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를 위한 입문교육 프로세스 및 연구 환경 개선방안 모색  :  Amabile의 창의성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 Process of Entry Education for Creative Dance Studies and Finding Ways to Improve Research Environment - Centered in Creative Structural Elements of Amabil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50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vide entry education process which is useful to research beginners and instructors to perform creative dance studies. First, creative components such as expertise, creative-thinking skill, intrinsic task motivation which Amabile(19...

      This study is to provide entry education process which is useful to research beginners and instructors to perform creative dance studies. First, creative components such as expertise, creative-thinking skill, intrinsic task motivation which Amabile(1997) suggested have been applied first to perform studies. Then, the situation of dance studies was detailed. Models to develop creative studies have been schematized. As a result, it has been schematized from acquiring dance studies areas to recognizing dance areas and detailed knowledge in terms of expertise. from integration with adjoint academic disciplines to integration with adjoint academic disciplines of dance studies in terms of the creative-thinking skill, from provoking intrinsic motive related to studies to provoking intrinsic motive of researchers in terms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nd in order to perform expressed creative study tasks, physical, mental, emotional external environments which were insisted by Amabile have been applied to research space, emergence, and environment for mood. Then fit to environment of dance studies, it was arranged to capable research design, instruction from expert, separate theories and practices. The way to improve research environment for dance studies was classified into study fund raising, study organization, study collaborating, and study culture. Here, first, for study fund raising,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is required to foster superior thesis presenters and long/mid-term support to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need to be intensified. Second, intensive investing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by founding and increasing contract labs and university labs in order to create study organizations. Third, academic societies for non-humane studies and joint academic contest should be recommended.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professors in dance studies major needs to increase to improve study culture so as to establish dignity of dance studies and extend educational period for it the in curriculum of the graduate course at un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수행을 위하여 초보 연구자와 지도자에게 유용한 입문교육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무용학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목적이 있다. 먼저 창의적...

      이 연구는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수행을 위하여 초보 연구자와 지도자에게 유용한 입문교육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무용학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목적이 있다. 먼저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Amabile(1997)이 제안한 창의성 구성요인인 전문성(expertise), 창의적인 사고능력(creative-thinking skill), 과제동기부여(Intrinsic task motivation) 요인을 창의적인 연구수행에 1차적으로 적용한 다음 무용학 연구 상황으로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전문성은 해당학문 분야의 전문지식의 습득에서 무용학 영역인지 및 세부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창의적인 사고능력은 인접학문과의 융합에서 무용학의 인접학문 분야 융합으로, 과제동기부여는 연구수행과 관련된 내적 동기유발에서 연구자의 내적 동기유발의 과정으로 창의적인 연구 발현 모형을 도식화 하였다. 그리고 발현된 창의적인 연구 과제를 실제 수행하기 위하여 Amabile이 주장한 물리적, 정신적, 정서적 환경의 외부환경 요인을 각각 연구수행 공간, 연구 몰입, 연구 분위기의 연구 환경으로 대입한 다음 무용학 연구 환경 상황에 맞게 수행 가능한 연구 설계, 전문가의 지지, 이론과 실기의 분리로 구체화 하였다. 무용학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연구펀딩, 연구조직, 연구협력, 연구문화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펀딩 조성을 위해서는 우수논문 발표자 육성을 위한 상벌제도를 마련하여 개인과 조직에 중장기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하고 둘째, 연구조직 구성을 위해서는 대학연구소 및 계약적 민간 연구조직 설립 확충을 통해 집중투자 구조를 조성해야하며 셋째, 연구협력을 위해서는 인문학 이외의 학문분야 학회와 공동학술대회 개최를 장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무용학 이론전공 교수의 수를 증강시켜 무용학의 위상을 세우고 대학원 과정의 커리큘럼에서 무용학 연구와 관련된 교육기간을 확장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