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담뱃갑경고그림이 대학생 흡연자의 주의편향과 주의편향 수정훈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ictorial Health Warnings on Attention Bias and Atten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in University Student Smo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5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ictorial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on attention bias of smoke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o studies were performed. Study 1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ention allocation about pictorial health warning on cigarette packag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Study 2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experimentally reducing the attention bias for pictorial warning (attention training) can reduc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and smoking craving,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In Study 1, participates were divided a priori in two groups smokers (n=19) and non-smoker (n=18). Smokers and non-smokers were asked to perform a visual dot-probe task to assess attention allocation towards cigarette packages with health warnings. In Study 2, forty-five male stud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ree training groups: ABM, I-ABM, AC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mokers directed their attention away from the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while no effect were observed in the non-smokers. Second, ABM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reductions in attention away from pictorial warnings than I-ABM group and ACC group. However, ABM condition was not different from other conditions in level of smoking craving and nicotine dependenc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ictorial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on attention bias of smoke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o studies were performed. Study 1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ictorial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on attention bias of smoke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o studies were performed. Study 1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ention allocation about pictorial health warning on cigarette packag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Study 2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experimentally reducing the attention bias for pictorial warning (attention training) can reduc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and smoking craving,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In Study 1, participates were divided a priori in two groups smokers (n=19) and non-smoker (n=18). Smokers and non-smokers were asked to perform a visual dot-probe task to assess attention allocation towards cigarette packages with health warnings. In Study 2, forty-five male stud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ree training groups: ABM, I-ABM, AC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mokers directed their attention away from the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while no effect were observed in the non-smokers. Second, ABM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reductions in attention away from pictorial warnings than I-ABM group and ACC group. However, ABM condition was not different from other conditions in level of smoking craving and nicotine dependenc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담뱃갑경고그림이 흡연자의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주의편향 수정훈련을 통해 흡연갈망과 실제 흡연량이 감소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은 한국형 담뱃갑경고그림에 대해 흡연자와 비흡연자간 주의편향 양상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2는 주의편향 수정훈련을 통해 담뱃갑경고그림에 대한 주의회피 양상을 수정함으로써 흡연관련 신념 및 행동이 변화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의 참가자는 흡연자 19명과 비흡연자 18명으로, 주의 양상 측정을 위해 탐침탐사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 2는 흡연자 45명으로, 회피주의훈련(ABM), 노출주의훈련(I-ABM), 주의통제조건(ACC)에 무선할당 되었고, 3회기의 주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담뱃갑경고그림에 대하여 유의하게 주의를 회피하는 양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I-ABM 및 ACC보다 ABM 집단에서 주의회피 양상이 유의하게 수정되었지만, 니코틴 의존, 흡연갈망, 흡연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주의편향 수정훈련이 담뱃갑경고그림에 대해 주의회피하는 흡연자의 주의를 수정시키는 기제로 작용하나 실질적인 신념과 행동변화로는 이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담뱃갑경고그림이 흡연자의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주의편향 수정훈련을 통해 흡연갈망과 실제 흡연량이 감소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

      본 연구에서는 담뱃갑경고그림이 흡연자의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주의편향 수정훈련을 통해 흡연갈망과 실제 흡연량이 감소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은 한국형 담뱃갑경고그림에 대해 흡연자와 비흡연자간 주의편향 양상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2는 주의편향 수정훈련을 통해 담뱃갑경고그림에 대한 주의회피 양상을 수정함으로써 흡연관련 신념 및 행동이 변화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의 참가자는 흡연자 19명과 비흡연자 18명으로, 주의 양상 측정을 위해 탐침탐사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 2는 흡연자 45명으로, 회피주의훈련(ABM), 노출주의훈련(I-ABM), 주의통제조건(ACC)에 무선할당 되었고, 3회기의 주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담뱃갑경고그림에 대하여 유의하게 주의를 회피하는 양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I-ABM 및 ACC보다 ABM 집단에서 주의회피 양상이 유의하게 수정되었지만, 니코틴 의존, 흡연갈망, 흡연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주의편향 수정훈련이 담뱃갑경고그림에 대해 주의회피하는 흡연자의 주의를 수정시키는 기제로 작용하나 실질적인 신념과 행동변화로는 이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홍열, "흡연갈망이 흡연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지희, "흡연갈망과 금단증상이 금연유지에 미치는 영향 : 대처와 금연효과지각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명식,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금연 프로그램과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4 오명진, "흡연 여부에 따른 담뱃갑 경고그림의 설득효과 연구" 한양대학교 2016

      5 남보라, "캐니다 남성들 ‘혐오그림’ 본 후 흡연율 6%P 뚝"

      6 김은수,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그림 지각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568-590, 2017

      7 심상민, "주의편향 수정훈련이 유사외상장면의 침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6 (16): 347-364, 2016

      8 임성희, "유사외상 상황에서 주의편향 수정훈련의 효과" 계명대학교 2017

      9 김희, "담뱃갑 경고그림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2016

      10 김해영, "담뱃갑 경고그림 유형과 선행요인에 따른 설득 효과: 이익프레임과 손실프레임 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1 (61): 147-180, 2017

      1 정홍열, "흡연갈망이 흡연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지희, "흡연갈망과 금단증상이 금연유지에 미치는 영향 : 대처와 금연효과지각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명식,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금연 프로그램과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4 오명진, "흡연 여부에 따른 담뱃갑 경고그림의 설득효과 연구" 한양대학교 2016

      5 남보라, "캐니다 남성들 ‘혐오그림’ 본 후 흡연율 6%P 뚝"

      6 김은수,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그림 지각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568-590, 2017

      7 심상민, "주의편향 수정훈련이 유사외상장면의 침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6 (16): 347-364, 2016

      8 임성희, "유사외상 상황에서 주의편향 수정훈련의 효과" 계명대학교 2017

      9 김희, "담뱃갑 경고그림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2016

      10 김해영, "담뱃갑 경고그림 유형과 선행요인에 따른 설득 효과: 이익프레임과 손실프레임 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1 (61): 147-180, 2017

      11 장정순, "고교생의 니코틴 의존도와 동기체계가 흡연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15

      12 송휘헌, "“스티커로가리고...” 담뱃갑경고그림 무용지물"

      13 Stewart, B. W., "World Cancer Report" IARC Press 2003

      14 Maynard, O. M., "Visual attention to health warnings on plain tobacco packaging in adolescent smokers and non smokers" 108 : 413-419, 2013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Tobacco"

      16 Robbins, S. J., "The role of attentional bias in substance abuse" 3 : 243-260, 2004

      17 Loeber, S., "The effect of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on attentional bias of smokers" 98 : 292-298, 2011

      18 Tiffany, S. T.,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questionnaire on smoking urges" 86 : 1467-1476, 1991

      19 Wittekind, C. E., "The approach-a voidance task as an online intervention in cigarette smoking : A pilot study" 46 : 115-120, 2015

      20 Mogg, K., "Selective processing of smoking-related cues in smokers : manipulation of deprivation level and comparison of three measures of processing bias" 16 : 385-392, 2002

      21 Strack, F., "Reflective and impulsive determinants of social behavior" 8 : 220-247, 2004

      22 Munafò, M. R., "Plain packaging increases visual attention to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s in nonsmokers and weekly smokers but not daily smokers" 106 : 1505-1510, 2011

      23 Fagerstrom, K. O., "Measuring nicotine dependence : a review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12 : 159-182, 1989

      24 Lebens, H., "Making implicit measures of associations with snack foods more negative through evaluative conditioning" 12 : 249-253, 2011

      25 Baxter, B. W., "Is smoking automatic? Demands of smoking behavior on attentional resources" 110 : 59-66, 2001

      26 Bradley, B. P.,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selective attention to smoking-related cues and urge to smoke in cigarette smokers" 18 : 255-263, 2007

      27 Hammond, D., "Graphic Canadian cigarette warning labels and adverse outcomes : evidence from Canadian smokers" 94 : 1442-1445, 2004

      28 Allport, A., "Foundations of cognitive science" MIT Press 631-682, 1989

      29 Verwoerd, J., "Fewer intrusions after an attentional bias modification training for perceptual reminders of analogue trauma" 26 : 153-165, 2012

      30 Field, M.,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attentional bias increases the motivation to drink alcohol" 183 : 350-357, 2005

      31 Cox, L. S., "Evaluation of the brief questionnaire of smoking urges(QSU-brief)in laboratory and clinical settings" 3 : 7-16, 2001

      32 McFall, R. M.,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normal smoking behavior" 35 : 135-142, 1970

      3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ress 2013

      34 Schoenmakers, T. M., "Clinical effectiveness of attentional bias modification training in abstinent alcoholic patients" 109 : 30-36, 2010

      35 Siegel, R. L., "Cancer statistics, 2015" 65 : 5-29, 2015

      36 Wells, T. T., "Biased attention and dysphoria : Manipulating selective attention reduces subsequent depressive symptoms" 24 : 719-728, 2010

      37 Maynard, O. M., "Avoidance of cigarette pack health warnings among regular cigarette smokers" 136 : 170-174, 2014

      38 Hogarth, L. C., "Attentional orienting towards smoking-related stimuli" 14 : 153-160, 2003

      39 Attwood, A. S., "Attentional bias training and cue reactivity in cigarette smokers" 103 : 1875-1882, 2008

      40 Field, M., "Attentional bias modification in tobacco smokers" 11 : 812-822, 2009

      41 Lopes, F. M., "Attentional bias modification in smokers trying to quit : A longitudinal study about the effects of number of sessions" 47 : 50-57, 2014

      42 MacLeod, C., "Attentional bias in emotional disorders" 95 : 15-20, 1986

      43 Bradley, B. P., "Attentional bias in drug dependence : vigilance for cigarette-related cues in smokers" 17 : 66-72, 2003

      44 Field, M., "Attentional bias in addictive behaviors : a review of its development, causes, and consequences" 97 : 1-20, 2008

      45 McHugh, R. K., "Attentional bias and craving in smokers : the impact of a single attentional training session" 12 : 1261-1264, 2010

      46 Bradley, B., "Attentional and evaluative biases for smoking cues in nicotine dependence : component processes of biases in visual orienting" 15 : 29-36, 2004

      47 Amir, N., "Attention modification program in individual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18 : 28-33, 2009

      48 Eldar, S., "Attention bias modification treatment for pediatric anxiety disorder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69 : 213-230, 2012

      49 Fazio, R. H.,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75-109, 1990

      50 Elfeddali, I.,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Web-based Attentional Bias Modification to help smokers quit" 35 : 870-880, 2016

      51 보건복지부 기획재정부, "2017년 2월 담배시장 동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