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기 부산지역 음악단체의 활동과 음악극 창작 = Music Associations and Musical Drama Production in Bu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value and meaning of liberation period in Busan music history centering on Western music. To this end, diverse empirical materials including newspapers, magazines, music textbooks, association journals, government pub...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value and meaning of liberation period in Busan music history centering on Western music. To this end, diverse empirical materials including newspapers, magazines, music textbooks, association journals, government publications and pamphlets etc. were examined in three area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music associations, publication of media, sing-a-song together movement & music dramaㆍopera production. As a result, the liberation period as “a foundation for building growth engines of music field based on the cultural assets accumulated since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in Busan was newly identified.
      Left-right conflict,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liberation period, is hard to find in Busan, but rather musicians in Busan organized various associations to pursue exclusivity of classical music, or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uch as education and donation by concerts. “Gyeongnam Music Association”, which has 260 members and Tongyeong branch, carried out various projects such as publication of journal, organizing music competition for students and concerts. In particular, “Eumak Jubo, weekly music magazine”, published since February 1946, is a pioneering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publishing music journals in Korea. “The Busan Musicians' Association”, consists of professional musicians, pursued pure classical music only. “Noraehajahoe, sing together society” was a group that aimed to sing new and good songs together. Amateurs as well as professional musicians and artists from other fields were all involved, it contributed to expansion of the range of music creation and enjoyment.
      Other phenomena that characterize Busan music in the Liberation Period are the production of musical dramas and Korean operas. Musical dramas featuring nationalism and educational lessons were not just school events but popular cultural events encompassing parents and local residents. The development of musical drama led to the production of Korean operas such as Flute and Sword and Lakeside House. Musical dramas and operas are a comprehensive performing arts that combines music, art, dance, theater, and literature, and it has led to the convergence and development of artistic capabilities of various art genres in Busan. Therefore, the liberation period in Busan music history is not a “sprouting time” but a period to build up power that will develop music fiel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서양음악을 중심으로 해방기 부산음악사의 실상과 의미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당시 부산지역에서 발간된 신문잡지 매체, 교우회지, 협회 기관지, 음악교재, 공...

      이 글은 서양음악을 중심으로 해방기 부산음악사의 실상과 의미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당시 부산지역에서 발간된 신문잡지 매체, 교우회지, 협회 기관지, 음악교재, 공연팸플릿 들의 일차문헌을 통해 음악단체의 조직과 활동, 음악매체의 발간, 노래운동과 음악극․한국오페라 창작활동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해방기 부산음악사를 근대계몽기부터 축적해 온 부산의 문화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음악사회의 성장 동력을 구축한 시기로 새롭게 규정할 수 있었다. 해방기의 특징적인 현상인 좌우대립 양상은 지역 음악사회에서 뚜렷이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부산 음악인들은 다양한 단체를 결성하여 순수한 음악 활동을 추구하거나 교육, 음악회를 통한 사회적 기부 들의 사회 참여활동에 더 적극적이었다. 260명의 회원과 통영지부를 두었던 경남음악협회는 『음악주보』 발행, 학생콩쿠르 및 음악회 개최와 같은 다양한 사업을 펼쳤다. 특히 1946년 2월부터 발간한 『음악주보』는 우리나라 음악 관련 매체 발간의 역사상 선구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음악단체의 결성과 활동도 주목할 만했다. 부산음악가협회는 전문 연주자를 중심으로 순수 음악활동을 추구하였으며, 노래하자회는 새롭고 좋은 노래를 다함께 부르자는 취지의 모임으로 문화계 전반과 대중을 아우름으로써 음악 창작과 향유 기반을 폭넓게 형성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해방기 부산음악을 특징짓는 다른 현상은 음악극과 한국오페라 제작이다. 각 학교에서 활발히 개최된 음악극은 민족주의적․교훈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단순한 교내 행사가 아니라 학부형과 지역민을 아우르는 주요 문화 행사였다. 음악극 발달은 <피리와 칼>, <호반의 집> 들의 한국오페라 제작으로 이어졌다. 음악극과 오페라는 음악, 미술, 무용, 연극, 문학 들이 결합한 종합예술 형태이므로 부산지역의 다양한 장르의 예술적 역량을 결집하고 발전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부산음악사에서 해방기는 ‘맹아기’가 아니라 이후 부산지역 음악사회를 풍부하게 전개해 나갈 발전 동력을 구축했던 시기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원표, "향토부산" 태화출판사 1963

      2 김일림, "해방기 한국 문화운동 연구 : 문화예술 조직, 신문ㆍ잡지매체, 문화적 사건을 중심으로" (여름) : 2015

      3 권혜근, "해방공간의 음악교육 연구 -『초등 노래책』과 『남녀 중등음악 교본』 1·2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53) : 5-35, 2014

      4 권혜근, "해방공간의 음악교과서" 7 : 2013

      5 김은영, "해방공간 교향악 운동" 4 : 1995

      6 이순욱, "피란수도 부산의 문학풍경" (재)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2018

      7 김창욱, "특집: 부산음악연구의 현황과 과제" 민족음악학회 (34) : 69-111, 2007

      8 제갈삼, "초창기 부산음악사" 세종출판사 2004

      9 문교부, "초등 노래책 1~3권"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8

      10 경남음악교육연구회, "중등가곡집" 전음사 1948

      1 박원표, "향토부산" 태화출판사 1963

      2 김일림, "해방기 한국 문화운동 연구 : 문화예술 조직, 신문ㆍ잡지매체, 문화적 사건을 중심으로" (여름) : 2015

      3 권혜근, "해방공간의 음악교육 연구 -『초등 노래책』과 『남녀 중등음악 교본』 1·2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53) : 5-35, 2014

      4 권혜근, "해방공간의 음악교과서" 7 : 2013

      5 김은영, "해방공간 교향악 운동" 4 : 1995

      6 이순욱, "피란수도 부산의 문학풍경" (재)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2018

      7 김창욱, "특집: 부산음악연구의 현황과 과제" 민족음악학회 (34) : 69-111, 2007

      8 제갈삼, "초창기 부산음악사" 세종출판사 2004

      9 문교부, "초등 노래책 1~3권"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8

      10 경남음악교육연구회, "중등가곡집" 전음사 1948

      11 김윤선, "작고 부산음악인 연구 1" 27 : 2004

      12 "자유민보"

      13 정영진, "일제강점기 부산의 음악" 15 : 1998

      14 정영진, "일제 강점기 부산음악사 시론" 8 : 2001

      15 "인민해방보"

      16 이강숙, "우리 양악 100년" 현암사 2001

      17 김원명, "소리의 시선 : 전환기의 지역음악문화" 경성대출판부 2011

      18 "산업신문"

      19 조선우, "부산현대음악사" 14 : 1997

      20 "부산일보"

      21 "부산인민보"

      22 박원표, "부산의 고금" 현대출판사 1965

      23 한국음악협회 부산광역시지회, "부산음악협회 45년사"

      24 부산음악인인명록편찬위원회, "부산음악인인명록"

      25 김창욱, "부산음악의 지평" 세종 2000

      26 류혜윤, "부산음악사(194~1965)" 16 : 1998

      27 조선우, "부산음악사 서술을 위한 시론" 19 : 2000

      28 고은진, "부산음악사 1991~1998 : 부산일보·국제신문·부산매일신문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9 조선우, "부산음악문화의 현주소" (창간) : 1991

      30 한국예총 부산광역시연합회, "부산예총 50년사: 1962~2011"

      31 채백, "부산언론사연구" 산지니 2012

      32 "부산신문"

      33 부산광역시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4권" 1991

      34 곽근수, "부산서양음악 30년사 : 사회사적 입장에서" (창간) : 1991

      35 "부산매일신문"

      36 홍영철, "부산극장사" 도서출판 부산포 2014

      37 "민주중보"

      38 권혜근, "미군정기의 음악 교재 연구 -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3권을 중심으로 -" 한국음악사학회 (57) : 109-143, 2016

      39 "문예신문"

      40 "문예신문"

      41 장경준, "먼구름 한형석의 생애와 독립운동" 부산근대역사관 2006

      42 "대중신문"

      43 금수현, "나의 시대 70" 월간음악출판부 1989

      44 금수현, "그랜드 오페라 장보고" 월간음악출판부 1991

      45 손선숙, "궁중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출판사 2009

      46 이순욱, "광복기 경남·부산 시인들의 문단 재편 욕망과 해방 1주년 기념시집 『날개』" 한국비평문학회 (43) : 189-226, 2012

      47 김창욱, "광복~한국전쟁기의 부산음악계—부산지역 일간지를 중심으로" 16 : 2000

      48 류덕희, "광복50주년 기념논문집 7" 광복50주년 기념사업위원회ㆍ한국학술진흥재단 1995

      49 경상남도지편찬위원회, "경상남도지 중권"

      50 이연직, "경남인명록" 동양출판사 1947

      51 유신, "개항구십년" 태화출판사 1966

      52 "『학교소식』 제1호∼제30호"

      53 "『중성』 제7호"

      54 "『음악주보』 제47호"

      55 "『서울음악신문』 제4호"

      56 "『사범일보』 제1호"

      57 "『문예신문』 제50호∼제60호"

      58 J.Peter Burkholder, "A History of Western Music" Norton 2006

      59 김용호, "1947년판 예술연감" 예술신문사 194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44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