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체육교사의 학교체육 기반 건강교육 요구도 분석: Borich 요구도와 LF 모델 활용 = Study on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eeds on Physical Education-based Health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91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체육 기반 건강교육 운영 및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체육과 교육과정의 건강영역 내용의 이해수준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향후 학교 현장에서 체육수업 기반 건강교육을 담당할 예비 체육교사의 교수역량 함양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26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모든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로 분석하였으며 내용 요소별 교육요구도 순위 도출을 위해 Borich 요구도 및 LF 모델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예비 체육교사들은 청소년의 건강관리를 위한 학교 기반 건강교육은 필요하고, 체육수업에서 실시하는것이 타당하며 교육의 효과가 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체육교사로서 건강교육 관련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낮았으며 일부 세부 내용 요소에 대한 교수역량 수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영역 중 정신건강 및 사회적 건강관리를 위한 실천 방법과 운동처방 관련 세부 내용요소의 교육요구도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체육교사들의 건강교육에 대한 교수역량 함양을 위하여 교육요구도가 높은 정신건강관리 및 운동처방 관련 세부 내용이 전공 및 교직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 및 개선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체육 기반 건강교육 운영 및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체육과 교육과정의 건강영역 내용의 이해수준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향후 학교 현장에서 체...

      본 연구는 예비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체육 기반 건강교육 운영 및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체육과 교육과정의 건강영역 내용의 이해수준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향후 학교 현장에서 체육수업 기반 건강교육을 담당할 예비 체육교사의 교수역량 함양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26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모든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로 분석하였으며 내용 요소별 교육요구도 순위 도출을 위해 Borich 요구도 및 LF 모델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예비 체육교사들은 청소년의 건강관리를 위한 학교 기반 건강교육은 필요하고, 체육수업에서 실시하는것이 타당하며 교육의 효과가 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체육교사로서 건강교육 관련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낮았으며 일부 세부 내용 요소에 대한 교수역량 수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영역 중 정신건강 및 사회적 건강관리를 위한 실천 방법과 운동처방 관련 세부 내용요소의 교육요구도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체육교사들의 건강교육에 대한 교수역량 함양을 위하여 교육요구도가 높은 정신건강관리 및 운동처방 관련 세부 내용이 전공 및 교직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 및 개선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based health education and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health content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identify their educational nee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267 data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and Borich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rive the educational needs ranking by contents. As a result, subjects recognized that school-based health education for youth health management is necessary, and that it is reasonable and effective to provide it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However, their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to health education was somewhat low, and their teaching capacity level for some content elements was insufficient. Among the health areas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educational needs ranking for the content elements related to practical methods for mental health and social health manage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was high. Therefore, in order to foster the teaching capacity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health education, detailed content with high educational needs, as like mental health care or exercise prescirption, to be actively reflected and improved in major education curricula.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based health education and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health content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identi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based health education and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health content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identify their educational nee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267 data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and Borich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rive the educational needs ranking by contents. As a result, subjects recognized that school-based health education for youth health management is necessary, and that it is reasonable and effective to provide it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However, their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to health education was somewhat low, and their teaching capacity level for some content elements was insufficient. Among the health areas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educational needs ranking for the content elements related to practical methods for mental health and social health manage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was high. Therefore, in order to foster the teaching capacity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health education, detailed content with high educational needs, as like mental health care or exercise prescirption, to be actively reflected and improved in major education curricul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