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소영, "한국어 발달특성과 학령전기 문법형태소" 한국어학회 31 : 31-46, 2006
2 배소영, "한국 아동의 이야기 산출 연구(1)" 1 : 34-67, 1996
3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 서울장애인 복지관 2003
4 김정아,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5 김정아,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6 최성규, "장애아동 언어지도" 한국언어치료학회 2001
7 권요한,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시그마프레스 2011
8 김주환,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 3-5세 아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9 김영태,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3
10 한수진, "상황중심 이야기 꾸미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구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1
1 배소영, "한국어 발달특성과 학령전기 문법형태소" 한국어학회 31 : 31-46, 2006
2 배소영, "한국 아동의 이야기 산출 연구(1)" 1 : 34-67, 1996
3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 서울장애인 복지관 2003
4 김정아,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5 김정아,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6 최성규, "장애아동 언어지도" 한국언어치료학회 2001
7 권요한,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시그마프레스 2011
8 김주환,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 3-5세 아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9 김영태,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3
10 한수진, "상황중심 이야기 꾸미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구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1
11 백주희, "문장따라말하기 활동을 이용한 복문지도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구문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12 주영민, "문장 언어 구성 능력의 발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3 김정희,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학습이 발달장애 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14 황은순,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에 기초한 유치원 문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읽기·쓰기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5 강성숙, "균형적 언어 접근 프로그램이 유아의문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187-207, 2007
16 송혜경, "균형 있는 문해 프로그램이 청각장애학생의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17 이옥섭, "균형 있는 문해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쓰기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8 배소영, "구문의미이해력 검사" 서울장애인복지관 2004
19 박주혜, "경도지적장애아동의 관계절 내포문 이해 : 첨가위치, 병행기능 단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20 김지혜, "경도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격조사 사용 특성 및 격조사 사용 교수의 효과성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21 최차숙,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상위언어능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 (14): 147-159, 2009
22 Cunningham, P. M., "The four blocks: A balanced framework for literacy in primary classrooms in teaching every child everyday. Learning in diverse schools and classrooms" Brookline Books 1998
23 Holdaway, D., "The foundation of literacy" Heinemann 1979
24 Hakes, D. T., "The development of metalinguistic abilities in children" Springer-Verlag 1980
25 Reutzel, D., "Teacher children to read" Prentice-Hall, Ins 1996
26 Cromer R. F., "Receptive language in the mentally retarded: process and diagnostic dysfunction" University Park Press 1974
27 Mooney, M. E., "Reading to, with, and by children. Katonah" Richard C. Owens 1990
28 Hoover, V. L., "Program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dated balanced literacy program in kindergarten"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2006
29 Ackerman, P. T., "Phonological processes, confrontational naming, and immedite memory in dyslexia" 26 : 597-599, 1993
30 Smith, C.,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language development" 34 : 449-468, 1982
31 Kamhi, A. G., "Metalinguistic abilities in language-impairedchildren" 7 : 1-12, 1987
32 Schneider, W., "Kindergarten prevention of dyslexia: Does training in phonological awareness work for everybody?" 32 : 429-436, 1999
33 Archer, N., "Investigating the role of content in learning in read: A direct test of Goodman's model" 92 : 579-591, 2001
34 Blachman, B.,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s reading problems: Clinical applications of research in phonological awareness" 12 : 51-65, 1991
35 Bradley, L., "Categorizing sounds and learning to read-casual connection" 301 : 419-421, 1983
36 김귀숙, "3-5세 유아의 전성어미와 연결어미의 발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7 정분선, "2-5세 아동의 복문 발달에 관한 연구" 8 (8): 158-173,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