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조경표현기법 교재를 통해 본 식물 핸드 드로잉의 변천에 관한 연구 - 한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 진민령 유산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 전공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55147
서울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 유산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 전공 , 2024. 8
2024
한국어
충청남도
; 26 cm
지도교수: 김충식
I804:44031-20000081498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조경표현기법 교재를 통해 본 식물 핸드 드로잉의 변천에 관한 연구 - 한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 진민령 유산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 전공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
현대 조경표현기법 교재를 통해 본 식물 핸드 드로잉의 변천에 관한 연구 - 한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 진민령 유산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 전공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식물 소재는 타 분야와 구별되는 조경 분야의 특징적인 요소로, 외부 환경의 설계와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물리적 요소이다. 이러한 식물 의 표현은 조경 표현기법 교재에서 가장 많은 분량으로 자세하게 다루어 진다. 특히 공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시각언어 중 드로잉은 아 이디어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형상화하고 발전시켜나가기 위해 반드시 선 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우리나라의 현대적인 조경 교육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조경 표현 은 초기부터 중요한 과정으로 다루어졌다. 교육 초기에는 국외의 문헌을 번역하고 참고하여 교재로 활용하였는데, 대부분 일본과 미국의 교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사회와 교육에서 한국의 현대 조경이 태동한 시점인 1970년 대부터 2010년대까지 발간된 삼국의 조경 표현기법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 교육된 식물 핸드 드로잉의 변천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가별 식물 핸드 드로잉의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국가 간 인용 관계 등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 표현기법에서 식물의 구조와 형상을 표현하는 정도, 추상 과 약화의 수준에 따라 5단계의 표현수준 구분 방법을 제시하 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국가별 표현기법의 교육 및 학습 수준과 비중, 표현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보는 도구를 마련하였다. 둘째, 미국, 일본, 한국에서 발간되는 교재를 통해서 식물 핸드 드로 잉의 표현수준의 변천을 확인하였으며, 그중에서도 한국은 일본 과 미국에 비하여 전 표현수준을 고르게 교육하고 있음을 밝혔 다. 셋째, 한국에서 교육된 식물 핸드 드로잉의 표현기법은 일본과 미국 의 표현을 모두 수용한 것임을 확인하였으며, 한국의 식물이나 식재, 경관 특성을 고려한 자체적인 기법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 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조경 표현기법 교재에서 나타나는 식물 핸드 드로잉의 변천 과정을 파 악할 수 있었으며, 보다 한국의 경관과 식물에 적합한 식물 표현기법을 발굴하고 교재를 발간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식물 핸 드 드로잉의 표현수준을 구분하고 한국, 일본, 미국 표현기법의 특징과 관계성을 밝힌 본 논문이 효과적인 표현기법 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설계언어, 조경문화, 전통조경, 역사, 교육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