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작품에 대한 느낌과 생각’,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통합적 이해 =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Feelings and Thoughts on Works' and 'Contents and Forms of Works' in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1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2015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영역 핵심 개념 비평에 제시된내용 요소인 ‘작품에 대한 느낌과 생각’,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의미와 교과서에서의 적용, 인지 및 정의적 측면에서의 위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두 내용 요소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감상에서 ‘작품에 대한 느낌과 생각’은 작품에 대한 감상자의 감정과 인식을 통합하는 학습 활동이며, ‘작품의 내용과형식’에 대한 학습은 작품에서 파악할 수 있는 외부적, 내재적 정보와 그 관계성을파악하는 활동이다. 두 내용 요소는 작품 감상에 있어 개별적으로 작용하기 보다는상호 관계성을 통해 작용한다. 현재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두 내용 요소는 혼합되어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집필진에 참여한 교사의 교수·학습 경험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두 내용 요소는 인지, 정의적 측면에서도 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는 두 내용 요소가 학년군 구분에 따라 위계를 갖는다는 인식을배제하고, 두 내용 요소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전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 같은 측면에서 이후의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두 내용 요소를 분리하는 것보다 통합하여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2015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영역 핵심 개념 비평에 제시된내용 요소인 ‘작품에 대한 느낌과 생각’,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의미와 교과서에서의 적용, 인지 및...

      본고에서는 2015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영역 핵심 개념 비평에 제시된내용 요소인 ‘작품에 대한 느낌과 생각’,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의미와 교과서에서의 적용, 인지 및 정의적 측면에서의 위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두 내용 요소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감상에서 ‘작품에 대한 느낌과 생각’은 작품에 대한 감상자의 감정과 인식을 통합하는 학습 활동이며, ‘작품의 내용과형식’에 대한 학습은 작품에서 파악할 수 있는 외부적, 내재적 정보와 그 관계성을파악하는 활동이다. 두 내용 요소는 작품 감상에 있어 개별적으로 작용하기 보다는상호 관계성을 통해 작용한다. 현재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두 내용 요소는 혼합되어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집필진에 참여한 교사의 교수·학습 경험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두 내용 요소는 인지, 정의적 측면에서도 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는 두 내용 요소가 학년군 구분에 따라 위계를 갖는다는 인식을배제하고, 두 내용 요소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전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 같은 측면에서 이후의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두 내용 요소를 분리하는 것보다 통합하여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인주, "현대미술구조론Ⅱ" 숭례문 1990

      2 유인주, "현대미술구조론Ⅰ" 숭례문 1990

      3 Steup, M., "현대 인식론 입문" 서광사 2008

      4 김기현, "현대 인식론" 민음사 2013

      5 Robertson, J.,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6 류지영,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과학사 2018

      7 Oliva, P. F., "최신 교육과정 개발론" 학지사 2014

      8 김성숙, "초등학교 미술 5" 지학사 2018

      9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4" 동아출판 2018

      10 이은적, "초등학교 미술 4" 비상교육 2018

      1 유인주, "현대미술구조론Ⅱ" 숭례문 1990

      2 유인주, "현대미술구조론Ⅰ" 숭례문 1990

      3 Steup, M., "현대 인식론 입문" 서광사 2008

      4 김기현, "현대 인식론" 민음사 2013

      5 Robertson, J.,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6 류지영,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과학사 2018

      7 Oliva, P. F., "최신 교육과정 개발론" 학지사 2014

      8 김성숙, "초등학교 미술 5" 지학사 2018

      9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4" 동아출판 2018

      10 이은적, "초등학교 미술 4" 비상교육 2018

      11 김춘일, "조형의 기초와 분석" 미진사 2006

      12 Kalat, J. W., "정서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8

      13 Hessen, "인식론" 서광사 2016

      14 안수현, "이성, 정서, 느낌의 관계" 5 : 55-86, 2008

      15 월간미술, "세계미술 용어사전" 월간미술 2018

      16 강영안, "생각한다는 것" 철학과 현실 136-158, 2014

      17 윤민희, "새로운 조형예술의 이해" 예경 2008

      18 김한승,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19 이은적, "미술작품 읽기(Ⅰ) - 감상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이론들에 대한 고찰" 한국미술교육학회 14 : 211-232, 2002

      20 이은적, "미술작품 읽기(2)미술, 이제는 지식의 문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13 (13): 10-303, 2002

      21 미술도서편찬연구회, "미술인명용어사전" 우람 1994

      22 김성숙, "미술교육과문화" 학지사 2007

      23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

      24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 시공아트 2010

      25 Barrett, T., "미술 창작-동시대 미술의 형식과 의미" 미진사 2017

      26 김성혜, "미술 작품의 상업적 가치와 형성 체계: 미술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30) : 99-135, 2020

      27 임정기, "미술 교수·학습 패러다임 변화와 실천을 위한 이론과 방법" 교육과학사 2014

      28 손지현, "미술 감상 비평 교육의 교수법 비교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3 (33): 1-28, 2012

      29 박선의, "디자인 사전" 미진사 2000

      30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용어대사전" 학지사 2017

      31 박윤경 ; 김미혜 ; 김병수,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교육연구소 38 (38): 27-50, 2017

      32 유영식, "교육과정 문해력" 테크빌교육 2019

      33 Lazarus, R. S., "감정과 이성" 문예출판사 2013

      34 Heidegger, "Science and the Quest for Reality" Palgrave Macmillan 70-88, 1977

      35 Eisner, E., "Handbook of the arts in qualitative research. Perspectives, methodologies, examples, and issues" 3-12, 2008

      36 Lauer, D. A., "Design basics" Cengage Learning 2011

      37 Heidegger, M., "Aesthetics" Routledge 40-45, 2017

      38 박상돈 ; 이성도,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ʼ에 관한 고찰" 한국미술교육학회 32 (32): 222-244,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