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사 관측 자료에 의한 남한의 태양복사 시공간 분포 =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Solar Radiation with Surface Pyranometer Data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61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solar radiation in South Korea. Solar radiation data is observed every minute at 22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tations using pyranometer from January 2000 to August 200...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solar radiation in South Korea. Solar radiation data is observed every minute at 22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tations using pyranometer from January 2000 to August 2007. These data were calibrated using intensive comparative observation and solar radiation model.
      Intensive comparative observations are accomplished at 22 KMA stations between KNU (Kangnung (Gangneung-Wonju)National University) standard and station instruments during the month of August 2007. The solar radiation of a clear sky mainly is affected by precipitable water, solar altitude and geological height. Also old (raw) data is corrected by the solar radiation model only about clear day and is revised based on the temporal trend of instrument’s sensitivity decrease. At all periods and all stations, differences between raw data (13.31 MJ/day) and corrected data (13.75 MJ/day) are 0.44 MJ/day. 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is calculated with seasonal and annual mean, and is the relationship with cloud amount is analyzed. The corrected data show a better consistency with the cloud amount than the old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남한지역의 시·공간 태양복사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다. 2000년 1월부터 2007년 8월 까지 1분 간격으로 저장된 기상청 관할 22개 관측소의 전천일사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일...

      이 연구는 남한지역의 시·공간 태양복사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다. 2000년 1월부터 2007년 8월 까지 1분 간격으로 저장된 기상청 관할 22개 관측소의 전천일사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일사량 관측자료는 시간에 대하여변화하는 일사계 감도정수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비교관측 결과와 태양복사 모델을 이용하여 보정을 하였다. 보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강릉대학교 전천일사계를 22개 관측소의 일사계와 2007년 8월 동안 비교 관측을 하였다.
      과거자료는 맑은 날에 대하여 태양복사 모형을 이용하여 시간에 대해 감소하는 일사계의 감도정수를 토대로 보정하였다. 모든 지점 및 모든 기간에 대한 평균은 13.31 MJ/day이며 보정을 통하여 13.75 MJ/day가 되어 0.44 MJ/day의 차이가 나타났다. 보정된 자료로 계절평균 및 연평균 태양복사 분포를 계산하였으며 전운량, 오존전량, 에어로솔 광학 두께, 지표면 알베도, 가강수량과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전운량 자료를 보정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과거(원시)자료보다 일관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부경온, "한반도 일조시간과 일사관측자료의 공간 상관성 분석" 1 : 33-41, 2005

      2 조덕기, "품질관리시스템을 활용한 태양에너지자원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데이터 오류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7 (27): 19-28, 2007

      3 산업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자원조사·종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 산업자원부 161-, 2006

      4 조덕기, "국내 태양에너지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평가 및 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5 (25): 11-18, 2005

      5 WMO, "WMO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681-, 2008

      6 Leckner, B, "The Spectral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at the Earth's Surface Elements of a Model" 20 : 143-150, 1978

      7 민희경, "Sunphotometer 관측을 통한 서울 지역 대기 중 파장별 에어러솔 광학 깊이의 특성 : Cloud Screening Algorithm(CSA) 적용" 한국기상학회 38 (38): 25-38, 2002

      8 Bird, R.E, "Simple solar spectral model for direct and diffuse irradiance on horizontal and tilted planes at the Earth's surface for cloudless atmospheres" 25 : 87-97, 1986

      9 Lowry, D.A, "Relationships between integrated atmospheric moisture and surface weather" 8 : 762-768, 1969

      10 Paltridge, G.W, "Radiative Processes in Meteorology and Climatology" American Elsevier 318-, 1976

      1 부경온, "한반도 일조시간과 일사관측자료의 공간 상관성 분석" 1 : 33-41, 2005

      2 조덕기, "품질관리시스템을 활용한 태양에너지자원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데이터 오류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7 (27): 19-28, 2007

      3 산업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자원조사·종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 산업자원부 161-, 2006

      4 조덕기, "국내 태양에너지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평가 및 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5 (25): 11-18, 2005

      5 WMO, "WMO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681-, 2008

      6 Leckner, B, "The Spectral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at the Earth's Surface Elements of a Model" 20 : 143-150, 1978

      7 민희경, "Sunphotometer 관측을 통한 서울 지역 대기 중 파장별 에어러솔 광학 깊이의 특성 : Cloud Screening Algorithm(CSA) 적용" 한국기상학회 38 (38): 25-38, 2002

      8 Bird, R.E, "Simple solar spectral model for direct and diffuse irradiance on horizontal and tilted planes at the Earth's surface for cloudless atmospheres" 25 : 87-97, 1986

      9 Lowry, D.A, "Relationships between integrated atmospheric moisture and surface weather" 8 : 762-768, 1969

      10 Paltridge, G.W, "Radiative Processes in Meteorology and Climatology" American Elsevier 318-, 1976

      11 Liou, K.-N, "Radiation and cloud processes in the atmosphere" Oxford University Press 487-, 1992

      12 하지현, "MWR 관측치와 비교를 통한 GPS 가강수량 정밀도 검증" 한국기상학회 17 (17): 291-298, 2007

      13 Hann, J.V, "Lehrbuch der Meteotulogie Vienna, S" Hirzel 171-, 1906

      14 Jensen, M.E, "Evapotranspiration and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ASCE Manuals and Report on Engineering Practice" American Society Civil Engineers 322-, 1990

      15 Deblonde G, "Evaluation of GPS precipitable water over canada and the IGS network" 44 : 153-166, 2005

      16 Vigroux, E, "Contribution a l'etude experimentale de l’absorption de l’ozone" 8 : 709-762, 1953

      17 Choudhury, B.J, "Comparison of two models relating precipitable water to surface humidity using globally distributed radiosonde data over land surfaces" 16 : 663-675, 1996

      18 Smirnov, A, "Cloud screening and quality control algorithms for the AERONET database" 73 : 337-349, 2000

      19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 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96-, 2007

      20 Ohmura, A, "Baseline Surface Radiation Network (BSRN/WRMC), a new precision radiometry for climate research" 79 : 2115-2136, 1998

      21 Kneizys, F.X, "Atmospheric Transmittance/ Radiance: Computer Code LOWTRAN5" 228-, 1980

      22 Iqbal, M, "An introduction to solar radiation" Academic Press 390-, 1983

      23 Chou, M.-D, "A solar radiation parameterization for atmospheric studies" 40-, 1999

      24 Bird, R.E, "A simple spectral model for direct normal and diffuse horizontal irradiance" 1 : 13-21, 1984

      25 Kasten, F, "A new table and approximate formula for relative optical air mass" B14 : 206-223, 1966

      26 Barker, H.W, "A Parameterization for computing grid-averaged solar fluxes for inhomogeneous marine boundary layer clouds. Part I: Methodology and homo- geneous biases" 53 : 2289-2303,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90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