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판 Shapiro 통제 척도(K-SCI)의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hapiro Control Inven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0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Shapiro Control Inventory (SCI) originally developed by Shapiro (1993) was applied in an effort to investigate its psychometric properties. To do thi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data from 565 college and/or graduate students, completing Korean-SCI. The result of psychometric property test showed acceptable reliability and the factor structure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found to be same as the original scale. In general domains of control, the K-SCI was found to be constructed with the positive sense of control, the desire for control and the negative sense of control. As to control mode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the positive assertiveness, the positive yielding, the negative assertiveness, and the negative yielding. Th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test and incremental validity were also tested with various variances; locus of control, mindfulness, acceptance and action, depression, anxiety, and well-being related scales.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K-SCI were also discussed.
      번역하기

      In this study, a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Shapiro Control Inventory (SCI) originally developed by Shapiro (1993) was applied in an effort to investigate its psychometric properties. To do thi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wer...

      In this study, a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Shapiro Control Inventory (SCI) originally developed by Shapiro (1993) was applied in an effort to investigate its psychometric properties. To do thi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data from 565 college and/or graduate students, completing Korean-SCI. The result of psychometric property test showed acceptable reliability and the factor structure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found to be same as the original scale. In general domains of control, the K-SCI was found to be constructed with the positive sense of control, the desire for control and the negative sense of control. As to control mode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the positive assertiveness, the positive yielding, the negative assertiveness, and the negative yielding. Th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test and incremental validity were also tested with various variances; locus of control, mindfulness, acceptance and action, depression, anxiety, and well-being related scales.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K-SCI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Shapiro(1994)가 개발한 통제 척도(Shapiro Control Inventory)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심리 측정적 속성을 분석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총 559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과 문항 평가를 실시하여 한국판 Shapiro 통제 척도(K-SCI)를 구성하고, 신뢰도 분석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원 척도의 요인 구조와 동일하게, K-SCI 일반 통제 영역에서는 긍정적 통제감, 통제 욕구, 부정적 통제감의 3요인이 확인되었고, K-SCI 통제 양식에서는 긍정적 유위양식, 긍정적 무위양식, 부정적 유위양식, 그리고 부정적 무위양식의 4요인이 추출되었다. 통제 소재, 대처 양식, 마음챙김, 수용 행동, 우울, 불안, 및 안녕감 관련 척도를 사용하여 K-SCI의 수렴 및 공존 타당도와 증분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끝으로, K-SCI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Shapiro(1994)가 개발한 통제 척도(Shapiro Control Inventory)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심리 측정적 속성을 분석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총 559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

      본 연구에서는 Shapiro(1994)가 개발한 통제 척도(Shapiro Control Inventory)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심리 측정적 속성을 분석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총 559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과 문항 평가를 실시하여 한국판 Shapiro 통제 척도(K-SCI)를 구성하고, 신뢰도 분석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원 척도의 요인 구조와 동일하게, K-SCI 일반 통제 영역에서는 긍정적 통제감, 통제 욕구, 부정적 통제감의 3요인이 확인되었고, K-SCI 통제 양식에서는 긍정적 유위양식, 긍정적 무위양식, 부정적 유위양식, 그리고 부정적 무위양식의 4요인이 추출되었다. 통제 소재, 대처 양식, 마음챙김, 수용 행동, 우울, 불안, 및 안녕감 관련 척도를 사용하여 K-SCI의 수렴 및 공존 타당도와 증분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끝으로, K-SCI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문규, "통제소재⋅대처전략⋅성격특성 및 Type A⋅B가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1992

      2 안귀여루, "통제 소재에 따른 스트레스 과제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생리적 반응의 차이" 6 (6): 127-143, 2001

      3 박성현, "집중적 위빠싸나 명상의 질적분석" 18 (18): 629-650, 2006a

      4 김완석, "주관적 안녕 척도:공동생활 및 활동과의 연관" 3 (3): 61-81, 1997

      5 조명한, "정보화 사회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92통신학술연구과제 보고서" 1993

      6 김상희, "이차적 통제의 적응적 의미" 9 (9): 108-119, 1990

      7 박성현, "위빠싸나 명상,마음챙김,그리고 마음챙김을 근거로 한 심리치료" 7 (7): 83-105, 2007

      8 손원숙, "심리검사 번안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22 (22): 57-80, 2003

      9 조긍호, "문화성향과 통제 양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7 (17): 85-106, 2003

      10 정연승, "건강통제소재와 통증수용, 통증대처가 통증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615-630, 2005

      1 박문규, "통제소재⋅대처전략⋅성격특성 및 Type A⋅B가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1992

      2 안귀여루, "통제 소재에 따른 스트레스 과제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생리적 반응의 차이" 6 (6): 127-143, 2001

      3 박성현, "집중적 위빠싸나 명상의 질적분석" 18 (18): 629-650, 2006a

      4 김완석, "주관적 안녕 척도:공동생활 및 활동과의 연관" 3 (3): 61-81, 1997

      5 조명한, "정보화 사회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92통신학술연구과제 보고서" 1993

      6 김상희, "이차적 통제의 적응적 의미" 9 (9): 108-119, 1990

      7 박성현, "위빠싸나 명상,마음챙김,그리고 마음챙김을 근거로 한 심리치료" 7 (7): 83-105, 2007

      8 손원숙, "심리검사 번안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22 (22): 57-80, 2003

      9 조긍호, "문화성향과 통제 양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7 (17): 85-106, 2003

      10 정연승, "건강통제소재와 통증수용, 통증대처가 통증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615-630, 2005

      11 Lazarus,R., "The stress and coping paradigm.In C.Eisendorf,D.D.Cohen,A.Kleinman,& P.maxim(Eds.),Models for clinical psychopathology" SP Medical and Scientific Books 177-214, 1981

      12 Benson,D.R.,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of-control,trait anxiety,and behavior in a control limited environment,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nver university 1991

      13 Maddi,S., "The hardy executive:Health under stress" Dow Jones- Irwin 1984

      14 Weisz,J.R., "Standing out and standing in:The psychology of control in America and Japan" 39 : 955-969, 1984

      15 최유희,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16, 2008

      16 Strassberg,D.S., "Relationships among locus of control,anxiety,valued-goal expectations" 41 : 319-, 1973

      17 Ray,W.J., "Relation of anxiety to locus of control" 23 : 1196-, 1968

      18 Averill,J.R., "Pesonal control over avesive stimuliand its relationship to stress" 80 : 286-303, 1973

      19 Bandura,A., "Perceived self-efficacy in the exer-cise of personal agency" 10 : 411-424, 1989b

      20 Levenson,H., "Multidimensional Locus of control in psychiatric patients" 41 : 397-404, 1973

      21 White,R.W., "Motivation reconsidered:The concept of conpetence" 66 : 297-331, 1959

      22 Baer,A.R.,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10 (10): 125-143, 2003

      23 John A.Astin, "Measuring the psychological construct of control:Applications to transpersonal psychology" 29 (29): 63-72, 1997

      24 Esterline,B., "Measuring stress and control in medi-tators through trait,state,and in vivo experience sampling"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1992

      25 Shapiro,D.H., "Manual for the Shapiro control Inventory(SCI)" Behaviordata 1994

      26 Phares,E.J., "Locus of control in personality" General Learning Press 1976

      27 Lefcourt,H.M., "Locus of control as a modifi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ors and moods" 41 : 357-369, 1981

      28 Seligman,M.E.P, "Learned optimism" Knopf 1991

      29 Rotter,J.,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45 : 489-493, 1990

      30 Hambleton,R.K., "Increasing the validity of cross-cultural assessments:Use of im-proved methods for test adatations" 11 (11): 147-157, 1995

      31 Folkman,S.,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48 : 150-170, 1985

      32 Bandura,A.,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44 : 1175-1184, 1989a

      33 Wallstone,K.A.,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s.In H.Leftcourt(Ed.),Research with the locus of control construct" Academic Press 1981

      34 Ryff,C.D., "Happiness is everything,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35 Hambleton,R.K., "Guidelines for adapting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s:A progress Report" 10 (10): 229-244, 1994

      36 Rotter,J.,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80 : 1966

      37 김아영,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practice in cross-cultural test adaptation of affective measure" 22 (22): 89-113, 2003

      38 Wallstone,K.A.,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kocus of control scales" 6 (6): 160-170, 1978

      39 Shapiro,D.H., "Controlling ourselves,controlling our world:Psy-chology's role in understanding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 of seeking and gaining control" 51 : 1213-1230, 1996

      40 Deane,H.Shapiro, "Control therapy" John Wiley & Sons 1998

      41 Jensen,M.P., "Control beliefs,coping effort,and adjustment to chronic pain" 59 : 431-438, 1991

      42 Shapiro,D.H., "Control Therapy:An Integrated Approach to Psychotherapy,Health,and Healing" John Wiley & Sons 1998

      43 Meichenbaum,D.,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An intergative approach" Plenum Press 1977

      44 Rothbaum,F.M., "Child pathology and the quest for control" Sage 1989

      45 Rothbaum,F., "Chang-ing the world and changing the self:A two-process model of perceived control" 42 : 5-37, 1982

      46 Affleck,g., "Appraisals of control and predictability in adapting to a chronic disease" 53 : 273-239, 1987

      47 Hulin,C.l., "Appli-cations of item response theory to analysis of scale translations" 67 : 818-825, 1982

      48 Frank,R.G., "Adjust-ment to spinal cord injury:A review of empirical and nonempirical studies" 53 : 43-48,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1.58 1.5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