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한국과 중국의 수교 이후, 양국은 30년 동안 경제, 교육, 문화 등 다방면의 교류를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하였다. 현재 급변하고 있는 세계질서 속에서 양국은 인문교류를 비롯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07696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92년 한국과 중국의 수교 이후, 양국은 30년 동안 경제, 교육, 문화 등 다방면의 교류를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하였다. 현재 급변하고 있는 세계질서 속에서 양국은 인문교류를 비롯한 ...
1992년 한국과 중국의 수교 이후, 양국은 30년 동안 경제, 교육, 문화 등 다방면의 교류를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하였다. 현재 급변하고 있는 세계질서 속에서 양국은 인문교류를 비롯한 수많은 관계 속에서 전략적 동반자로까지 관계가 격상되었으나, 최근 서로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시선을 넘어 혐오와 불신이 사회 전반으로 퍼지게 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 제도적 장치와 지방정부 및 민간 차원의 인문교류 과정들을 분석하여 양국 교류 중에 나타날 수 있는 갈등 및 오해를 발생 요인들을 정치·안보, 역사·문화, 사회 등 다각적인 관점으로 규명하여 양국의 관계가 지속 발전될 수 있도록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문교류 메커니즘의 보완적 필요에 대한 고찰과 함께 향후 양국관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현호, "한중간 학술교류의 변천과 전망 -한중인문학회의 학회사와 학술대회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54) : 1-27, 2017
2 위완잉(于婉瑩), "한중 청년세대의 상호인식에서 본 한중 인문교류 30년을 향한 새 과제" (10) : 2022
3 장호준 ; 김수한, "한중 인문유대와 지방도시간 인문교류" 중국연구센터 27 : 53-84, 2016
4 송현호, "한중 인문 교류의 현황과 과제 -교육부의 한국학진흥사업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44) : 1-24, 2014
5 김하림, "한중 수교 20년, 인문학 교류의 의미와 과제" 한중인문학회 (39) : 1-23, 2013
6 "한국인 10명 중 9명 ‘새 정부, 최우선 협력 대상은 미국’"
7 "한국관광 데이터랩(Date Lab) 관광통계자료"
8 위행복, "한⋅중 인문교류의 현황과 전망 ― 한⋅중인문학포럼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학회 (41) : 181-215, 2017
9 싱리쥐(邢麗菊),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의 해외 인문교류" 9 (9): 2021
10 싱리쥐(邢麗菊), "코로나가 한중 인문교류에 가져온 것" 8 (8): 2020
1 송현호, "한중간 학술교류의 변천과 전망 -한중인문학회의 학회사와 학술대회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54) : 1-27, 2017
2 위완잉(于婉瑩), "한중 청년세대의 상호인식에서 본 한중 인문교류 30년을 향한 새 과제" (10) : 2022
3 장호준 ; 김수한, "한중 인문유대와 지방도시간 인문교류" 중국연구센터 27 : 53-84, 2016
4 송현호, "한중 인문 교류의 현황과 과제 -교육부의 한국학진흥사업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44) : 1-24, 2014
5 김하림, "한중 수교 20년, 인문학 교류의 의미와 과제" 한중인문학회 (39) : 1-23, 2013
6 "한국인 10명 중 9명 ‘새 정부, 최우선 협력 대상은 미국’"
7 "한국관광 데이터랩(Date Lab) 관광통계자료"
8 위행복, "한⋅중 인문교류의 현황과 전망 ― 한⋅중인문학포럼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학회 (41) : 181-215, 2017
9 싱리쥐(邢麗菊),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의 해외 인문교류" 9 (9): 2021
10 싱리쥐(邢麗菊), "코로나가 한중 인문교류에 가져온 것" 8 (8): 2020
11 고광의, "중국의 고구려 역사문화 관광개발의 현황과 문제점" 고구려발해학회 36 : 133-172, 2010
12 대한민국 도지사협의회, "중국 지방정보와의 교류 매뉴얼"
13 주민욱, "중국 언론보도를 통해 살펴본 한한령(限韩令)과 우리의 대응 방안" 제주평화연구원 2017
14 권오은, "중국 소비 주도할 ‘Z세대'의 3대 특징…아이돌·서브컬쳐·애국소비"
15 박명희 ; 최은봉, "일본사회 혐한의 확산-자정의 담론구조와 한일관계의 부침" 현대일본학회 (50) : 5-26, 2019
16 표나리, "시진핑 시기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과 한·중 간 역사 갈등: 조선족 요인을 중심으로" 2022
17 조동성, "메커니즘기반관점 : 통합적 경영을 위한 새로운 전략 패러다임" 서울경제경영 2014
18 이동규 ; 김정훈 ; 김예슬 ; 임난영,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 framework)을 적용한 ‘사드(THAAD) 배치 결정 및 부지 변경’ 정책변동 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6 (16): 1-29, 2021
19 宁赋魁, "消除隔阂, 促中韩人文交流再上新台阶" 2021
20 金柄珉, "文明对话: 东亚人文交流的历史与展望" 59 (59): 2019
21 俞沂暄, "人文交流与新时代中国对外关系发展-兼与文化外交的比较分析" (05) : 2019
22 教育部国际合作与交流司中外人文交流机制办公室, "交流互鉴,合作共赢――中外高级别人文交流机制综述" (5) : 2016
23 "中国同韩国的关系" 外敎部
24 "中共中央办公厅、国务院办公厅印发《关于加强和改进中外人文交流工作的若干意见》"
25 김현정, "中 대사 ‘김치 中 종주국? 中정부입장 아냐..네티즌들 문제’"
26 宗立寧, "‘緣’理论视觉下周边人文交流路径研究:以中韩人文交流为例" 上海外国语大学 2020
27 외교부, "2015 한·중 인문교류 공동위 백서" 나무와 숲 2015
28 이승호, "2000년대 이후 夫餘史 연구 동향과 ‘POST 동북공정’" 동양학연구원 (80) : 67-87, 2020
流媒體平台上以『西遊記』爲原型的IP產出與市場反應 - 以动漫『西行纪』为中心
쌍감(双减)정책이 중국의 영어교육 플랫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反切 표음방식 고찰 - 『廣韻』 陰聲韻 韻目 反切 분석에 기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