용절의 해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인용 삽입절은 인용문의 리듬을 조절하고, 다성적 담화 구조를 형성하며, 정보 전달의 객관성과 사실감을 강화하는 담화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피인용절과 인용 삽입절은 프랑스어 담화 구성에서 핵심적인 전략적 자원으로 작용하며, 향후 언어 간 비교, 장르별 분석, 디지털 텍스트 처리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는 이론적·응용적 가능성을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tte étude propose une analyse sémantique des propriétés linguistiques des discours directs contenant une incise dans les articles de presse française. En adoptant une approche syntaxique, sémantique et discursive, elle vise à mettre en lumiè...
Cette étude propose une analyse sémantique des propriétés linguistiques des discours directs contenant une incise dans les articles de presse française. En adoptant une approche syntaxique, sémantique et discursive, elle vise à mettre en lumière le rôle structurel et fonctionnel de l’incise dans la construction du discours rapporté. Celle-ci permet de transmettre fidèlement les propos originaux du locuteur, tout en explicitant leur source et en répartissant la responsabilité énonciative. À partir d’un corpus de presse française, cette recherche examine les contraintes syntaxiques régissant l’incise — notamment sa position médiane ou finale, l’inversion sujet-verbe et certaines combinaisons temporelles — ainsi que les types de verbes de citation employés. Elle analyse aussi l’articulation entre l’incise et la structure de l’énoncé rapporté afin d’en dégager les effets de sens et les fonctions discursives : gestion du rythme, polyphonie narrative, renforcement de l’objectivité et de la vraisemblance. Ainsi, loin d’être un simple élément grammatical, l’incise apparaît comme une ressource stratégique du discours francophone, ouvrant des perspectives pour des recherches contrastives, l’analyse des genres et des applications en traitement automatique des textes.
이주문학의 특수성과 보편성 - 메디 샤레프의 <파크레트 가(街)>를 중심으로
콜레트의 『학교에서의 클로딘』 속 이성애중심적 가부장제에의 순응 논리
슈바르츠바르트 사건을 통해 본 문학작품의 창작과 수용 문제 - 소수문학론을 중심으로
프랑스어 이중모음의 통시 변화에 따른 중성 참 구성요소의 위계구조 정립 - 지배음운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