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로컬크리에이터의 창업가 역량 지표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73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로컬크리에이터의 다양한 유형 중 창업가에 초점을 맞추어,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로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인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구체적인 지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11명과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 19명 등 총 30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의 역량은 ‘개인 가치관 및 태도’, ‘지식’, ‘응용’, ‘대인관계’의 4개 역량군과 13개 역량 요소, 49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개인 가치관 및 태도 역량군은 ‘창업 관련 의지 및 태도’, ‘경영 관련 태도’, ‘로컬리즘 관련 태도’의 3개 역량 요소와 11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었으며, 지식 역량군은 ‘창업 운영 관련 지식’, ‘마케팅 관련 지식’, ‘지역성과 지역자원 관련 지식’의 3개 역량 요소와 10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 었다. 응용 역량군은 ‘창업 관련 응용’, ‘운영 관련 응용’, ‘지역자원 응용’, ‘지역자원의 융·통합적 응용’의 4개 역량 요소와 16개의 세부 지표로, 대인관계 역량군은 ‘리더십’, ‘관계 형성 및 협업’, ‘지역사회 네트워킹’의 3개 역량 요소 와 12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었다. 나아가,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는 일반 창업가와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 며, 지역자원과 문화를 창의적으로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역량이 핵심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로컬크리에이 터 창업가가 단순한 경제적 가치 창출을 넘어 지역사회 발전과 지속가능성 확보, 그리고 협업을 통한 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역량 지표는 향후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의 체계적 육성과 지속 가능한 지역 기반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수립, 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로컬크리에이터의 다양한 유형 중 창업가에 초점을 맞추어,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로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인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구체...

      본 연구는 로컬크리에이터의 다양한 유형 중 창업가에 초점을 맞추어,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로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인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구체적인 지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11명과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 19명 등 총 30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의 역량은 ‘개인 가치관 및 태도’, ‘지식’, ‘응용’, ‘대인관계’의 4개 역량군과 13개 역량 요소, 49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개인 가치관 및 태도 역량군은 ‘창업 관련 의지 및 태도’, ‘경영 관련 태도’, ‘로컬리즘 관련 태도’의 3개 역량 요소와 11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었으며, 지식 역량군은 ‘창업 운영 관련 지식’, ‘마케팅 관련 지식’, ‘지역성과 지역자원 관련 지식’의 3개 역량 요소와 10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 었다. 응용 역량군은 ‘창업 관련 응용’, ‘운영 관련 응용’, ‘지역자원 응용’, ‘지역자원의 융·통합적 응용’의 4개 역량 요소와 16개의 세부 지표로, 대인관계 역량군은 ‘리더십’, ‘관계 형성 및 협업’, ‘지역사회 네트워킹’의 3개 역량 요소 와 12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었다. 나아가,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는 일반 창업가와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 며, 지역자원과 문화를 창의적으로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역량이 핵심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로컬크리에이 터 창업가가 단순한 경제적 가치 창출을 넘어 지역사회 발전과 지속가능성 확보, 그리고 협업을 통한 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역량 지표는 향후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의 체계적 육성과 지속 가능한 지역 기반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수립, 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entrepreneurs among the various types of local creators, aiming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local creator entrepreneurs and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s for support to relevant stakeholders. To this end, a three-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0 participants, including 11 experts and 19 local creator entrepreneu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petencies of local creator entrepreneurs consist of four competency domains—personal values and attitudes, knowledge, appl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encompassing 13 competency elements and 49 sub-indicators. Local creator entrepreneurs posses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general entrepreneurs, with key competencies identified as the creative utilization of local resources and culture and the ability to coexist and collabor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cal creator entrepreneurs can contribute not only to economic value creation, but also to regional development, sustainability, and the dissemination of shared value through collabor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entrepreneurs among the various types of local creators, aiming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local creator entrepreneurs and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s for support to relevant stakeholders. To...

      This study focuses on entrepreneurs among the various types of local creators, aiming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local creator entrepreneurs and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s for support to relevant stakeholders. To this end, a three-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0 participants, including 11 experts and 19 local creator entrepreneu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petencies of local creator entrepreneurs consist of four competency domains—personal values and attitudes, knowledge, appl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encompassing 13 competency elements and 49 sub-indicators. Local creator entrepreneurs posses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general entrepreneurs, with key competencies identified as the creative utilization of local resources and culture and the ability to coexist and collabor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cal creator entrepreneurs can contribute not only to economic value creation, but also to regional development, sustainability, and the dissemination of shared value through collabo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
      • 2. 창업가 역량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
      • 2. 창업가 역량
      • 3. 로컬크리에이터 창업가 역량 지표 구성
      • Ⅲ. 연구방법
      • 1. 델파이 전문가 패널 구성
      • 2. 연구 절차
      • 3. 통계분석 및 안정도 평가 방법
      • Ⅳ. 분석 결과
      • 1. 1차 델파이 설문 결과
      • 2. 2차 델파이 설문 결과
      • 3. 3차 델파이 설문 결과
      • 4. 소결 및 논의
      • Ⅴ.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