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장』의 전쟁과 포로 - 한국전쟁의 포로 서사와 ‘중립’의 좌표 = War and P.O.W. of The Square - P.O.W. Narratives of Korean War and a Question of ‘Neutral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uggestion to read Choi In-hoon's The Square as a P.O.W. narrative. P.O.W., Prisoner of War of Korean war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these days, since the cold war regime is facing the end even on Korean peninsula, and the cold war a...

      This paper is a suggestion to read Choi In-hoon's The Square as a P.O.W. narrative. P.O.W., Prisoner of War of Korean war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these days, since the cold war regime is facing the end even on Korean peninsula, and the cold war archives have opened to researchers in the age of openness. Literature of P.O.W., covering a range from memoirs of former P.O.W. themselves to the 21st century novels, have been collected and studied under such a new light. The Square, a product of April Uprising in 1960, casts a P.O.W. hero who experienced both South and North Korea but chose to go to a neutral country at the end. Such a denial or evasion from a forced alternative between the divided native lands impressed a lot of contemporaries, and an idea of neutrality, though the meaning of neutrality is restricted to neutrality in Korean War, moved many young intellectuals.
      The narrative of The Square is based on the reality of seventy six P.O.W.s who prefer neutral countries over two Koreas. Such a preference became possible when a new principle for war and P.O.W. on human rights presupposition was suggested. The core of new principle was voluntary repatriation policy, which contrasted with forcible repatriation that Geneva Convention of 1949 prescribed, and it signaled a new stage of ideological competition on war and peace. A variety of P.O.W. narratives can be read as a variety of responses to make respective definition of war, peace, and P.O.W. against those new circumstances.
      The peculiarity of The Square comes from the fact that it refuses naive realism for Korean War and P.O.W. It actively responses to new concepts of war and peace and ventures to find an exit from division system of Korea; nevertheless, it challenges to the division system by placing the cruel reality of Korean War aside. Yi Myung-joon, the hero of The Square, rarely tells his own war experience, instead he covers up Korean War actualities with his reflection and abstraction. The writer Choi In-hoon managed to change a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face grand issues such as universe, world, nation, and history by taking a strategy of suppressing firsthand memories. It is why The Square is so distinct in comparison with other Korean War or P.O.W. literature, and how The Square could endure days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as a text of neutr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최인훈의 『광장』을 전쟁 소설이자 포로 소설로서 읽어보려는 시도다. 『광장』은 한국전쟁 당시 중립국행 포로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지만, 막상 전쟁과 포로의 현실을 문면에...

      이 글은 최인훈의 『광장』을 전쟁 소설이자 포로 소설로서 읽어보려는 시도다. 『광장』은 한국전쟁 당시 중립국행 포로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지만, 막상 전쟁과 포로의 현실을 문면에서 읽어내기는 어렵다. 『광장』의 문학사적 자리는 즉물적 전쟁 경험으로부터의 자유를 선언하는 데, 그럼으로써 역사적 존재이자 초월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복원시키는 데 있다. 전쟁 없는 전쟁 소설, 포로 없는 포로 소설이라는 형식으로 한국전쟁의 경험을 돌파한 것이 곧 『광장』이다. 「지옥도」「철조망」 등을 통해 살펴본 대로 다른 포로 서사가 생존주의와 가족주의에 속박돼 있는 반면 『광장』은 이념과 형이상학에 집중하고, 전후 소설이 전쟁의 참상을 재현하는 것을 우선시하는 반면 『광장』은 전쟁과 포로 체험의 실제를 묘사하는 데 무관심하다. 1950년대를 통해 적잖이 논의되었으나 반공주의적 해석틀에 갇혀 있던 중립국행 포로 문제를 초점화할 수 있었던 것 또한 그런 특성에 힘입어서이다. 이어령이 주어 없는 비극에서 중립국행 포로를 ‘도피’로 기호화한 반면 최인훈의 『광장』은 이를 냉전 체제에의 도전으로 해석해 냈으며, 그를 통해 중립·중립화·중립주의를 뒤섞으면서 ‘중립’ 개념을 굴절 확장시키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광장』은 이런 방식으로 4 19의 정신을 문학화했으며 또한 ‘존재를 위한 전쟁’이었던 한국전쟁을 넘어설 길을 모색했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 포로 서사들을 씨줄과 날줄 삼아 『광장』의 특이성을 가늠하고, 중립국행 포로에 대한 당대의 발화 속 『광장』의 좌표를 조정하며, 나아가 한국전쟁의 성격 자체에 대한 성찰을 시도해 보고자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호, "해체와 저항의 서사" 문학과지성사 2004

      2 최종태, "한국전쟁일지" 군사문제연구소 1991

      3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의 포로"

      4 서은주,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2) : 43-75, 2011

      5 차민기, "한국전쟁기 포로수용소의 문학형상화 연구 : 포로수용소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6 이선우, "한국전쟁기 중립국 선택 포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7 이선우, "한국전쟁기 거제도수용소 내 '친공포로'의 딜레마와 폭동" 역사문제연구소 21 (21): 317-356, 2017

      8 조성훈, "한국전쟁과 포로" 선인 2010

      9 전갑생, "한국전쟁과 분단의 트라우마 : 새로운 자료, 다른시각" 선인 2011

      10 오오카 쇼헤이, "포로기" 문학동네 2010

      1 김인호, "해체와 저항의 서사" 문학과지성사 2004

      2 최종태, "한국전쟁일지" 군사문제연구소 1991

      3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의 포로"

      4 서은주,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2) : 43-75, 2011

      5 차민기, "한국전쟁기 포로수용소의 문학형상화 연구 : 포로수용소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6 이선우, "한국전쟁기 중립국 선택 포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7 이선우, "한국전쟁기 거제도수용소 내 '친공포로'의 딜레마와 폭동" 역사문제연구소 21 (21): 317-356, 2017

      8 조성훈, "한국전쟁과 포로" 선인 2010

      9 전갑생, "한국전쟁과 분단의 트라우마 : 새로운 자료, 다른시각" 선인 2011

      10 오오카 쇼헤이, "포로기" 문학동네 2010

      11 김학재, "판문점체제의 기원 : 한국전쟁과 자유주의 평화기획" 휴머니스트 2015

      12 티마야, K.S, "판문점일기" 소나무 1993

      13 슈미트, C, "파르티잔 이론" 문학과지성사 1998

      14 미 육군 전사편찬실, "최장의 한반도 휴전과 불가침선언" 23 : 1991

      15 연남경, "최인훈의 전쟁소설: 개인사적 좌표에서 기억하기" 현대문학이론학회 (67) : 189-216, 2016

      16 손유경, "최인훈의 광장 에 나타난 만주의 ‘항일 로맨티시즘’" 만주학회 (12) : 27-47, 2011

      17 이봉범, "증언의 서사, 망각된 텍스트: 안동림의 「지옥도」의 문제성" 상허학회 48 : 357-362, 2016

      18 강진호, "증언으로서의 문학사" 깊은샘 2003

      19 톨랜드, J., "존 톨랜드의 6 25 전쟁 2" 도서출판 바움 2010

      20 진, H, "전쟁쓰레기" 시공사 2008

      21 이어령, "저항의 문학" 경지사 1959

      22 장용학, "장용학 대표작품선집" 책세상 1995

      23 요네타니 히토시,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24 박영준, "일본 군국주의의 한 내면(內面): 이시와라 간지(石原莞爾)에 있어 ‘세계최종전쟁론’과 ‘국방국가론’"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7 (37): 107-135, 2016

      25 김경학, "인도 정착 한국전쟁 중립국 선택 포로의 이야기" 한국인도학회 9 (9): 83-115, 2004

      26 조보라미, "이재현의 포로 3부작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5) : 379-404, 2011

      27 이도연, "이어령 초기 문학 비평 연구" 인문학연구소 (30) : 5-32, 2011

      28 장세진, "은유로서의 포로: 수용소의 삶과 ‘적/ 동지’의 구별 정치" 상허학회 46 : 9-61, 2016

      29 이무호, "어느 졸병이 겪은 한국전쟁" 지식산업사 2003

      30 "신세계"

      31 전갑생, "수용소에 갇힌 귀환용사―‘지옥도’ 용초도의 귀환군 집결소와 사상심리전" 역사문제연구소 (118) : 381-406, 2017

      32 "소설은 결국 ‘현실’이었다: 『광장』의 삶을 선택한 전쟁 포로 주영복씨와 작가 최인훈씨의 만남"

      33 "새벽"

      34 "사상계"

      35 윤세중, "북한문학의 이해" 청동거울 2002

      36 윤세중, "북한문학의 이해" 청동거울 2002

      37 황건, "북한문학(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 지성사 2007

      38 이기봉, "북한 포로수용소" 한두실 1992

      39 "문학예술"

      40 윤영기, "명치시대 이후의 무사도에 관한 일고찰"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2 : 2002

      41 윤영기, "명치시대 이후의 무사도에 관한 일고찰"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2 : 2002

      42 김혜인, "망명의 기록, 난민의 시간: 한국전쟁기 중립국행 포로 주영복의 수기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48 : 49-88, 2016

      43 "동아일보"

      44 유치진, "동랑 유치진전집 4" 서울예대 출판부 1993

      45 박진홍, "돌아온 패자" 역사비평사 2001

      46 백선엽,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 : 1128일의 기록"

      47 선우휘, "귀환" 청구출판사 1954

      48 최인훈, "광장" 정향사 1961

      49 심슨, C, "강압의 과학" 선인출판사 [서울] 2009

      50 임세화, "‘포로’라는 이념: 한국전쟁 ‘포로서사’와 ‘자기구성’의 가능성" 상허학회 46 : 63-116, 2016

      51 장문석, "‘우리 말’로 ‘사상(思想)’하기?! -후기식민지 한국과 『광장』의 다시 쓰기-"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7) : 377-435, 2014

      52 임우경, "‘가장 사랑스러운 사람’: 한국전쟁 귀환포로와 신중국 영웅서사의 그늘" 한국중국학회 (73) : 315-332, 2015

      53 Moskin, R, "Turncoat: an American's 12 years in Communist China" Englewood Cliffs 1966

      54 van Creveld, M. L., "The Transformation of War" Free Press 1991

      55 "Liosnoff Box no.15 file.4., Hoover Archive, Stanford University Library"

      56 Sanford, G., "Katyn and the Soviet Massacre of 1940: Truth, Justice and Memory" Routledge 2007

      57 최철우, "990일" 공우사 1954

      58 주영복, "76인의 포로들" 대광출판사 1993

      59 한국학중앙연구원, "6 25전쟁기 미군 심리전 관련 자료집 1" 선인 2005

      60 Pasley, V, "21 Stayed: the story of the American GI's who chose Communist China : who they were and why they stayed, Farrar, Straus & Cudahy" 1955

      61 반재영, "1960년대 한국 민족주의와 최인훈 소설의 담론적 대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