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스 프린츠혼 『정신병자들의 조형작업(Bildnerei der Geisteskranken)』의 미학적 의의 = On the aesthetic significances of Hans Prinzhorn`s Artistry of the Mentally I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9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미술사가이자 정신의학자였던 한스 프린츠혼이 1922년 출간한 책 『정신병자들의 조형작업』의 핵심내용을 개괄하고 그 미학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 책에서 프린츠혼은 형상...

      본 논문은 미술사가이자 정신의학자였던 한스 프린츠혼이 1922년 출간한 책 『정신병자들의 조형작업』의 핵심내용을 개괄하고 그 미학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 책에서 프린츠혼은 형상화 충동이라는 개념을 모든 형상화 활동의 내적 동기로 설정, 표현욕구, 유희충동, 꾸밈충동, 모사경향, 질서화 경향, 상징욕구라는 여섯 가지 내재적 충동들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형상화를 분석하는 이론을 제시한다. 이것은 그의 주도로 수집된 정신병자들의 조형 작업물들을 단지 병리적 정신의 소산물로 보는 대신 모든 사람들에게도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형상화의 시도로 보려는 그의 기본적인 관점이 반영된 것이다. 외부세계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전적으로 자신의 내적 감각과 자의적 논리를 좇는 분열증적 자폐로 인해 정신병자들의 조형물들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사물의 모습이나 관습적 지각상을 넘어서는 자유로운 표현들이 등장한다. 나아가 바로 그러한 이유로 여기에서 프린츠혼이 제시하는 형상화 충동이 보다 분명한 형태로 가시화되고 있다. 형상화의 심리적 근거로 작용하는 형상화 충동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형상화 유형을 설명하는 그의 이론은 클레, 막스 에른스트 등을 통해 초현실주의 회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나아가 전문적인 미술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조형작업까지도 예술로 간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아웃사이더 아트라는 분야가 생겨나는 데 결정적 영향을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give an overview and to clarify the aesthetic significances of <Bildnerei der Geisteskranken> (Artistry of the Mentally Ill), which art historian and psychiatrist Hans Prinzhorn published in 1922 in Berlin. In this book he pre...

      This paper aims to give an overview and to clarify the aesthetic significances of <Bildnerei der Geisteskranken> (Artistry of the Mentally Ill), which art historian and psychiatrist Hans Prinzhorn published in 1922 in Berlin. In this book he presents a figuration theory, based on the intrinsic artisitc impulse, which he calls ``urge to compose(Gestaltungsdrang)``. This fundamental urge of human being consists of six kinds of implicit tendencies, expressive urge, playful urge, decorative urge, tendency to imitate, ordering tendency, symbolic needs, whose various relations result in the correlative forms of figurations. With this theory he sees the works of mentally ill not just as the outcome of mental pathology but as the figurative expressions of urge, which can be applied to all human being. Being away from the redemption of the outside world and immersed entirely in their own inner sense and logic, the works of the schizophrenic insane shows the free and arbitrary figurations, which go beyond our usual view of the world. This is why the expressive urge becomes more obvious appear in their artistry. Prinzhorn`s book gave an important impulse for art produced outside the mainstream, that is, the works by the non professional people who did not receive art education as like psychiatric patients, self-taught visionaries and children. Not to forget it`s direct impact on Klee and Max Ernst, and through him on Art of Surre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ander Gilman, "The Mad Man as Artist. Medicine, History and Degenerate Art" 20 (20): 1985

      2 John M. MacGrogor, "The Discovery of the Art of the Insane" 1989

      3 Jacques Derrida, "SCRIBBLE. Macht/Schreiben, In Versuch über die Hieroglyphen der Ägypter" 1980

      4 Colin Rhodes, "Outsider Art. Spontaneous Alternatives" 2000

      5 Thomas Röske, "Max Ernst entdeckt Prinzhorns Bildnerei der Geisteskranken, In Surrealismus und Wahnsinn" Sammlung Prinzhorn 2009

      6 Thomas Röske, "Inspiration und unerreichtes Vorbild. L art des fous und Surrealismus, In Surrealismus und Wahnsinn" Sammlung Prinzhorn 2009

      7 Roland Barthes, "Cy Twombly" 1983

      8 Hal foster, "Buchloh, Art since 1900, modernism, antimodernism, postmodernism" Thames & Hudson 2004

      9 Hal Foster, "Blinded Insights. On the modernist Reception of the Art of the Mentally Ill" 97 (97): 3-30, 2001

      10 Hans Prinzhorn, "Bildnerei der Geisteskranken. Ein Beitrag zur Psychologie und Psychopathologie der Gestaltung, Neudruck der zwieten Auflage" 1968

      1 Sander Gilman, "The Mad Man as Artist. Medicine, History and Degenerate Art" 20 (20): 1985

      2 John M. MacGrogor, "The Discovery of the Art of the Insane" 1989

      3 Jacques Derrida, "SCRIBBLE. Macht/Schreiben, In Versuch über die Hieroglyphen der Ägypter" 1980

      4 Colin Rhodes, "Outsider Art. Spontaneous Alternatives" 2000

      5 Thomas Röske, "Max Ernst entdeckt Prinzhorns Bildnerei der Geisteskranken, In Surrealismus und Wahnsinn" Sammlung Prinzhorn 2009

      6 Thomas Röske, "Inspiration und unerreichtes Vorbild. L art des fous und Surrealismus, In Surrealismus und Wahnsinn" Sammlung Prinzhorn 2009

      7 Roland Barthes, "Cy Twombly" 1983

      8 Hal foster, "Buchloh, Art since 1900, modernism, antimodernism, postmodernism" Thames & Hudson 2004

      9 Hal Foster, "Blinded Insights. On the modernist Reception of the Art of the Mentally Ill" 97 (97): 3-30, 2001

      10 Hans Prinzhorn, "Bildnerei der Geisteskranken. Ein Beitrag zur Psychologie und Psychopathologie der Gestaltung, Neudruck der zwieten Auflage" 1968

      11 Ludwig Klages, "Ausdrucksbewegung und Gestaltungskraft" Grundlegung der Wissenschaft vom Ausdruck 1921

      12 Hans Prinzhorn, "Artistry of the Metally Ill, In A Contribution to the Psychology and Psychopathology of Configuration"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미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1.026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