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鄕札 ‘遣’의 解讀 試考 = Decoding to the Character(遣) in Hyangch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52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說文解字』에서 추정한 한자 ‘遣’의 聲符 ‘丨’, 이 聲符를 포함한 한자(諧聲字)들, 이 한자들이 속한 ‘山’攝 三等과 四等의 한자음들(韻書의 음과 한국음) 등으로 보아, 한자 ‘遣’...

      『說文解字』에서 추정한 한자 ‘遣’의 聲符 ‘丨’, 이 聲符를 포함한 한자(諧聲字)들, 이 한자들이 속한 ‘山’攝 三等과 四等의 한자음들(韻書의 음과 한국음) 등으로 보아, 한자 ‘遣’의 신라음을 ‘곤(>견)’으로 추정하였다.
      고려의 표기체계상에서, 고려 구결은 ‘()-()’로, 고려 이두는 ‘在-遣’으로, 각각 ‘겨(ㄴ)-고(ㄴ)’의 표기체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두 ‘遣’의 음을 ‘고(ㄴ)’로 추정하였다.
      이렇게 추정한 한자 ‘遣’의 신라음(‘곤’)으로 향찰 ‘遣’을 해독한 결과, ‘去賜里遣’과 ‘次肹伊遣’의 ‘遣’들은 ‘-니’의 의미를 가진 ‘곤’으로, ‘置遣, 放敎遣, 白遣 賜立, 成遣 賜立, 云遣, 過出 知遣, 去遣 省如, 抱遣 去如’ 등의 ‘遣’들은 ‘-고는’의 의미를 가진 ‘곤’으로, ‘捨遣只, 乃遣只, 閼遣只’ 등의 ‘遣’들은 ‘只’(ㄱ) 앞의 ‘고’로, 각각 해독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ssumed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遣) in Silla, and decoded to the character(遣) in Hyangchal.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遣) in Silla is assumed to ‘kon’. The grounds of this assumption are three. First is fact that the sou...

      This study assumed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遣) in Silla, and decoded to the character(遣) in Hyangchal.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遣) in Silla is assumed to ‘kon’. The grounds of this assumption are three. First is fact that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遣) is assumed to ‘kon’, if we read the character(遣) as korean sound of the character(丨) in Seolmunhaija(說文解字). Second is fact that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遣) is assumed to ‘kon’, if we read the character(遣) as korean sound of the character(丨) in Kwangun(廣韻), Jipun(集韻) etc. Third is fact that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遣) is assumed to ‘ko(n)’ in the writing system which is a ‘kyeo(n), ko(n)’ written by Gugyeol[(), ()] and Idu(在, 遣).
      Depending on the assumed sound(‘kon’) of Chinese character(遣) in Silla, we decoded to the character(遣) in Hyangchal. The result are three. First, the Hyangchal(遣) in the words(去賜里遣, 次肹伊遣) is decoded to ‘kon’ which is a conjunctive ending corresponding to ‘-ni’(korean morpheme). Second, the Hyangchal(遣) in the words(置遣, 放敎遣, 白遣 賜立, 成遣 賜立, 云遣, 過出 知遣, 去遣 省如, 抱遣 去如) is decoded to ‘kon’ which is a conjunctive ending corresponding to ‘-konɨn’(korean morpheme). Third, the Hyangchal(遣) in the words(捨遣只, 乃遣只, 閼遣只 賜立) is decoded to ‘ko’ which is a conjunctive ending in front of ‘-k’(korean emphasis morphe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徐在克, "「獻花歌」 硏究, In 常山 李在秀博士 還曆紀念 論文集" 동간행위원회 255-269, 1972

      2 徐鍾學, "吏讀의 歷史的 硏究"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5

      3 徐鍾學, "吏讀의 文法形態 表記에 관한 歷史的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4 南豊鉉, "吏讀硏究" 태학사 2000

      5 全圭泰, "論註 鄕歌" 정음사 1976

      6 홍기문, "향가해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1956

      7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8 정열모, "향가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65

      9 황선엽, "향가에 나타나는 ‘遣’과 ‘古’에 대하여" 국어학회 39 : 3-25, 2002

      10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일지사 2001

      1 徐在克, "「獻花歌」 硏究, In 常山 李在秀博士 還曆紀念 論文集" 동간행위원회 255-269, 1972

      2 徐鍾學, "吏讀의 歷史的 硏究"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5

      3 徐鍾學, "吏讀의 文法形態 表記에 관한 歷史的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4 南豊鉉, "吏讀硏究" 태학사 2000

      5 全圭泰, "論註 鄕歌" 정음사 1976

      6 홍기문, "향가해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1956

      7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8 정열모, "향가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65

      9 황선엽, "향가에 나타나는 ‘遣’과 ‘古’에 대하여" 국어학회 39 : 3-25, 2002

      10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일지사 2001

      11 김승곤, "이두의 「遣」과 「古」의 통어기능고" 홍익대 10․11 : 77-91, 1992

      12 김선기, "옛적 노래의 새풀이: 鄕歌新釋" 보성문화사 1993

      13 김선기, "안민가" 현대문학사 148 : 278-301, 1967

      14 김선기, "쇼뚱노래" 현대문학사 151 : 291-314, 1967

      15 금하연, "성부중심 설문해자" 일월산방 2006

      16 정열모, "새로 읽은 향가" 한글학회 99 : 12-22, 1947

      17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 연구" 태학사 1997

      18 김선기, "보현가 여덟마리" 현대문학사 243 : 332-349, 1975

      19 김선기, "도둑 만난 노래" 현대문학사 177 : 308-322, 1969

      20 김선기, "누비굿 노래" 현대문학사 171 : 349-361, 1969

      21 황선엽,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 : 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2 김선기, "곶 받친 노래" 현대문학사 153 : 306-325, 1967

      23 최남희, "고대국어 형태론" 박이정 1996

      24 장윤희, "고대국어 연결어미 '-遣'과 그 변화" 구결학회 (14) : 123-146, 2005

      25 이승재, "고대 국어 형태, In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고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41-75, 1998

      26 박진호, "고대 국어 문법, In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고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27 김선기, "가고파 노래" 현대문학사 162 : 318-335, 1968

      28 李丞宰, "高麗本 華嚴經의 口訣字에 대하여" 국어학회 23 : 325-379, 1993

      29 南豊鉉, "高麗本 瑜伽師地論의 釋讀口訣에 대하여" 연세대 국학연구원 81 : 115-181, 1993

      30 李丞宰, "高麗時代의 吏讀" 태학사 1992

      31 李丞宰, "高麗時代의 吏讀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9

      32 황선엽, "願往生歌의 해독에 대하여" 구결학회 (17) : 191-225, 2006

      33 池憲英, "鄕歌麗謠新釋" 정음사 1947

      34 李丞宰, "鄕歌의 遣只賜와 舊譯仁王經의 口訣 口八二에 대하여, In 國語學의 새로운 認識과 展開" 민음사 438-456, 1990

      35 金俊榮, "鄕歌詳解" 교학사 1964

      36 金完鎭, "鄕歌解讀法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37 姜吉云, "鄕歌新解讀硏究" 학문사 1995

      38 李鐸, "鄕歌新解讀" 한글학회 116 : 3-50, 1956

      39 鄭昌一, "鄕歌新硏究" 세종출판사 1987

      40 申碩煥, "鄕歌文法形態素의 分析的 硏究 : 先語末接辭와 語末接辭를 中心으로" 啓明大學校 大學院 1986

      41 金俊榮, "鄕歌文學" 형설출판사 1979

      42 兪昌均, "鄕歌批解" 형설출판사 1994

      43 오구라(小倉進平), "鄕歌及び吏讀の硏究" 경성제국대학 1929

      44 辛兌鉉, "鄕歌の新解讀" 조선총독부 296 : 96-116, 1940

      45 申碩煥, "鄕札 「不喩仁, 將來, 頓部叱, 遣賜」에 대하여" 계명어문학회 4 : 67-87, 1988

      46 南豊鉉, "舊譯仁王經의 口訣硏究(一)"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6 : 1-68, 1976

      47 李東林, "舊譯 仁王經의 口訣解讀을 爲하여" 동국대 20 : 137-186, 1982

      48 南豊鉉, "瑜伽師地論 釋讀口訣의 硏究" 태학사 1999

      49 南豊鉉, "獻花歌의 解讀" 구결학회 24 : 5-35, 2010

      50 徐居正, "東文選, In 국역 동문선" 민문고 1478

      51 鄭喆柱, "新羅時代 吏讀의 硏究:助詞와 語尾를 中心으로" 啓明大學校 大學院 1989

      52 琴基昌, "新羅文學에 있어서의 鄕歌論" 태학사 1993

      53 徐在克, "新羅 鄕歌의 語彙 硏究" 계명대학교 출판부 1975

      54 張三植, "大漢韓辭典" 진현서관 1979

      55 梁柱東, "增訂古歌硏究" 일조각 1965

      56 鄭在永, "合部金光明經(卷三)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구결학회 3 : 113-193, 1998

      57 梁柱東, "古歌硏究" 박문서관 1942

      58 中文大辭典編纂委員會, "中文大辭典" 중국문화대학출판부 1973

      59 Karlgren. B., "中國音韻學" 일지사 1985

      60 南豊鉉, "『新釋華嚴經』 卷14의 高麗時代 釋讀口訣" 단국대 14 : 1-28, 1994

      61 남경란, "《大方廣佛華嚴經? (券35)》입?(口訣) 연구" 배달말학회 (32) : 137-159, 2003

      62 류렬, "[단행본] 향가연구" 박이정 2003

      63 박재민, "<獻花歌> 解讀 再考" 국문학회 (19) : 197-22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