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redictability effects on 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 in Korean = 한국어 소음속말인지에 나타나는 예측성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1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의 소음속말인지(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영어의 SPIN 테스트와 비슷한 형식을 채택하여 새로운 한국어 SPIN 테스트를 개발하였다. 예측성 효과와 소...

      본 연구는 한국어의 소음속말인지(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영어의 SPIN 테스트와 비슷한 형식을 채택하여 새로운 한국어 SPIN 테스트를 개발하였다. 예측성 효과와 소음효과, 이 둘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기존의 영어에 기반을 둔 연구에서 발견한 것들을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한국어 SPIN 테스트를 사용하여 14명의 성인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는 이전 연구들이 발견한 사항들을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첫째, 참여자들의 대체적인 SPIN 수행능력은 상대적으로 고소음 보다 저소음환경에서 더 나았다. 둘째, 문맥상 비교적 예측하기 쉬운 단어들이 예측하기 어려운 단어들보다 특히 고소음 환경에서 더 정확히 인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자들이 두 가지 종류의 정보, 즉 음성적 정보와 문맥적 정보를 말인지에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소음으로 인해서 말소리의 음성적인 특징이 약해졌을 때 청자들은 말소리를 처리하기 위해서 언어적 문맥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것들은 영어의 SPIN 테스트에 기반을 둔 기존 연구들에서 발견한 것과 일치한다. 게다가, 표적어의 빈도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한국어의 이 분야에 대한 더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 in Korean. A new type of Korean SPIN test was developed by adopting a similar format to the English SPIN test. The predictability effects, noise effects and their interactions were examined in ...

      This study investigates 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 in Korean. A new type of Korean SPIN test was developed by adopting a similar format to the English SPIN test. The predictability effects, noise effects and their interactions were examined in order to verify the previous findings based on English. The data from 14 Korean adults collected with this new type of Korean SPIN test confirmed the previous findings: first, the participants’ overall performance was better in low noise conditions than in high noise conditions. Secondly, there was a tendency for highly predictable words to be more accurately perceived than less predictable words especially in high noise condition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the listeners actively used both types of information: acoustic informa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in speech perception. When the acoustic property of the speech sound was degraded with noise, the listeners took advantage of the linguistic contextual information in their processing of the speech s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orm to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English SPIN test. In addition, a possible effect of the frequency of target word was also found, calling for further investigation in this field of research in Korean.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Literature Review
      • The Study
      • Results
      • Discussion
      • Introduction
      • Literature Review
      • The Study
      • Results
      • Discussion
      • Conclusion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리정, "소음 환경 속에서 어음인지검사도구의 개발에 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2 Miller, G. A.,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as a function of the context of the test materials" 41 : 329-335, 1951

      3 Givon, T., "Studies in syntactic typolog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43-284, 1988

      4 Bilger, R. C., "Standardization of a test of speech perception in noise" 27 : 32-48, 1984

      5 Deese, J., "Serial effects in recall of unorganized and sequentially organized verbal material" 54 (54): 180-187, 1957

      6 이선영, "Linguistic Correlates of Proficiency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언어교육원 45 (45): 319-348, 2009

      7 Kalikow, D. N., "Development of a test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using sentence materials with controlled word predictability" 61 (61): 1337-1351, 1977

      8 Kim, J. S., "Development of a test of Korean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KSPIN) using sentence materials with controlled word predictability" 7 (7): 37-50, 2000

      9 Hapsburg, D. von, "Acceptance of background noise levels in bilingual (Korean-English) listeners" 17 : 649-658, 2006

      1 안리정, "소음 환경 속에서 어음인지검사도구의 개발에 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2 Miller, G. A.,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as a function of the context of the test materials" 41 : 329-335, 1951

      3 Givon, T., "Studies in syntactic typolog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43-284, 1988

      4 Bilger, R. C., "Standardization of a test of speech perception in noise" 27 : 32-48, 1984

      5 Deese, J., "Serial effects in recall of unorganized and sequentially organized verbal material" 54 (54): 180-187, 1957

      6 이선영, "Linguistic Correlates of Proficiency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언어교육원 45 (45): 319-348, 2009

      7 Kalikow, D. N., "Development of a test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using sentence materials with controlled word predictability" 61 (61): 1337-1351, 1977

      8 Kim, J. S., "Development of a test of Korean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KSPIN) using sentence materials with controlled word predictability" 7 (7): 37-50, 2000

      9 Hapsburg, D. von, "Acceptance of background noise levels in bilingual (Korean-English) listeners" 17 : 649-65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17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