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인석, "“탈전통의 문화”", 한국철학회 편, 「문화철학」, 철학과현실사, 1995
2 최승호, "‘동양 철학의 정신’", 소강「동양철학의 이해」, 2012
3 김훈순,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4 이형용, "<디지털 시대의 휴머니즘>", 한국문화사, 2000
5 양현종, "“MIMO Full-Duplex 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 VoI.50 No.7, 2015
6 김정수, 이문호, "“5G 이동통신: 4차 산업 대동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Technology(JCCT) VoI.4 No.1, null
7 배우호, "“초음파진단기의 빔포밍 기술”", 한국비파괴검사학회, VoI.32 No.5, 2012
8 정진명,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比較私法 제26권 제1호, 2019
9 김환선, "등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발행처 GIST PRESS, 2017
10 이혜영,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한국학술정보, 2018
1 차인석, "“탈전통의 문화”", 한국철학회 편, 「문화철학」, 철학과현실사, 1995
2 최승호, "‘동양 철학의 정신’", 소강「동양철학의 이해」, 2012
3 김훈순,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4 이형용, "<디지털 시대의 휴머니즘>", 한국문화사, 2000
5 양현종, "“MIMO Full-Duplex 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 VoI.50 No.7, 2015
6 김정수, 이문호, "“5G 이동통신: 4차 산업 대동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Technology(JCCT) VoI.4 No.1, null
7 배우호, "“초음파진단기의 빔포밍 기술”", 한국비파괴검사학회, VoI.32 No.5, 2012
8 정진명,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比較私法 제26권 제1호, 2019
9 김환선, "등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발행처 GIST PRESS, 2017
10 이혜영,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한국학술정보, 2018
11 권성현, "“드론에 관한 형사법적 쟁점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8
12 박호성, "휴머니즘론 새로운 시대정신을 위하여", 나남, 2007
13 이상욱, "“포스트휴먼시대의 정치사회적 쟁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No.26, 2015
14 김재회, "“우리는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 , 철학연구회, 2014
15 신상규, "<트랜스휴머니즘,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생각?>", 《탈경계 인문학 학술총서》, 11, 2013
16 김진함,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 모색”", 0-KISTPEP InI(15호), 2016
17 C. Arterton, "「텔레데모크라시: 21세기 정보화시대의 정치혁명」", 한 백연구제단편 역, 1994
18 이선일, "“서구의 전통적 휴머니즘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대동철학 회지, 2001
19 한기철, "“인문주의의 형성과 전개-고전적 맥락을 중심으로”", 도덕 교육연구 18(3), 2016
20 안진영, "“세계의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UAS) 관련 규제 현황”", 항공 우주산업기술동향 제13권 제1호, 한국항공무주연구원, 2015
21 권양섭, 홍태석, "“자율주행차 사고발생에 따른 형사책임의 귀속여부”", 법학연구 제17권 제2호, 한국법학회, 2017
22 이연정, "“‘천인합일’을 통해서 본 인식과 실천공부의 결합”", 儒學研究 第34輯, 2016
23 이은빈,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이론과 트랜스휴머니 즘”", 인지과학전공,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4 변재웅,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7(3), 2017
25 김숙철, "“블록체인 기술의 에너지 거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박 사학위논문, 2018
26 김회진, "“5G 네트워크 글로벌 현황분석을 통한 한국의 발전 전략”",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3 No.2, null
27 김회진, "“5G 네트워크 글로벌 현황분석을 통한 한국의 발전 전략”",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3 No.2, 2017
28 김대건,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동향”", 동향, 제27권19호 통권 610호, 2015
29 김인혜,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인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5
30 김진보, "“사물인터넷 서비스 보안성 향상을 위한 접근제어 시스템”",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2016
31 채진, "“포스트휴먼 시대의 섹스와 전더: 멋진 신세계를 중심으로”", 인 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2 한수현,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수집 도구 평가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3
33 강미라, "“‘휴머니즘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사르트르와 푸코의 대답”", 현대유럽철학연구 제38집, 2015
34 김순자, "“드론 택배 도입을 위한 각구의 정책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 구”", 물류학회지 제26권 제1호, 한국물류학회, 2016
35 강성원, 한진호, 권영수, "“자율주행자동차 전장시스템을 위한 기능안전 프 로세스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36 윤지영, "“법집행기관읭 드론 이용에 관한 법적 쟁점과 입법적 개선 방 안”", 형사법의 신동향 제51호, 대검찰청, 2016
37 魯倫在,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이용한 개인정보보호 기술에 관한 연 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8 윤관석,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혁신방안 연 구”", 기본연구과제, 2018
39 촤현순, "“현대예술 및 문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인간과 기계의 공존 가능 성”", 브래히트와 현대연극 27권0호, 2012
40 김환석, "“STS(과학기술학)와 사회학의 혁신: 행위자-연결망이론(ANT)을 중 심으로”", 한국과학기술학연구회 1권1호, 2001
41 오형국,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개념과 성격 –종교개혁과의 관계를 중심으 로-”", 「서양의 역사와 문화」 창간호, 2004
42 유한나, 이지현, "“스마트홈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태스크 플로우 가시 화 툴킷 제안”", , Vol.17 No.3, 2018
43 김보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경유한 ‘분단’의 재고와 ‘탈분단’의 전망", 역사문제연구소, 2013
44 이원봉, "“생명윤리와 포스트휴머니즘-포스트휴먼의 존엄성에 관한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철학회 Vol.16, 2013
45 슈테판 헤어브레히터, "김연순/김응준 옮김, <포스트휴머니즘 인간이후 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46 이근용,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번역’과 혜강의 운화(運化)가 소통의 개 념에 주는 함의”",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5권, 2014
47 정성훈,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 용한 헬스케어 기술구현 연구”", 미래ICT융합학과, 단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5
48 구동수, "“적응적 랜덤 테스팅 기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데 이터 평명 테스트 자동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6
49 김연철, 이준석, "“행위자-연결망 이론(ANT)과 사변적 실재론(SR)의 접점: ‘해석적 유연성’ 개념으로 본 ‘첵임 있는 연구와 혁신’", 사회와이론 통권 제28집, 2016
50 문준우, "“미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연방법, 주법, 가이드라인 –자율주행차의 상업적인 사용을 허용한 미국의 주들을 포함하여”", 서강대학교 법 학연구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