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한 산업 4.0 디자인 요소 재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73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now a generally accept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main trend in global wide in 21st century. As we know the development of high-tech such as AI, CPS(Cyber Physical System), Big data, iCloud, IoT, IoP and other things have changed humanity and human society since the beginning of this generation. The arriv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ar, which is a global issue, is bringing us a lot of transformation in many aspects of our life and also demonstrating a relation in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posthumanism theory.
      Since the mid-1980s, design has been dominated by a human-centered paradigm. Currently, the implication of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are changing designers and experts in other fields to focus on complex social-technical systems. Research and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humanism theory which is important to designers discover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There is limited research investigating focus on finding a method to connec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posthumanism theory. Nevertheless, the study is finding a method to understand Modern desig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the research of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thumanism theory.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posthumanism theor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basis for many literature researchers and analysis of these two theories: Interconnection, Information transparency, Decentralized decisions and Technical assistance. It focu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n instance analysis to explain the overall design elements.
      The mixture of posthumanis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he foundation of modern design, and combing it with a philosophical relation makes the new generation of human society even more intelligent and efficient. In addi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human and environment, human and system, machine and machine, machine and environment which emphasizes on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world in design area, is a whole new trend of Industrial design.
      Nowadays technological development reflected more diversified manifestations in 21st century such as self-driving car, drone, smart home, smart nation etc. The study attempt to find the method which link up human and non-human conceptions in Modern design area.
      번역하기

      It is now a generally accept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main trend in global wide in 21st century. As we know the development of high-tech such as AI, CPS(Cyber Physical System), Big data, iCloud, IoT, IoP and other things have change...

      It is now a generally accept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main trend in global wide in 21st century. As we know the development of high-tech such as AI, CPS(Cyber Physical System), Big data, iCloud, IoT, IoP and other things have changed humanity and human society since the beginning of this generation. The arriv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ar, which is a global issue, is bringing us a lot of transformation in many aspects of our life and also demonstrating a relation in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posthumanism theory.
      Since the mid-1980s, design has been dominated by a human-centered paradigm. Currently, the implication of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are changing designers and experts in other fields to focus on complex social-technical systems. Research and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humanism theory which is important to designers discover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There is limited research investigating focus on finding a method to connec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posthumanism theory. Nevertheless, the study is finding a method to understand Modern desig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the research of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thumanism theory.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posthumanism theor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basis for many literature researchers and analysis of these two theories: Interconnection, Information transparency, Decentralized decisions and Technical assistance. It focu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n instance analysis to explain the overall design elements.
      The mixture of posthumanis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he foundation of modern design, and combing it with a philosophical relation makes the new generation of human society even more intelligent and efficient. In addi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human and environment, human and system, machine and machine, machine and environment which emphasizes on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world in design area, is a whole new trend of Industrial design.
      Nowadays technological development reflected more diversified manifestations in 21st century such as self-driving car, drone, smart home, smart nation etc. The study attempt to find the method which link up human and non-human conceptions in Modern design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에는 제4차 산업혁명이란 개념은 큰 범위에서 인정을 받았다. 인공지능, 사이버물리시스템, 빅 데이터, 클라우드, IoT, IoP 그리고 다른 첨단 기술을 통해서 인간과 인류 사회를 혁신하는 시대를 시작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이란 국제화 이슈의 도래에 따라 우리의 생활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기에 의해 철학적인 사상으로 이론 변화를 사고하는 포스트휴머니즘 철학 이론이 필요하다.
      1980년대 중반부터 디자인은 인간 중심으로 주도하는 것이다. 근대부터 기술적이고 환경적인 변화의 발전에 따라 디자이너와 전문가들이 다른 영역에서 이런 변화로 복잡한 사회적-기술적 시스템을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의 특점에 대해 조사와 연구는 디자이너들이 인간-비인간의 새로운 관계를 발전하고 정의하는 중요한 도구로 볼 수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제4차 산업혁명을 탐구하는 연구를 부족하다. 그러지만 본 연구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디자인의 요소를 통해서 제4차 산업혁명의 현대 디자인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에 관한 상세한 지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많은 학자와 분석자들의 연구를 통해서 제4차 산업혁명의 디자인 요소를 얻었다. 즉 상호연결(Interconnection), 정보의 투명성(Information transparency), 분권화된 의사결정(Decentralized decisions) 그리고 기술 협조(Technical assistance). 제4차 산업혁명을 예로 이 시대의 디자인에 대해 전체적인 분석해서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다.
      현대 디자인의 기반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기술적인 발전의 결합이다. 철학적인 관계를 통해서 인간 사회가 더 지능화와 효율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인간과 기계, 인간과 환경. 인간과 시스템, 기계와 기계, 기계와 환경의 관계를 고려하며 디자인 영역에서 인간-비인간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오늘날 21세기에 진입한 후 다양한 기술의 발전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며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스마트 홈, 사마트 국가 등. 본 연구는 현대 디자인 영역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링크를 발견하려고 시도한다.
      번역하기

      21세기에는 제4차 산업혁명이란 개념은 큰 범위에서 인정을 받았다. 인공지능, 사이버물리시스템, 빅 데이터, 클라우드, IoT, IoP 그리고 다른 첨단 기술을 통해서 인간과 인류 사회를 혁신하는...

      21세기에는 제4차 산업혁명이란 개념은 큰 범위에서 인정을 받았다. 인공지능, 사이버물리시스템, 빅 데이터, 클라우드, IoT, IoP 그리고 다른 첨단 기술을 통해서 인간과 인류 사회를 혁신하는 시대를 시작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이란 국제화 이슈의 도래에 따라 우리의 생활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기에 의해 철학적인 사상으로 이론 변화를 사고하는 포스트휴머니즘 철학 이론이 필요하다.
      1980년대 중반부터 디자인은 인간 중심으로 주도하는 것이다. 근대부터 기술적이고 환경적인 변화의 발전에 따라 디자이너와 전문가들이 다른 영역에서 이런 변화로 복잡한 사회적-기술적 시스템을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의 특점에 대해 조사와 연구는 디자이너들이 인간-비인간의 새로운 관계를 발전하고 정의하는 중요한 도구로 볼 수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제4차 산업혁명을 탐구하는 연구를 부족하다. 그러지만 본 연구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디자인의 요소를 통해서 제4차 산업혁명의 현대 디자인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에 관한 상세한 지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많은 학자와 분석자들의 연구를 통해서 제4차 산업혁명의 디자인 요소를 얻었다. 즉 상호연결(Interconnection), 정보의 투명성(Information transparency), 분권화된 의사결정(Decentralized decisions) 그리고 기술 협조(Technical assistance). 제4차 산업혁명을 예로 이 시대의 디자인에 대해 전체적인 분석해서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다.
      현대 디자인의 기반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기술적인 발전의 결합이다. 철학적인 관계를 통해서 인간 사회가 더 지능화와 효율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인간과 기계, 인간과 환경. 인간과 시스템, 기계와 기계, 기계와 환경의 관계를 고려하며 디자인 영역에서 인간-비인간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오늘날 21세기에 진입한 후 다양한 기술의 발전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며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스마트 홈, 사마트 국가 등. 본 연구는 현대 디자인 영역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링크를 발견하려고 시도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범위 4
      • Ⅱ. 포스트휴머니즘의 이해 및 현황 9
      • 1. 휴머니즘의 이해 9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범위 4
      • Ⅱ. 포스트휴머니즘의 이해 및 현황 9
      • 1. 휴머니즘의 이해 9
      • 1) 휴머니즘의 배경 9
      • 2) 휴머니즘의 정의 13
      • (1) 서구 휴머니즘의 기원 및 정의 13
      • (2) 동양의 휴머니즘 사상 16
      • (3) 휴머니즘의 문화특성 18
      • 2. 포스트휴머니즘의 이해 19
      • 1) 포스트휴머니즘의 배경 19
      • 2) 포스트휴머니즘의 정의 27
      • 3.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이론 개념 39
      • 1) 행위자-연결망 이론 및 객체지향존재론 39
      • 2) 비표상적 이론 48
      • 4.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선행연구 52
      • Ⅲ.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한 디자인 사례 분석 55
      • 1. 21세기 디자인 발전 연구 55
      • 2. 지혜 시대의 디자인 분석 56
      • 3. 스마트 국가 전략: 싱가포르 65
      • 1) Punggol Northshore Precinct Spaces 개발 계획 74
      • 2) Yuhua-Jurong Project 개발 계획 76
      • 4. 5G 세대의 발전 78
      • 5. 자율주행 자동차 88
      • 6. 무인항공기 시스템/드론 96
      • 7. 로봇틱스 및 스마트 홈 103
      • 1) 로봇틱스 103
      • 2) 스마트 홈 106
      • Ⅳ. 포스트휴머니즘의 요소 분석 110
      • 1. 사이버네틱스 이론 110
      • 2. 인공신경 네트워크 이론 118
      • 3. 포스트휴머니즘 요소에 대한 분석 124
      • 1) 탈중심 124
      • 2) 탈경계 125
      • 3) 연결 126
      • 4) 융합 127
      • 5) 공진화 128
      • Ⅴ.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한 산업 4.0의 디자인 요소 분석 131
      • 1. 산업 4.0의 구성 131
      • 1) 사이버물리시스템 132
      • 2) 사물인터넷 133
      • 3) 서비스인터넷 134
      • 4) 스마트 공장 134
      • 2. 산업 4.0의 디자인 요소 135
      • 1) 인터오페라빌리티 135
      • 2) 가상화 135
      • 3) 인터넷의 탈중앙화 136
      • 4) 실시간 능력 136
      • 5) 서비스 오리엔테이션 136
      • 6) 모듈성 137
      • 3. 산업 4.0의 디자인 요소 분석 138
      • 1) 상호연결 141
      • 2) 정보의 투명성 147
      • 3) 분권화된 의사결정 151
      • 4) 기술 협조 157
      • (1) 인공지능 159
      • (2) 빅데이터 162
      • (3) IoT 164
      • (4) 블록체인 166
      • (5) 클라우드 167
      • 4. 포스트휴머니즘 및 산업 4.0 관계에 대한 연구 169
      • 5. 지혜 시대 디자인 요소 재해석 172
      • 1) 상호연결에 의한 전달성 172
      • 2) 정보의 투명성에 의한 개방성 173
      • 3) 분권화된 의사결정에 의한 자동성 175
      • 4) 기술협조에 의한 기동성 177
      • Ⅵ. 결론 및 향후과제 179
      • 1. 종합 결론 179
      • 2. 시사점 및 향후과제 181
      • 참고문헌 183
      • 국문초록 189
      • Abstract 19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차인석, "“탈전통의 문화”", 한국철학회 편, 「문화철학」, 철학과현실사, 1995

      2 최승호, "‘동양 철학의 정신’", 소강「동양철학의 이해」, 2012

      3 김훈순,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4 이형용, "<디지털 시대의 휴머니즘>", 한국문화사, 2000

      5 양현종, "“MIMO Full-Duplex 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 VoI.50 No.7, 2015

      6 김정수, 이문호, "“5G 이동통신: 4차 산업 대동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Technology(JCCT) VoI.4 No.1, null

      7 배우호, "“초음파진단기의 빔포밍 기술”", 한국비파괴검사학회, VoI.32 No.5, 2012

      8 정진명,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比較私法 제26권 제1호, 2019

      9 김환선, "등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발행처 GIST PRESS, 2017

      10 이혜영,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한국학술정보, 2018

      1 차인석, "“탈전통의 문화”", 한국철학회 편, 「문화철학」, 철학과현실사, 1995

      2 최승호, "‘동양 철학의 정신’", 소강「동양철학의 이해」, 2012

      3 김훈순,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4 이형용, "<디지털 시대의 휴머니즘>", 한국문화사, 2000

      5 양현종, "“MIMO Full-Duplex 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 VoI.50 No.7, 2015

      6 김정수, 이문호, "“5G 이동통신: 4차 산업 대동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Technology(JCCT) VoI.4 No.1, null

      7 배우호, "“초음파진단기의 빔포밍 기술”", 한국비파괴검사학회, VoI.32 No.5, 2012

      8 정진명,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比較私法 제26권 제1호, 2019

      9 김환선, "등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발행처 GIST PRESS, 2017

      10 이혜영,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한국학술정보, 2018

      11 권성현, "“드론에 관한 형사법적 쟁점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8

      12 박호성, "휴머니즘론 새로운 시대정신을 위하여", 나남, 2007

      13 이상욱, "“포스트휴먼시대의 정치사회적 쟁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No.26, 2015

      14 김재회, "“우리는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 , 철학연구회, 2014

      15 신상규, "<트랜스휴머니즘,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생각?>", 《탈경계 인문학 학술총서》, 11, 2013

      16 김진함,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 모색”", 0-KISTPEP InI(15호), 2016

      17 C. Arterton, "「텔레데모크라시: 21세기 정보화시대의 정치혁명」", 한 백연구제단편 역, 1994

      18 이선일, "“서구의 전통적 휴머니즘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대동철학 회지, 2001

      19 한기철, "“인문주의의 형성과 전개-고전적 맥락을 중심으로”", 도덕 교육연구 18(3), 2016

      20 안진영, "“세계의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UAS) 관련 규제 현황”", 항공 우주산업기술동향 제13권 제1호, 한국항공무주연구원, 2015

      21 권양섭, 홍태석, "“자율주행차 사고발생에 따른 형사책임의 귀속여부”", 법학연구 제17권 제2호, 한국법학회, 2017

      22 이연정, "“‘천인합일’을 통해서 본 인식과 실천공부의 결합”", 儒學研究 第34輯, 2016

      23 이은빈,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이론과 트랜스휴머니 즘”", 인지과학전공,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4 변재웅,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7(3), 2017

      25 김숙철, "“블록체인 기술의 에너지 거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박 사학위논문, 2018

      26 김회진, "“5G 네트워크 글로벌 현황분석을 통한 한국의 발전 전략”",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3 No.2, null

      27 김회진, "“5G 네트워크 글로벌 현황분석을 통한 한국의 발전 전략”",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3 No.2, 2017

      28 김대건,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동향”", 동향, 제27권19호 통권 610호, 2015

      29 김인혜,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인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5

      30 김진보, "“사물인터넷 서비스 보안성 향상을 위한 접근제어 시스템”",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2016

      31 채진, "“포스트휴먼 시대의 섹스와 전더: 멋진 신세계를 중심으로”", 인 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2 한수현,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수집 도구 평가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3

      33 강미라, "“‘휴머니즘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사르트르와 푸코의 대답”", 현대유럽철학연구 제38집, 2015

      34 김순자, "“드론 택배 도입을 위한 각구의 정책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 구”", 물류학회지 제26권 제1호, 한국물류학회, 2016

      35 강성원, 한진호, 권영수, "“자율주행자동차 전장시스템을 위한 기능안전 프 로세스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36 윤지영, "“법집행기관읭 드론 이용에 관한 법적 쟁점과 입법적 개선 방 안”", 형사법의 신동향 제51호, 대검찰청, 2016

      37 魯倫在,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이용한 개인정보보호 기술에 관한 연 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8 윤관석,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혁신방안 연 구”", 기본연구과제, 2018

      39 촤현순, "“현대예술 및 문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인간과 기계의 공존 가능 성”", 브래히트와 현대연극 27권0호, 2012

      40 김환석, "“STS(과학기술학)와 사회학의 혁신: 행위자-연결망이론(ANT)을 중 심으로”", 한국과학기술학연구회 1권1호, 2001

      41 오형국,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개념과 성격 –종교개혁과의 관계를 중심으 로-”", 「서양의 역사와 문화」 창간호, 2004

      42 유한나, 이지현, "“스마트홈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태스크 플로우 가시 화 툴킷 제안”", , Vol.17 No.3, 2018

      43 김보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경유한 ‘분단’의 재고와 ‘탈분단’의 전망", 역사문제연구소, 2013

      44 이원봉, "“생명윤리와 포스트휴머니즘-포스트휴먼의 존엄성에 관한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철학회 Vol.16, 2013

      45 슈테판 헤어브레히터, "김연순/김응준 옮김, <포스트휴머니즘 인간이후 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46 이근용,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번역’과 혜강의 운화(運化)가 소통의 개 념에 주는 함의”",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5권, 2014

      47 정성훈,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 용한 헬스케어 기술구현 연구”", 미래ICT융합학과, 단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5

      48 구동수, "“적응적 랜덤 테스팅 기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데 이터 평명 테스트 자동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6

      49 김연철, 이준석, "“행위자-연결망 이론(ANT)과 사변적 실재론(SR)의 접점: ‘해석적 유연성’ 개념으로 본 ‘첵임 있는 연구와 혁신’", 사회와이론 통권 제28집, 2016

      50 문준우, "“미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연방법, 주법, 가이드라인 –자율주행차의 상업적인 사용을 허용한 미국의 주들을 포함하여”", 서강대학교 법 학연구소,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