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발전국가 시기 한국 현대 건축의 생산과 재현 = The produc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architecture in the developmental state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9761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40 판사항(6)

      • DDC

        72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26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배형민
        권말부록: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건축부 수상작 ; 김원 구술 채록문
        참고문헌: p. 225-23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was produced in the mid-1960s. Without a doubt, there were examples of modern architecture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it was 1960 when the legal and systematic grounds for the function and industry ...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was produced in the mid-1960s. Without a doubt, there were examples of modern architecture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it was 1960 when the legal and systematic grounds for the function and industry became clearer and the country secured the system that allowed various modern architectural structures-from housing to monuments-to be mass produced. In this process, the state exerted a primary influence on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The products of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were not limited to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highways, ports, industrial complexes, and apartment complexes. The state played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social domain and function of architecture, specifying what architecture should represent and what it could and could not do. Nevertheless, the state has not been featured as the agent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The modern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which portrays romantic artists as model architects and treats 20th century modernism and avant-garde style as heritages, rarely covers the role of the state. They have separated the state from civil society, and the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has focused on the latter, which is not ideal for understanding 20th century Korean architecture. Korea in the 1960s was a developmental state, and the state dominated civil society.
      There are many paths for examining the role that the state of Korea played in generating the concept of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during 1960’s-1980’s. In the mid-1950s, when human resources for architecture were insufficient and the level of social awareness regarding architecture was low, architects could secure their identity as artists by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 apparatus approved by the state to guarantee that architecture was a cultural domain different from buildings or construction. In reverse, the works of architecture that were displayed functioned as a stage that promoted development ideology. Considering the publishing market and the capacity of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Space─first published in 1967─was an exceptional magazine. Behind the publication of this magazine, which contributed significantly by spreading knowledge of Korean architecture, was an organization called the Korea Engineering Consultants Corp. (KECC). Space and Kim Swoo-geun, a well-known architect from the 1960s,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KECC, which spearheaded economic development. The distinction between development and cultur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were still valid at the time, but the latter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former.
      In a series of competitions that began in 1967, architects took on the tasks of producing monuments of the nation-state. These responsibilities represented a departure from the ideology of the early developmental state plans. The central government's complex building was to be a modern construction symbolizing the value of a country that had recently gained independence; therefore, architects would not be relying on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pattern. However, “modern architecture” could not surpass historical cultural heritages or cultural remains, and it did not reach the level of infrastructures or factory structures in representing the identity and achievements of the time. Through a series of competitions, modern architectures in Korea began to be subdivided into two domains: a domain of representation and symbolism and a domain of construction and production. The former became the task of atelier architects as it expanded to the representation of Korea in cultural facilities; the latter became the task of medium-to-large designs for offices in the construction of office buildings and other large-scale projects.
      Construction of office buildings based on the urban center redevelopment plan illustrates how macroscopic economic development plans of a developmental state are connected to the production of individual buildings. The urban center redevelopment project was a critical device that demonstrated the ideology of the developmental state's plan since the 1960s. Although it was pursued by the state, it did not provide the physical foundation to fully implement the project.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of the country was very selective, and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mental state was support for or suppression of a certain industry. Even in the early 1980s, when economic growth from the development of the heavy industry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architects had to design office buildings without steel frames and metal materials that were essential for such construction. However, office building construction completed within a short period turned into a decisive opportunity for design offices to become large in scale. representational value of architecture since the 1960s has been based on how well it represents the identity of Korea.
      The representation of Koreanness has supported the national policy on fostering national identity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the other national policy). However, as the economic development system led by the state slowly became reorganized and centered on the market and private sector, the national policy to limit and distribute the culture and its traditions also began to unravel. Independence Hall of Korea, a representative cultural project of the 1980s, reflected the change in tone to a controversial discourse regarding the identity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as an architectural structure with an autonomy in the context of site, not to mention it also represented the identity of Korea in terms of shape and arrangement and symbolized political and bureaucratic logic. This museum did not need the state as “The Other” granting significance to architecture; rather, it conveyed a certain meaning in the context of architectural history.
      A nation’s plan during the period of a developmental state contains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as well as the condition of impossibility for architecture. In Korea's case, the state plan was to set the domain and boundaries of architecture. In other words, Korean architects had to work according to constraints. In the process, they established the system of knowledge pertaining to Korea as well as the unique system for designing high-rise buildings.

      Key words: Developmental state, modern architecture, production, representation, exhibition, magazine, identity of Korea, high-rise building, large-scale design office, atelier design office, plan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세기 한국에서 현대 건축은 1960년대 중반 생산되었다. 물론 식민지 시기와 해방 후에도 현대 건축물은 생산되었다. 그러나 직능과 업역에대한 법적·제도적 근거가 더 분명해지고, 주거...

      지난 세기 한국에서 현대 건축은 1960년대 중반 생산되었다. 물론 식민지 시기와 해방 후에도 현대 건축물은 생산되었다. 그러나 직능과 업역에대한 법적·제도적 근거가 더 분명해지고, 주거에서 기념비에 이르는 여러 현대 건축물이 대량 생산될 수 있는 생산 체제가 확보된 때는 1960년이다. 이 과정에서 국가가 한국 현대 건축에 미친 영향은 지배적이었다. 경제개발5개년계획으로 대표되는 개발 체제의 산물은 고속도로, 항만, 공업
      단지, 아파트 등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국한되지 않는다. 건축의 사회적 영역과 역할, 건축이 무엇을 표상해야 하는지, 건축이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할 수 없는지를 결정하는 데에도 국가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행위자로서의 국가는 그 동안 건축사 서술에서 가시화되지 못했다. 낭만적 예술가를 건축가의 모델로, 20세기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를 유산으로 여기는 서구 근대의 건축사에서 국가의 역할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국가와 시민사회를 구분하고 후자를 중심으로 현대 건축의 역사를 서술해왔다. 그러나 이는 20세기 한국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1960년대 이후 한국은 국가가 시민사회를 압도한 발전국가였다.
      발전국가 시기 한국에서 건축물뿐 아니라 건축이란 개념이 생산되는 데에 국가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여러 경로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건축의 인적 자원이 부족하고 건축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매우 낮았던 1950년대 중반, 건축가들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미술과 나란히 참여함으로써 작가라는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는 건축이 건물이나 건설과 구별되는 문화적 영역임을 국가가 보증하는 장치였다. 역으로 전시에 출품된 건축 작업은 개발 이데올로기를 홍보하는 무대이기도 했다. 1967년 창간된 『공간』은 당시의 출판 시장과건축계의 역량을 고려하면 예외적인 잡지였다. 한국 건축의 지식을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이 잡지가 창간될 수 있는 배경에는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KECC)가 있었다. 1960년대 김수근과 『공간』은 경제개발계획의 첨병이었던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와 깊이 연루되어 있었다. 개발과 문화,건설과 건축의 구분은 그때에도 유효했지만, 후자는 전자 없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1967년부터 이어진 일련의 현상설계에서 건축가들은 국민국가의 기념비를 생산해야 하는 과제를 맡았다. 발전국가 초기 계획 이데올로기를 표상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였다. 정부종합청사 현상설계는 전통 건축의 형태를 차용하지 않고 현대 건축으로 신생 독립국의 가치를 표상해야 했다. 그러나 ‘현대 건축’은 역사를 환기하는 데에는 문화재나 유적을 이기지 못했고, 당대의 성취와 정체성을 표상하는 데에는 인프라스트럭처나 공장 구조물에 미치지 못했다. 일련의 현상설계를 통해 한국 현대 건축은 재현과 상징의 영역과 건설과 생산의 영역으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전자는 문화 시설을 중심으로 한 한국성의 재현으로 확장되어 나가며 아틀리에 건축가의 몫이 되었고, 오피스 건설과 대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후자는 중대형 설계사무소의 몫이 되었다.
      도심재개발 계획에 따른 오피스 생산은 발전국가의 거시적인 경제개발계획과 도시계획이 개별 건축물의 생산에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도심재개발 사업은 1960년대 이래 발전국가의 계획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는 중요한 장치였다. 국가가 추구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이 프로젝트를 온전히 실행할 수 있는 물적 토대를 국가는 마련하지 않았다. 국가의 경제개발계획은 대단히 선택적이었고 이는 특정산업을 부양 또는 억제하는 발전국가의 전형적인 특징이었다. 중화학공업 개발로 인한 경제성장이 고층 오피스 건설을 촉진한 80년대 초에도 건축가들은 오피스 건설에 필수적인 철골 및 금속 재료의 생산 체제 없이 오피스를 설계해야 했다. 하지만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오피스 건설은 설계사무소가 대형화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60년대 이래 건축의 재현적 가치는 한국성을 얼마나 잘 표상하는지에 따라 판단되었다. 한국성의 표현은 경제개발과 함께 양대 국가 정책이었던 민족주체성의 함양이라는 국가 정책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국가 중심 경제 개발 체제가 서서히 시장과 민간 영역 중심으로 재편되는 것과 문화를 전통과 민족 중심으로만 설정하고 보급하는 국가의 정책도 느슨해지기 시작했다. 1980년대의 대표적인 문화 프로젝트였던,독립기념관은 대단히 퇴행적이었지만 한국성을 둘러싼 담론이 축적되어 가고 이해의 양상은 변화하는 싹을 내포하고 있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형태와 배치 등에서 한국성의 재현, 정치적‧관료적 논리는 물론 대지의 맥락에서도 자유로운 건축물이었다. 건축에 의미를 부여하는 대타자로 국가를 설정하지 않은 국립현대미술관은 건축사의 맥락에서 그 의미를 읽어낼 수 있었다.
      발전국가 시기 국가의 계획은 건축의 가능성의 조건이자 불가능성의 조건이었다. 국가의 계획에 따라 건축의 영역과 한계가 설정되곤 했다. 한국의 건축가들은 이 제약적인 조건을 창작의 바탕으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적인 것을 둘러싼 지식뿐 아니라, 고층 빌딩을 설계하는 고유의 체계를 확립해나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1
      • 1. 담론적 실천........................................................................................1
      • 2. 건축의 부재와 국가의 계획................................................................5
      • 3. 발전국가의 개념.................................................................................6
      • 제1장 서론........................................................................................................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1
      • 1. 담론적 실천........................................................................................1
      • 2. 건축의 부재와 국가의 계획................................................................5
      • 3. 발전국가의 개념.................................................................................6
      • 4, 생산과 재현......................................................................................13
      • 제2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17
      • 제3절 선행 연구 정리 및 분석.......................................................................28
      • 1. 담론적 실천으로서의 건축에 관한 선행 연구...................................28
      • 2. 국가와 건축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28
      • 3. 도심재개발 계획와 중대형 오피스빌딩에 관한 선행 연구................32
      • 4. 문화시설 프로젝트에 관한 선행 연구...............................................37
      • 제2장 국가의 인준과 건축의 생산............................................................39
      • 제1절 예술로서의 건축: 건축의 국전 신설....................................................39
      • 1. 대한민국미술전람회와 작가라는 자의식............................................39
      • 2. 국가재건최고회의 시절의 국전 건축부..............................................45
      • 제2절 매체로서의 건축:『공간』과 한국기술개발공사.....................................54
      • 1. 『공간』의 창간과 석정선..................................................................54
      • 2.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의 프로젝트와 환경........................................62
      • 제3절 건설로서의 건축: 정부종합청사 현상설계............................................67
      • 1. 양식에 대한 불신..............................................................................67
      • 2. 정부종합청사 현상설계 응모안.........................................................74
      • 3. PAE와 두 정부청사..........................................................................82
      • 제4절
      • 소결................................................................................................................98
      • 제3장 도시계획, 오피스 빌딩과 중대형설계사무소의 탄생.............101
      • 제1절 계획의 대상으로서 도시.....................................................................101
      • 1.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서울도시기본계획.........................................101
      • 2. 원남로-퇴계로, 영천지구 재개발 보고서.......................................112
      • 3. 수퍼블럭과 메가스트럭처................................................................119
      • 4. 도심재개발 촉진방안과 실천의 우위...............................................128
      • 제2절 중대형 설계사무소의 부상.................................................................142
      • 1. 작가 건축가와 조직 건축가............................................................142
      • 2. 정림건축과 조직설계......................................................................148
      • 3. 원도시건축과 선험적 노력..............................................................160
      • 제3절 소결...................................................................................................170
      • 제4장 80년대 문화건축과 한국성 논의의 변화..................................173
      • 제1절 문화헌법과 80년대 문화건축.............................................................173
      • 1. 문예중흥과 4공화국 문화정책.........................................................173
      • 2. 문화창달과 5공화국의 문화정책.....................................................178
      • 제2절 독립기념관 현상설계와 외부공간.......................................................184
      • 1. 설계지침서의 구속과 해석..............................................................184
      • 2. 전통적 요소의 차용과 포스트모더니즘...........................................189
      • 3. 해석의 전유와 마당........................................................................195
      • 제3절 국립현대미술관 현상설계와 건축의 자율성.......................................202
      • 1. 문화시설의 교외화..........................................................................202
      • 2. “전통가람식 배치”와 건축의 독자성................................................208
      • 제4절 소결...................................................................................................218
      • 제5장 결론.....................................................................................................221
      • 참고문헌.........................................................................................................225
      • 부록.................................................................................................................238
      • Abstract.........................................................................................................25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기환, "“건축전”", 한국현대건축총람1: 한국의 현대건축, 한국현대건축 편찬위원회 편, 기문당, 서울, 1994

      2 이상연, "도시계획백서", [발행자불명], 서울특별시, 1962

      3 배형민, 최원준, 전봉희, 우동선, "4.3그룹 구술집,", 마티, 도서출판 마티, 2014

      4 우동선, 최원준, 전봉희, "윤승중 구술집,", 마티, 서울 : 도서출판 마티, 2014

      5 김기웅, "“독립기념관”", 건축가, 1987년 5-6월호, 1987

      6 한글라스 50년사 편찬위원회, ,, "한글라스50년사,", 서울 :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2007

      7 현대건설50년사 편찬위원회, "현대건설50년사,", 현대건설, 서울 :현대건설주식회사, 1997

      8 김종엽, "87년체제론, 창비", 파주, 2009

      9 한국건축가협회, "한국의 현대건축,", 기문당, 1994

      10 주원 편, 주원,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1966

      1 김기환, "“건축전”", 한국현대건축총람1: 한국의 현대건축, 한국현대건축 편찬위원회 편, 기문당, 서울, 1994

      2 이상연, "도시계획백서", [발행자불명], 서울특별시, 1962

      3 배형민, 최원준, 전봉희, 우동선, "4.3그룹 구술집,", 마티, 도서출판 마티, 2014

      4 우동선, 최원준, 전봉희, "윤승중 구술집,", 마티, 서울 : 도서출판 마티, 2014

      5 김기웅, "“독립기념관”", 건축가, 1987년 5-6월호, 1987

      6 한글라스 50년사 편찬위원회, ,, "한글라스50년사,", 서울 :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2007

      7 현대건설50년사 편찬위원회, "현대건설50년사,", 현대건설, 서울 :현대건설주식회사, 1997

      8 김종엽, "87년체제론, 창비", 파주, 2009

      9 한국건축가협회, "한국의 현대건축,", 기문당, 1994

      10 주원 편, 주원,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1966

      11 이성옥, "편, , 서울도시계획", 서울특별시, 1965

      12 서현, "“인터뷰: 김태수”", 국립현대미술관 1986: 과천관의 개관, 2016

      13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서울, 1996

      14 한국외환은행30년사 편찬위원회,, "한국외환은행30년사", 서울 : 한국외환은행, 1997

      15 박홍, 홍순인, 조창걸, 조영무, "“1970년대의 회고”,", 건축가 1979년 11-12월호, 1979

      16 유걸, 윤승중, "“광역수도권계획”", 공간 40호, 1970

      17 서영채, "“민족, 주체, 전통”",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 34호, 2007

      18 이상해, "“포스트모던 건축”", 건축문화, 121호, 1991

      19 신동준, "“하늘에서 보다 10”", 동아일보, 년 10월 10일, 1면, 1962

      20 김원, "“한불건축 시말기”", 건축가, 1987년 5-6월호, 1987

      21 이종건, "건축 없는 국가, 간향", 서울, 2013

      22 원도시 건축연구소,, "“건축에 대한 변명”", 건축과환경, 1호, 1984

      23 배형민, "“파편, 체험, 개념,”", 전환기의 한국 건축과 4.3그룹, 도서출판 집, 서울, 2014

      24 주원, "도시계획과 지역계획,", 서울特別市都市計劃委員會, 서울특별시도시계획위원회, 1955

      25 김용섭, "조선후기 농업사연구 1", 일조각, 1970

      26 이희태, "“등단하는 건축예술”", 조선일보, 년 11월 22일, 1955

      27 프램튼, 케네스, "현대건축: 비판적 역사,", 마티, 서울 도서출판 마티, 2017

      28 전봉희, "“4.3그룹과 건축 교육”", 전환기의 한국 건축과 4.3그룹, 도서출판 집, 서울, 2014

      29 배형민, "“파편과 체험의 언어”", 건축,도시,조경의 지식 지형, 나무도시, 고양, 2011

      30 공병호, "이용만 평전, 21세기북스", 파주, 450쪽, 2017

      31 조건영, "“시장논리와 계획논리”", 공간, 226호, 1986

      32 유걸, "“포스트모더니즘 소고”", 플러스, 14호, 1988

      33 정성화, "박정희 시대와 중동건설1,", 서울 : 도서출판 선인, 2014

      34 한국기술개발공사 30년사 편찬위원회, "한국기술개발공사 30년사,", 한국기술개발공사, 1993

      35 박정현, "“정체성과 시대의 우울”", 전환기의 한국 건축과 4.3그룹, 도서출 판 집, 서울, 2014

      36 강난형, "경복궁역의 모던 프로젝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6

      37 김종배, 임동근,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반비, 2015

      38 손정목, "서울도시계획 이야기, 한울", 파주, 2003

      39 권미원, "장소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서울, 2013

      40 창비 50년사 편찬위원회 엮음,, "창비와 사람들: 창비 50년사", 서울, 2015

      41 신기욱, "한국민족주의의 기원, 창비", 파주, 2009

      42 김영철, "“건축–그것은 무엇인가”", 건축평단, 제1호, 2015

      43 하이데거, 마르틴, "“건축함, 사유함, 거주함”", 강연과 논문, 이학사, 서울, 2008

      44 김석철, "도시를 그리는 건축가, 창비", 파주, 2014

      45 배형민, 최원준, 원정수, "지순 구술집, 도서출판 마티", 서울, null

      46 박병주, "“도시계획의 새로운 전개”",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 157호, 1982

      47 김성홍, "“민간건축의 건립과 변화”", 서울이천년사 35권, 서울역사편찬원, 서울, 2017

      48 김응석, "“퇴행적 유토피아의 목마”", 건축과환경, 1987년 9월, 1987

      49 김수근, "건축연구소, , 원남로-퇴계로", 영천 지구재개발을 위한 조사 및 기본계획, 1967

      50 정림건축, "“건축에 대한 우리의 생각”", 건축과환경, 2호, 1984

      51 김석철, 이범재, 신기철, 민현식, "“도시 속의 대규모 건축물”", 공간, 127호, 1997

      52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운동, 푸른역사", 서울, 2009

      53 박인석, "건축이 바꾼다, 도서출판 마티", 서울, 2017

      54 이경성, "어느 미술관장의 회상, 시공사", 서울, 1988

      55 박길룡, "한국 현대건축 평전, 공간서가", 서울, 2015

      56 삼우건축, "Design is Life Life is Design, 1976-2006,", 다온재, 서울 : 다온재, 2006

      57 김경수, "“원형의 도시와 건축의 자율”", 건축과환경, 1호, 1984

      58 배형민, "포트폴리오와 다이어그램, 동녘", 서울, 2013

      59 김원, 백남준, "다다익선 이야기, 도서출판 광장", 서울, 2013

      60 김영섭, "“1993/1994 건미준의 전설과 기록”", 새건축사협의회, 건축과사회, 25호(특별호), 2013

      61 김광현, "“규방의 건축을 벗어나기 위해”", 4.3그룹 전시회 도록 이시대 우 리의 건축, 안그라픽스, 서울, 1992

      62 정인국, "“미관지구 설정의 의의와 실제”",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 56호, 1973

      63 김현옥, "새로운 도시환경의 탄생을 위하여", 공간 11호, 1967

      64 이상헌, "대한민국에 건축은 없다, 효형출판", 서울, 2013

      65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책세상", 파주, 2000

      66 이현경, "1970, 80년대 한국 사극영화의 정치학",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43호, 2008

      67 황호덕, "근대 네이션과 그 표상들, 소명출판", 서울, 2005

      68 김지홍, "1960-70 국가건축사업과 전통의 재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69 김수근, "인간과 자연의 회복: 70년대의 도시론", 공간, 38호, 1970

      70 정진석, ",한국 잡지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2014

      71 주종원, "“서울도심부 불량건축물과 재개발”",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 157호, 1982

      72 김재철, "“한국건축문화운동사의 한 에포크”", 주택, 5호, 1960

      73 구축적, 정인하, "논리와 공간적 상상력: 김종성 건축론", 시공문화사, 2003

      74 강정인,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 아카넷", 서울, 2014

      75 안창모, "「강남개발과 강북의 탄생과정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 41호, 2010

      76 정호진, "「조선미술전람회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 205호, 1995

      77 민범식, 조명래, 조경진, 정인하, 배형민, 배정한, "건축,도시,조경의 지식 지형, 나무도시", 일산, 2011

      78 노영기, 도진순, "군부엘리트의 등장과 지배양식의 변화",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서울, 2004

      79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이념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5호, 1993

      80 박길룡, "“도시성능회복과 조시조직체계 공간”", 226호, 1986

      81 전봉희, "우동선, 김정식 구술집, , 도서출판 마티", 서울, 2013

      82 지주형,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책세상", 파주, 2011

      83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도시계획부, "여의도개발 MASTER PLAN을 위한 제언과 가설", 공간, 29호, 1969

      84 김종성, "“김원과의 대화: 현대건축과 건축교육”", 공간, 110호, 1976

      85 김정동, "“나상진과 그의 건축활동에 대한 소고”",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86 박신의, "“통합적 문화개념으로 헌법 다시 보기”", 헌법 다시 보기: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파주, 2007

      87 윤승중, "건축되는 도시 도시같은 건축, 간향미디어", 서울, 1997

      88 오명석, "“1960-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제4호, 1998

      89 김원, "“국립극장을 통해보는 전통논쟁의 허구”", 공간, 94호, 20-21쪽, 1974

      90 김수근, 정인하, "건축론: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 미건사", 서울, null

      91 주성수, "한국 시민사회사: 민주화기 1987-2017, 학민사", 서울, 2017

      92 강혁, "“김수근의 자유센터에 대한 비평적 독해”",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21권 1호(통권 80호), 2012

      93 이범재, "“독립기념관 준공에 즈음한 몇가지 생각”", 건축문화, 74호, 1987

      94 은정태, "“박정희시대 성역화 사업의 추이와 성격”",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제15호, 2005

      95 김정인,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주의, 역사와 현실”", 제 77호, 2010

      96 김기호, "“도심재개발을 위하 도시설계방법 연구 I”", 환경논총, 17권, 1985

      97 김희춘, "“독립기념관 건립현상공모작품 심사개요”", 건축문화, 31호, 27쪽, 1983

      98 김경수, "“건축에 있어서의 합리주의와 조형의 문제”", 건축과환경, 2호, 1984

      99 박정현, "“계획복합체 신도시와 한국 중산층의 탄생”", 중산층 시대의 디자 인 문화 1989-1997, 한국공예디자인문화재단, 서울, 2015

      100 박근호, 박정희, "경제신화 해부: 정책 없는 고도성장, 회화나무", 서울, 2007

      101 주종원, "“서울도심부 재개발 기본 계획을 위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지 27권 11호, 1983

      102 심은정, "“제5공화국 시기 프로야구 정책과 국민여가”", 역사학연구소, 역사연구, 26호, 2014

      103 지야, "니스, , “발전국가의 논리”, 비교정치론2, 한울", 파주, 1992

      104 권보드래, 박정희, "모더니즘: 유신에서 선데이서울까지, 천년의 상상", 서울, 2008

      105 전봉희, 채우리, "한국건축의 해석에 적용된 축 개념의 가능성과 한계", 2015

      106 조희연, "“동아시아 성장론의 검토-발전국가론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36호, 1997

      107 김종성,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적 수용과 건축가의 역할”", 공간, 261호, 1989

      108 이희봉, "“포스트모던 건축: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인가?”", 공간, 261호, 1989

      109 박경립, "“한국건축가협회의 창립과정과 의의, 건축과사회”", 25호, 서울, 2013

      110 이일훈, "“포스트모더니즘, 그 시의적 질문에 대한 신상진술”", 공간, 261호, 1989

      111 강혁, "“재개발의 명분과 실제: 을지로 도심 재개발의 경우”", 건축문화, 80호, 1988

      112 권도웅, "건축설계 45년 변화와 성장: 남기고 싶은 자료들, 기문당", 서울, 2014

      113 조은정, "권력과 미술: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권력과 미술, 아카넷", 서울, 2009

      114 민현식, "“건축의 본성을 끊임없이 탐색하는 심미적 이중주의자”", PA, 4호, 윤승중+변용, 1997

      115 안창모, "“1960년대 한국건축의 반공, 전통이데올로기와 모더니티”",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12권 4호, 2003

      116 윤상우, "“한국 발전국가의 형성 변동과 세계체제적 조건, 1960-1990”", 비판사회학회, 경제와사회, 75호, 2006

      117 윤상우, "동아시아 발전국가론의 비판적 검토: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50호, 2001

      118 이남희, "민중 만들기: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재현의 정치학, 후마니타스", 서울, 2015

      119 국무원, "사무처, 정부청사 건축을 위한 일본인 기술자 입국승인의 건, 년",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207, 1961

      120 박찬승, "한국학 연구 패러다임을 둘러싼 논의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제35집, 2007

      121 김원, "“국립극장을 통해보는 전통논쟁의 허구: 한국 현대건축의 위기”", 공간, 94호, 1975

      122 김동완, 장세훈, 박배균, "『산업경관의 탄생 :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발전주의 공업단지』", 알트, 서울 : 알트, 2014

      123 김동완, 박배균, "엮음, 국가와 지역: 다중 스케일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 알트", 서울, 2013

      124 오양열, "「한국의 문화행정체계 50년 : 구조 및 기능의 변천과정과 그 과제」", 문화정책논총 7호, 1995

      125 황진태, "“발전주의 도시 매트릭스의 구축: 부산의 강남 따라하기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2016

      126 김중업, "“외주는 역사의 반역행위다: 정부종합청사 설계 및 건립에 관하여”",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 vol.3 no.6. 39쪽, 1968

      127 민현식, "“사람을 위한 건축-사람에 대한 새로운 인식, 그리고 그들을 위한 건축”", 플러스, 14호, 1988

      128 김윤태, "한국의 재벌과 발전국가: 고도성장과 독재, 지배계급의 형성, 한울아카데미", 파주, 2012

      129 비숍, "클레어, , 래디컬 뮤지엄: 동시대 미술관에서 무엇이 ‘동시대적’인가?, 현실문화", 서울, 2016

      130 김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대중문화의 흔적”", 사회와역사, 93집, 2012

      131 지주형,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2016

      132 김기웅, "한국 건축에 있어서 전통성의 현대적 해석에 관한 연구: 독립기념관 건립계획안을 배경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논문, 1984

      133 김 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 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93집,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