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末 嶺南 知識人의 文에 대한 認識 -晩醒 朴致馥과 俛宇 郭鍾錫의 文學論爭을 중심으로- = The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by Young-Nam(嶺南) Intellectuals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pute between ‘Gwan-Tao[貫道;Thread the Tao on a literature]’ and ‘Jae-Tao[載道;Load a literature with the Tao]’ happened by Gwak, Jong-Seok(郭鍾錫) between Park, Chi-Bok(朴致馥). Gwak, Jong-Seok insisted on the theory of ‘Gwan-Tao’. On the contrary, Park, Chi-Bok insisted on the theory of ‘Jae-Tao’.
      The superficial reason of this dispute is caused by their difference of viewpoint of literature. But the inside reason of this dispute is caused by their difference of thought that they had at the viewpoint of learning and practice. Park, Chi-Bok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theory of ‘Jae-Tao’. On the contrary, Gwak, Jong-Seok insisted on the theory of ‘Gwan-Tao’, that he had interpreted newly. Park, Chi-Bok compromised the ‘Tao-hak(道學)’ of Young-Nam(嶺南) between the ‘Shil-Hak(實學)’ of Geun-Gi(近畿). Gwak, Jong-Seok was thorough to the ‘Ju-Lee-Ron-Geok Lee-Hak(主理論的 理學)’. Park, Chi-Bok regarded Tao as the practice of Sung-Lee-Hak-Geok proposition(性理學的 命題). And he insisted that the literature should be the vehicle of Tao. Gwak, Jong-Seok regarded the literature(文) as the process of the pursuit of Tao. So he thought that the substance of Tao formed a perfect whole into Illie[一理;the only one principle], and the practical use of Tao responded to the whole things(萬事萬物). Therefore, the literature is the object for the pursuit of Tao(道) that passes through Illie[一理;the only one principle] with a perfect form in a whole. So this dispute is on the prolongation line of learning dispute.
      번역하기

      The Dispute between ‘Gwan-Tao[貫道;Thread the Tao on a literature]’ and ‘Jae-Tao[載道;Load a literature with the Tao]’ happened by Gwak, Jong-Seok(郭鍾錫) between Park, Chi-Bok(朴致馥). Gwak, Jong-Seok insisted on the theory of ‘Gw...

      The Dispute between ‘Gwan-Tao[貫道;Thread the Tao on a literature]’ and ‘Jae-Tao[載道;Load a literature with the Tao]’ happened by Gwak, Jong-Seok(郭鍾錫) between Park, Chi-Bok(朴致馥). Gwak, Jong-Seok insisted on the theory of ‘Gwan-Tao’. On the contrary, Park, Chi-Bok insisted on the theory of ‘Jae-Tao’.
      The superficial reason of this dispute is caused by their difference of viewpoint of literature. But the inside reason of this dispute is caused by their difference of thought that they had at the viewpoint of learning and practice. Park, Chi-Bok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theory of ‘Jae-Tao’. On the contrary, Gwak, Jong-Seok insisted on the theory of ‘Gwan-Tao’, that he had interpreted newly. Park, Chi-Bok compromised the ‘Tao-hak(道學)’ of Young-Nam(嶺南) between the ‘Shil-Hak(實學)’ of Geun-Gi(近畿). Gwak, Jong-Seok was thorough to the ‘Ju-Lee-Ron-Geok Lee-Hak(主理論的 理學)’. Park, Chi-Bok regarded Tao as the practice of Sung-Lee-Hak-Geok proposition(性理學的 命題). And he insisted that the literature should be the vehicle of Tao. Gwak, Jong-Seok regarded the literature(文) as the process of the pursuit of Tao. So he thought that the substance of Tao formed a perfect whole into Illie[一理;the only one principle], and the practical use of Tao responded to the whole things(萬事萬物). Therefore, the literature is the object for the pursuit of Tao(道) that passes through Illie[一理;the only one principle] with a perfect form in a whole. So this dispute is on the prolongation line of learning dispu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곽종석과 박치복 사이의 貫道載道論爭은 논쟁을 촉발한 쪽이 곽종석이었고 거기에 대응했던 쪽이 박치복이었다. 그러므로 논쟁은 곽종석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논쟁은 문면의 이면에 흐르는 두 사람의 학문적 기반과 토대의 상이함에서 오는 미묘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박치복은 주희의 道本文末의 재도론에 입각하여, 道는 主敬의 涵養을 바탕으로 하여 格物·致知·誠意·正心의 절목을 실천하고, 그 속에서 優柔厭飫한 意思를 실제로 체험함이라 전제하고, 이러한 경지에 이른 이후에야 作文의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박치복에게 文은 道를 싣는 器일 뿐이며, 道는 性理에 밝음이며, 性理에 밝음은 主敬의 함양공부에 格致誠正의 조목의 실천과 優柔厭飫한 意思의 체험이 더해져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에게 文이란 성리학적 명제와 실천적 체험공부로써 재해석된 道를 싣는 器였다. 반면 곽종석은 文의 효용과 가치에 대해 긍정하며, 문학의 본질에 대해 문학작품이 단순히 한이 가의 내면세계를 알게 해 줄 뿐 아니라, 그 시대 정치의 治亂得失과 사회의 문화나 분위기를 알게 해주는 治윖 실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즉 조人論世와 移風易俗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어야 진정한 문학이라고 본 것이다. 그리고 存養省察과 學問講究와 常行以謹과 凡事以理가 축적되어 부득이하여 말에 드러나고 자연스럽게 읊조릴 때 平澹하고 淳樸한 美感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文을 진정한 學問으로서의 道를 실천함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는 또 다른 求道의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즉 곽종석의 貫道論은 성리학적 명제와 방법론으로 전일하게 재해석한 것이었다. 논쟁의 본질적인 의미는 곽종석이 박치복에게 ‘渾然한 一理’로써 萬事에 ‘泛應曲當’하라는 강력한 권유에서 찾을 수 있다. 비록 박치복이 재도론으로써 도와 문의 관계양상을 파악하여 道文一致를 말할지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道와 文을 형이상과 형이하로 구분되는 二物로 보는 것이니, 道의 본체인 ‘一理’로써 文을 꿴다고 하여야 박치복의 입론도 정합성을 가질 뿐 아니라 理學의 본연적 학문자세에도 부합된다는 자신의 주장을 권유한 것이다. 이는 主理論的 理學에 더욱 깊이 침잠했던 곽종석의 입장에서 영남의 理學과 근기의 實學을 절충하여 兼全하려는 박치복의 입장이 순수하게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 논쟁을 촉발하였음을 의미한다. 표면적으로는 문학에 관한 관점의 차이로 보이지만, 이면에는 자신들의 學問的 所從來에 기반을 둔 학문 방법론의 논쟁이었다. 또한 당대의 巨擘으로서 耳順에 가까운 나이까지 科業을 포기하지 않았던 박치복이 功令文에 능통했던 것에 대해 곽종석은 불만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번역하기

      곽종석과 박치복 사이의 貫道載道論爭은 논쟁을 촉발한 쪽이 곽종석이었고 거기에 대응했던 쪽이 박치복이었다. 그러므로 논쟁은 곽종석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논쟁은 문면...

      곽종석과 박치복 사이의 貫道載道論爭은 논쟁을 촉발한 쪽이 곽종석이었고 거기에 대응했던 쪽이 박치복이었다. 그러므로 논쟁은 곽종석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논쟁은 문면의 이면에 흐르는 두 사람의 학문적 기반과 토대의 상이함에서 오는 미묘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박치복은 주희의 道本文末의 재도론에 입각하여, 道는 主敬의 涵養을 바탕으로 하여 格物·致知·誠意·正心의 절목을 실천하고, 그 속에서 優柔厭飫한 意思를 실제로 체험함이라 전제하고, 이러한 경지에 이른 이후에야 作文의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박치복에게 文은 道를 싣는 器일 뿐이며, 道는 性理에 밝음이며, 性理에 밝음은 主敬의 함양공부에 格致誠正의 조목의 실천과 優柔厭飫한 意思의 체험이 더해져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에게 文이란 성리학적 명제와 실천적 체험공부로써 재해석된 道를 싣는 器였다. 반면 곽종석은 文의 효용과 가치에 대해 긍정하며, 문학의 본질에 대해 문학작품이 단순히 한이 가의 내면세계를 알게 해 줄 뿐 아니라, 그 시대 정치의 治亂得失과 사회의 문화나 분위기를 알게 해주는 治윖 실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즉 조人論世와 移風易俗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어야 진정한 문학이라고 본 것이다. 그리고 存養省察과 學問講究와 常行以謹과 凡事以理가 축적되어 부득이하여 말에 드러나고 자연스럽게 읊조릴 때 平澹하고 淳樸한 美感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文을 진정한 學問으로서의 道를 실천함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는 또 다른 求道의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즉 곽종석의 貫道論은 성리학적 명제와 방법론으로 전일하게 재해석한 것이었다. 논쟁의 본질적인 의미는 곽종석이 박치복에게 ‘渾然한 一理’로써 萬事에 ‘泛應曲當’하라는 강력한 권유에서 찾을 수 있다. 비록 박치복이 재도론으로써 도와 문의 관계양상을 파악하여 道文一致를 말할지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道와 文을 형이상과 형이하로 구분되는 二物로 보는 것이니, 道의 본체인 ‘一理’로써 文을 꿴다고 하여야 박치복의 입론도 정합성을 가질 뿐 아니라 理學의 본연적 학문자세에도 부합된다는 자신의 주장을 권유한 것이다. 이는 主理論的 理學에 더욱 깊이 침잠했던 곽종석의 입장에서 영남의 理學과 근기의 實學을 절충하여 兼全하려는 박치복의 입장이 순수하게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 논쟁을 촉발하였음을 의미한다. 표면적으로는 문학에 관한 관점의 차이로 보이지만, 이면에는 자신들의 學問的 所從來에 기반을 둔 학문 방법론의 논쟁이었다. 또한 당대의 巨擘으로서 耳順에 가까운 나이까지 科業을 포기하지 않았던 박치복이 功令文에 능통했던 것에 대해 곽종석은 불만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韓愈, "韓昌黎文集校注" 상해고적출판사 1998

      2 李東歡, "韓國文學硏究入門" 지식산업사 1982

      3 趙東一, "韓國文學思想史試論" 지식산업사 1978

      4 周敦頤, "通書, 文辭, 性理大全, 文淵閣四庫全書ㆍ電子版(CD롬), 상해인민출판사"

      5 李獻慶, "艮翁先生文集 권19" 민족문화추진회 234 : 1999

      6 朱熹, "朱子語類 권139" 중화서국 1983

      7 朴致馥, "晩醒先生文集" 경인문화사 1994

      8 윤호진, "晩醒 朴致馥의 文學觀과 그의 詩世界" 경남문화연구원 (23) : 139-183, 2007

      9 郭鍾錫, "俛宇先生文集" 민족문화추진회 2004

      10 김동준, "俛宇 郭鍾錫의 漢詩에 부조된 智異山의 形象" 경남문화연구원 (27) : 133-163, 2009

      1 韓愈, "韓昌黎文集校注" 상해고적출판사 1998

      2 李東歡, "韓國文學硏究入門" 지식산업사 1982

      3 趙東一, "韓國文學思想史試論" 지식산업사 1978

      4 周敦頤, "通書, 文辭, 性理大全, 文淵閣四庫全書ㆍ電子版(CD롬), 상해인민출판사"

      5 李獻慶, "艮翁先生文集 권19" 민족문화추진회 234 : 1999

      6 朱熹, "朱子語類 권139" 중화서국 1983

      7 朴致馥, "晩醒先生文集" 경인문화사 1994

      8 윤호진, "晩醒 朴致馥의 文學觀과 그의 詩世界" 경남문화연구원 (23) : 139-183, 2007

      9 郭鍾錫, "俛宇先生文集" 민족문화추진회 2004

      10 김동준, "俛宇 郭鍾錫의 漢詩에 부조된 智異山의 形象" 경남문화연구원 (27) : 133-163, 2009

      11 박우훈, "俛宇 郭鍾錫의 傳에 對하여" 경남문화연구원 (27) : 165-205,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