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극한기온 첫 출현일과 마지막 출현일 변화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Onset Date and End Date Changes of Extreme Temperature Event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7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of onset and end dates of extreme temperature events and examine their relationships with global warming.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daily maximum temperature,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global mean temperature anomaly. Results were similar to the trend of global temperature, showing that the onset date of extreme high temperature is advanced while the end date of extreme high temperature is delayed. Also, the change of onset (end) dates of extreme low temperature were clear, with coming later (earlier). There is more distinct change in extreme low temperature than extreme high temperature. The length between onset date and end date of extreme high (low) temperature is significantly longer (shorter). The onset (end) date of extreme high temperature has a negati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global mean temperature. The onset (end) date of extreme low temperature has a positi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global mean temperature. It might be concluded that the change of onset and end date of extreme temperature in South Korea has been affected by global warming.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of onset and end dates of extreme temperature events and examine their relationships with global warming.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daily maximum temperature,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global mean tem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of onset and end dates of extreme temperature events and examine their relationships with global warming.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daily maximum temperature,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global mean temperature anomaly. Results were similar to the trend of global temperature, showing that the onset date of extreme high temperature is advanced while the end date of extreme high temperature is delayed. Also, the change of onset (end) dates of extreme low temperature were clear, with coming later (earlier). There is more distinct change in extreme low temperature than extreme high temperature. The length between onset date and end date of extreme high (low) temperature is significantly longer (shorter). The onset (end) date of extreme high temperature has a negati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global mean temperature. The onset (end) date of extreme low temperature has a positi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global mean temperature. It might be concluded that the change of onset and end date of extreme temperature in South Korea has been affected by global warm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철, "한국의 주요 대도시에 대한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의 장기변동 경향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망" 한국기상학회 17 (17): 171-183, 2007

      2 허인혜, "한국의 이상기온 출현 빈도의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41 (41): 94-105, 2006

      3 이승호, "한국의 유역별 호우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505-520, 2011

      4 김민기, "한국의 여름철과 겨울철 지속극한기온현상의 특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12 (12): 305-320, 2017

      5 이승호, "한국의 도시화에 의한 극한기온의 변화" 대한지리학회 46 (46): 257-276, 2011

      6 이경미, "한국에서 평균기온 및 극한기온의 변화시점 분석" 대한지리학회 46 (46): 583-596, 2011

      7 권영아, "최근 한국의 서리 현상의 공간 분포와 시계열 변화 경향" 대한지리학회 41 (41): 361-372, 2006

      8 김성수, "제주지역 기온과 강수량의 기후 변동 특성" 한국지구과학회 27 (27): 188-197, 2006

      9 김도우, "우리나라 폭염 인명피해 발생특징" 한국기상학회 24 (24): 225-234, 2014

      10 최광용, "우리나라 열대야 현상 발생의 시·공간적 특징과 최근의 변화" 대한지리학회 40 (40): 730-747, 2005

      1 최병철, "한국의 주요 대도시에 대한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의 장기변동 경향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망" 한국기상학회 17 (17): 171-183, 2007

      2 허인혜, "한국의 이상기온 출현 빈도의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41 (41): 94-105, 2006

      3 이승호, "한국의 유역별 호우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505-520, 2011

      4 김민기, "한국의 여름철과 겨울철 지속극한기온현상의 특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12 (12): 305-320, 2017

      5 이승호, "한국의 도시화에 의한 극한기온의 변화" 대한지리학회 46 (46): 257-276, 2011

      6 이경미, "한국에서 평균기온 및 극한기온의 변화시점 분석" 대한지리학회 46 (46): 583-596, 2011

      7 권영아, "최근 한국의 서리 현상의 공간 분포와 시계열 변화 경향" 대한지리학회 41 (41): 361-372, 2006

      8 김성수, "제주지역 기온과 강수량의 기후 변동 특성" 한국지구과학회 27 (27): 188-197, 2006

      9 김도우, "우리나라 폭염 인명피해 발생특징" 한국기상학회 24 (24): 225-234, 2014

      10 최광용, "우리나라 열대야 현상 발생의 시·공간적 특징과 최근의 변화" 대한지리학회 40 (40): 730-747, 2005

      11 최광용, "우리나라 사계절 개시일과 지속기간" 대한지리학회 41 (41): 435-456, 2006

      12 최광용,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의 계절 내 평균 및 극한현상의 비대칭적 변화" 기후연구소 10 (10): 137-151, 2015

      13 최광용, "우리나라 겨울철 극한저온현상 발생 시 종관 기후 패턴" 대한지리학회 50 (50): 1-21, 2015

      14 권재일, "앙상블 경험적 모드 분해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봄 시작일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49 (49): 675-689, 2014

      15 임수정, "서울에서 극한기온과 초과사망자수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11 (11): 197-205, 2016

      16 곽예린, "북극 툰드라 지역의 기온변화 - 캐나다 Cambridge Bay를 사례로 -" 국토지리학회 52 (52): 311-318, 2018

      17 이승호, "기후변화가 농업생태에 미치는 영향 -나주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3 (43): 20-35, 2008

      18 Menzel, A., "Variations of the climatological growing season (1951-2000) in Germany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23 (23): 793-812, 2003

      19 Choi, G., "The relationship between polar vortex in Northern hemisphere and winter extreme temperature in Korea" 219-221, 2014

      20 Gong, D. Y., "The Siberian High and climate change over middle to high latitude Asia" 72 (72): 1-9, 2002

      21 Cho, S.-R., "Study on summe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t Hapcheon" 3 (3): 76-86, 2008

      22 Binhui Liu, "Spatiotemporal change in China's frost days and frost-free season, 1955–2000" American Geophysical Union (AGU) 113 (113): 2008

      23 Easterling, D. R., "Recent changes in frost days and the frost-free season in the United States" 83 (83): 1327-1332, 2002

      24 최광용, "Recent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대한지리학회 43 (43): 681-700, 2008

      25 Seung-Ki Min, "REVIEW Changes in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over Korea and Possible Causes: A Review" 한국기상학회 51 (51): 103-121, 2015

      26 Colin P. Morice, "Quantifying uncertainties in global and regional temperature change using an ensemble of observational estimates: The HadCRUT4 data set" American Geophysical Union (AGU) 117 (117): 2012

      27 Park, B., "On the anomaly patterns of summer temperature and the cool summer types over the Korean Peninsula" 35 : 14-22, 1996

      28 Press, W. H., "Numerical Recipes: The Art of Scientific Compu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29 IPCC,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 Climate Change Adaptation. A Special Report of Working Groups I and II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2-, 2012

      3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31 WMO, "Guidelines on Analysis of Extremes in a Changing Climate in Support of Informed Decisions for Adaptation"

      32 L. V. Alexander, "Global observed changes in daily climate extreme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merican Geophysical Union (AGU) 111 (111): 2006

      33 Herring, S. C., "Explaining extreme events of 2014 from a climate perspective" 96 (96): S1-S172, 2015

      34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Development of Alleviation Techniques and Demage Analysis on Producivity and Quality of Crop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2013

      35 Barnett, A. G., "Cold and heat waves in the United States" 112 : 218-224, 2012

      36 IPCC,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51-, 2014

      37 권영아,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자연 계절 시작일 및 지속기간 변화 전망" 대한지리학회 42 (42): 835-850,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7 0.96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