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자민원서비스(G4C)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56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G4C는 오프라인 상에서 다루어 졌던 여러 민원행정 업무 가운데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중요한 민원업무를 선정하여 온라인상에서 취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정부혁신을 위한...

      G4C는 오프라인 상에서 다루어 졌던 여러 민원행정 업무 가운데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중요한 민원업무를 선정하여 온라인상에서 취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정부혁신을 위한 11대 중점 사업 중 하나로 2001년 정부에 의해 선정된 것으로 민원업무서비스 개혁차원에서 진행이 되고 있으며, 2003년 2월 7일 오후 3시부터 전국 232개 기초자치단체별로 시행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전자민원서비스 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대내적으로는 행정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제고하고 대외적으로는 국민에게는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당초의 목표와는 달리 서비스 시행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해마다 민원신청건수의 양적인 증가현상을 보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각 시군구별로 전자민원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민원인의 질적 수준이나 만족도가 천차만별인 상황이기 때문에 정교한 정보화 성과평가는 물론이고 민원서비스를 지원하는 행정공무원의 업무량만 증대되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생기게 된 근본적 원인과 이들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활성화방안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전자정부정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처리, 서비스 보안, 그리고 사용의지 등의 변수를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민원인들로 하여금 내지는 이들이 타인에게 G4C 시스템의 사용을 권유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보안에 가장 역점을 두는 정책을 펼쳐야 하며 다음으로 민원인들이 온라인에 접근하여 원하는 민원내용을 처리하는 경우 G4C 시스템 사용이 편리하고 용어가 비교적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되어 있어야 사용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ing about what are the enhancement of the electronic civil service(G4C) in the local governments. In this study some variables were used such as the policy of e_Government, service contents, service treatment, service securities, an...

      This study is focusing about what are the enhancement of the electronic civil service(G4C) in the local governments. In this study some variables were used such as the policy of e_Government, service contents, service treatment, service securities, and the user's intention using the G4C. The two hypotheses were set up and tested for analysis through the statistical methodology such as factor analysis, ANOVA, F-test, regression(for beta test) etc. for analysis. These hypotheses were totally accepted at the level of 5%.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some implications were found. First of all, the system securities of G4C would be strongly made in order to let the users use the G4C intentionally. And next, for increasing the use of G4C, the words and formats of the civil services are easier than now, and it is handy to approach and use the G4C than any other computer system. Finally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making policy and research concerned instead of some limitation and constrai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연구목적 및 연구배경
      • II. 선행연구 탐색(전자민원서비스)
      • 1. 전자정부에 대한 개괄적 이해(의의 및 추진전략)
      • 2. 전자민원서비스(G4C)에 관한 고찰
      • 요약
      • I. 연구목적 및 연구배경
      • II. 선행연구 탐색(전자민원서비스)
      • 1. 전자정부에 대한 개괄적 이해(의의 및 추진전략)
      • 2. 전자민원서비스(G4C)에 관한 고찰
      • III. 문제점 진단을 위한 실증분석
      • 1.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 2. 통계분석기법
      • 3. 분석지표 및 가설설정
      • IV. 연구결과
      •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 가설검증 및 분석결과 나타난 특징
      • V. 맺는 말
      • 1. 연구요약 및 제언(활성화 방안)
      • 2.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삼, "지역간 정보화 격차 분석" 26 (26): 667-686, 1992

      2 행정자치부, "제3차 지역정보화촉진기본계획: 주민과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u-Life 21 기본계획"

      3 소영진, "정보화를 통한 민원행정 개선방안" 11 (11): 447-448, 1999

      4 유경희, "정보사회에서의 노인의 역할" 한국전산원 71-74, 2000

      5 오강탁, "정보 포털의 개념적 모델과 G4C 평가" 628-, 2004

      6 유홍림, "전자정부추진과정에서의 부처간 갈등" 1-5, 2005

      7 정국환, "전자정부정책의 평가, 추진전략, 추진과제" 2001

      8 한세억, "전자정부의 비판적 성찰" 29 : 73-, 2003

      9 장미, "전자정부의 민원서비스에 대한 수용태도와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3

      10 최창학, "전자정부 안정성 확보 전략" 2005

      1 김영삼, "지역간 정보화 격차 분석" 26 (26): 667-686, 1992

      2 행정자치부, "제3차 지역정보화촉진기본계획: 주민과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u-Life 21 기본계획"

      3 소영진, "정보화를 통한 민원행정 개선방안" 11 (11): 447-448, 1999

      4 유경희, "정보사회에서의 노인의 역할" 한국전산원 71-74, 2000

      5 오강탁, "정보 포털의 개념적 모델과 G4C 평가" 628-, 2004

      6 유홍림, "전자정부추진과정에서의 부처간 갈등" 1-5, 2005

      7 정국환, "전자정부정책의 평가, 추진전략, 추진과제" 2001

      8 한세억, "전자정부의 비판적 성찰" 29 : 73-, 2003

      9 장미, "전자정부의 민원서비스에 대한 수용태도와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3

      10 최창학, "전자정부 안정성 확보 전략" 2005

      11 정의영, "전자정부 민원서비스 보안 현황 및 대응방안" 5 : 2007

      12 예창근, "전자정부 단일창구를 통한 안방전자민원시대 개막" 25 (25): 27-42, 2002

      13 유명화, "장애인의 정보사회 참여" 한국전산원 77-79, 2000

      14 김태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보기술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른 정보 활용능력 및 활용행태 차이분석" 161-188, 2005

      15 장형원, "인터넷 전자민원 처리기반에서의 정보보호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2

      16 한광희, "인터넷 전자민원 위?변조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6 : 89-94, 2005

      17 문신용, "인터넷 기술과 행정서비스" 한국행정연구원 62-63, 2000

      18 이정, "인지된 거래 위험과 정부에 대한 신뢰가 전자정부 민원서비스 혁신시스템(G4C)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4

      19 한국전산원, "유비쿼터스: 새로운 희망과 도전" 한국전산원 9-34, 2005

      20 박경원,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전자민원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대 산업대학원 2006

      21 강홍렬, "유비쿼터스 논의에서 읽는 IT의 기술혁신동향. 「정보화 이슈리포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26, 2004

      22 신순식, "우리의 정보격차 해소정책 소개" 한국전산원 61-68, 2000

      23 정명주, "우리나라 정보화평가 제도변화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2005

      24 금철수, "시군구 전자민원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4

      25 채한수, "민원행정에 있어서 행정서비스의 재고방안" 7 (7): 2001

      26 김창휘, "민원행정서비스 혁신방향 연구" 탐라대학교 대학원 2002

      27 박중훈, "민원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10 (10): 2001

      28 심미경, "민원서비스 혁신(G4C) 시스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05

      29 안호근, "농어민의 정보통신서비스활용" 한국전산원 99-127, 2000

      30 임광현, "공무원의 퇴직연금급여 유형선택에 관한 연구-행동결정요인과 선택행동간의 인과관계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1991

      31 행정자치부 전자정부지원센터, "계속되는 민원혁신" 98 : 20-23, 2004

      32 O'Cass, "Web Retailing Adoption: Exploring the Nature of Internet Users Web Retailing Behavior" 10 : 81-84, 2003

      33 Lederer, Albert 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World Wide Web" 269-282. 29 : 269-282, 2000

      34 Negash, "Qualtity and Effectiveness in Web-Based Customer Support System" Information and Management 1-12, 2002

      35 Nunnally, J.C., "Psychometric Theory. 2nd Edition" McGraw-Hill 1978

      36 Ven, Van De,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 New York: The Press 1980

      37 Teo, T.S., "Intrinsic Motivation in Internet Usage" 27 : 25-37, 1999

      38 Staples, D., "Having Expectations of Information Systems Benefits That March Received Benefits: Does It Really Matter?" 40 : 115-131,

      39 Hong, Weitin, "Determination of User Acceptance of Digital Libraries" 18 (18): 97-124, 2001

      40 전자신문, "5. 10: 2, 2. 14: 2"

      41 전자신문, "3. 16: 1, 6. 17: 16, 1. 7: 6"

      42 행정안전부, "2008. 9. 1일자 보도자료"

      43 전자신문, "11. 30: 1"

      44 경향신문, "(2000). 10. 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3 1.0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