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세기의 신라의 지방제도는 州-郡-城·村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군사적인 성격이 강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었다. 최상급단위인 州의 장관으로 파악되어 온 軍主는 군사적인 성격을 가장 뚜렷...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00693
2018
-
軍主 ; 州 ; 「昌寧碑」 ; 광역 주 ; 上州 ; 下州 ; 新州 ; Kunju(軍主) ; Chu(州) ; Ch’angnyongbi(昌寧碑) ; Broad-area Chu ; Sangchu(上州) ; Hachu(下州) ; Shinchu(新州)
9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5-69(4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6~7세기의 신라의 지방제도는 州-郡-城·村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군사적인 성격이 강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었다. 최상급단위인 州의 장관으로 파악되어 온 軍主는 군사적인 성격을 가장 뚜렷...
6~7세기의 신라의 지방제도는 州-郡-城·村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군사적인 성격이 강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었다. 최상급단위인 州의 장관으로 파악되어 온 軍主는 군사적인 성격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관직으로 인식되었다. 본고에서는 州에 관한 기록을 검토하여 州와 軍主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三國史記』에서 州는 특정 지역명에 州가 붙는 경우와 추상적인 의 미에 州가 붙는 경우 등 두 가지 형태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三國史記』의 기록을 바탕으로 전자에는 6停중 5개 停(=광역 州停)이 주둔하였으며, 광역단위인 후자는 광역 州停의 군사관할구역이었던 것으로 파악되어 왔다. 군주는 주의 장관으로서 특정 지명을 띤 주에 있으면서 광역 주까지를 군사적·행정적으로 관할하는 관직으로 이해되던 것이다.
하지만 「昌寧碑」(561)에는 『三國史記』의 기록과 달리 지명과 군주가 바로 결합되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군주 주둔지가 ‘州’로 불리지 않았으며, 군주가 주의 장관이 아니었음을 뒷받침해준다. 만일 「창녕비」의 ‘四方軍主’가 광역단위를 관할하였다면, 4개의 광역 주가 존재해야 하지만, 6세기 중엽 신라 영역 내에는 上州·下州·新州·于抽悉□支河西阿郡등의 광역단위만이 설정되었을 뿐, 碑利城과 대응될 광역단위는 설정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군주 주재지와 추상적인 명칭의 주는 州治와 광역 주, 군단 주둔지와 군사관할구역으로서 대응관계를 가지며 설정되지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군주는 군단의 사령관으로서 군주 주재지를 관할하였을 가능성이 크며, 7세기 전반~중반 사이에 광역 주와 군주제가 결합하기 전까지 군주의 역할은 큰 변화가 없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estimated that from the 6th to 7th century, Silla's local system consists of three sections as Chu(州)-Kun(郡)-Sŏng·Ch’on (城·村). It was understood to have strong military characteristics. Kunju(軍主), known as the governor of Chu, t...
It is estimated that from the 6th to 7th century, Silla's local system consists of three sections as Chu(州)-Kun(郡)-Sŏng·Ch’on (城·村). It was understood to have strong military characteristics. Kunju(軍主), known as the governor of Chu, the district of the highest level, was recognized as a government post showing the military characteristic most clearly. This study examines records on Chu to look into the connection between Chu and Kunju.
In Samguksagi(三國史記), Chu was recorded in two forms. One is the case when the word 'Chu' comes after specific place name and the other is after abstract word. Based on the record in Samguksagi, five of the six Jungs(停: A sort of corps) - in other words, broad-area Chujungs(廣域州停) - were stationed in the former Chus. The latter Chu, which was the broader area, was recognized as the military jurisdiction district of the broad-area Chujung. Kunju was conceived as the governor of Chu, staying at the specific-place-named Chu and controlling military affairs and administration of the broad-area Chu.
However, in discord with the record in Samguksagi, the record of Ch’angnyongbi(昌寧碑: The monument was erected at Ch’angnyong in 561) remains in the way the place name and Kunju were directly combined and recorded. It supports the opinion that the post of Kunju wasn't called 'Chu' and Kunju was not the governor of Chu. If 'Sabangkunju(四方軍主: Kunjus in four places)' governed the broad-area districts, then four broad-area Chus should've existed. But it appears that in the mid-6th-century Silla, only broad-area districts were established such as Sangchu(上州), Hachu(下州), Shinchu(新州), Wuchu·Silji·Haseoahkun(于抽悉支河西阿郡). No broad-area district was established that could correspond to Birisŏng(碑利城). Kunju's post and broad-area Chu were not in fact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governance of Chu, administrative district, army post and military jurisdiction district. There is more possibility that the jurisdiction of Kunju was limited to Kunju's post and the function of Kunju must've not experienced great change from th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목차 (Table of Contents)
「계체기」의 諸問題 - 특히 近江毛野臣의 전승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