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1133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 행정학과(원) , 2024. 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50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with University Life on Job Qualit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s

      • 형태사항

        108p ; 26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김학실
        참고문헌: 96-105p.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9702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변수 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 Occuptional Mobility Survey)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에서 만 40세 미만 대졸자 총 10,91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가중치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총 293,390명이었다. 연구 대상자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교 소재지, 직장 소재지, 거주지, 전공계열, 학교유형을 투입하였다.
      대학생활만족도를 대학의 시설요인, 지원제도요인, 전공요인으로 구성하였고, 일자리의 질은 임금 및 고용안정 요인과 적성 및 평판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자료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한 결과이다. 한편, 학업성과는 졸업평점으로 4.5점 만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데이터 자료를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차이분석을 위한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변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는 일자리의 질에 유의미한 직접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업성과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일자리의 질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활 중에 경험하는 다양한 교육과 활동들이 졸업 후 가지는 일자리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학업성과를 매개로 하여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고등교육기관과 사회가 졸업 후 좋은 일자리를 갖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환경을 조성해야 할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적절한 진로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변수 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 Occuptional Mobility Survey)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에서 만 40세 미만 대졸자 총 10,91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가중치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총 293,390명이었다. 연구 대상자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교 소재지, 직장 소재지, 거주지, 전공계열, 학교유형을 투입하였다.
      대학생활만족도를 대학의 시설요인, 지원제도요인, 전공요인으로 구성하였고, 일자리의 질은 임금 및 고용안정 요인과 적성 및 평판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자료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한 결과이다. 한편, 학업성과는 졸업평점으로 4.5점 만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데이터 자료를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차이분석을 위한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변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는 일자리의 질에 유의미한 직접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업성과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일자리의 질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활 중에 경험하는 다양한 교육과 활동들이 졸업 후 가지는 일자리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학업성과를 매개로 하여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고등교육기관과 사회가 졸업 후 좋은 일자리를 갖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환경을 조성해야 할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적절한 진로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impact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n the job quality of university graduat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what kind of direct effects does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ve on job quality?
      Third, what kind of mediating effects does academic achievement have on the impact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n job quality?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with the data of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used the data of 10,914 university graduates who were under the age of 40 from the data collected. The number increased to a total of 293,390 when weighted data was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amined in the study included gender, age, location of university, location of workplace, residence, field of specialization, and type of university.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consisted of university facility, support system, and major factors. Job quality consisted of wage, employment stability, and reputation factors. These materials were based on the 5-point Likert scale responses. Academic achievement was analyzed based on the full 4.5 grade average points.
      The data of the GOMS results was put into the reliabilit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o analyze differences, while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ed with the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findings fo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job quality.
      Third, academic achievemen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job qual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diverse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experienced during university lif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jobs that graduates get after graduation and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 has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between them. The findings imply a need to search for ways to determine what kind of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offer them proper career chances and experiences so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society can support them after gradu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impact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n the job quality of university graduat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iff...

      This study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impact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n the job quality of university graduat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what kind of direct effects does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ve on job quality?
      Third, what kind of mediating effects does academic achievement have on the impact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n job quality?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with the data of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used the data of 10,914 university graduates who were under the age of 40 from the data collected. The number increased to a total of 293,390 when weighted data was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amined in the study included gender, age, location of university, location of workplace, residence, field of specialization, and type of university.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consisted of university facility, support system, and major factors. Job quality consisted of wage, employment stability, and reputation factors. These materials were based on the 5-point Likert scale responses. Academic achievement was analyzed based on the full 4.5 grade average points.
      The data of the GOMS results was put into the reliabilit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o analyze differences, while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ed with the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findings fo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job quality.
      Third, academic achievemen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job qual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diverse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experienced during university lif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jobs that graduates get after graduation and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 has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between them. The findings imply a need to search for ways to determine what kind of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offer them proper career chances and experiences so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society can support them after grad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및 연구체계 8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검토 10
      • 1. 대학생활만족도 ·10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및 연구체계 8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검토 10
      • 1. 대학생활만족도 ·10
      • (1) 대학생활만족도의 개념 10
      • (2) 대학생활만족도의 구성요소 13
      • 2. 학업성과 15
      • (1) 학업성과의 개념 ·15
      • (2) 학업성과의 구성요소 ·18
      • 3. 일자리의 질 21
      • (1) 일자리의 질의 개념 21
      • (2) 일자리의 질의 구성요소 ·23
      • 4. 선행연구검토 26
      • (1)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 ·26
      • (2) 학업성과에 관한 선행연구 29
      • (3) 일자리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 33
      • (4) 대학생활만족도-학업성과-일자리의 질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37
      • Ⅲ. 연구방법 ·53
      •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53
      • 2. 분석대상 54
      • 3. 변수 및 측정도구 55
      • (1) 대학생활만족도 56
      • (2) 학업성과 ·58
      • (3) 일자리의 질 ·58
      • 4. 분석방법 60
      • Ⅳ. 분석결과 ·62
      • 1. 빈도분석 62
      • 2. 기술통계분석 64
      • 3. 집단 간 차이분석 65
      • (1) 대학생활만족도의 차이 65
      • (2) 학업성과의 차이 ·73
      • (3) 일자리의 질의 차이 75
      • 4. 상관관계 분석 ·81
      • 5.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성과의 매개
      • 효과 검증 84
      • Ⅴ. 결 론 87
      • 1. 연구요약 87
      • 2. 논의 및 시사점 ·88
      • 3. 한계 94
      • 참고문헌 95
      • 부록(설문지)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