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국내 논토양 및 밭토양 중 농약유래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노출량 평가 =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Orig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Paddy and Upland Soil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0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ROCPs) in agricultural soils and crops. Agricultural soil samples and crop samples were collected from 93 cities and counties. METHODS AND RESULTS: Extraction and c...

      BACKGROUND: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ROCPs) in agricultural soils and crops. Agricultural soil samples and crop samples were collected from 93 cities and counties. METHODS AND RESULTS: Extraction and clean-up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OCPs were conducted by the modified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QuEChERS) method. Recovery and limit of detection (LOD) of ROCPs in agriculturalsoils and crops were 76.5-103.0 and 75.2-93.2%, 0.01-0.08 and $0.10-0.15{\mu}g/kg$, respectively. Detected ROCPs in agricultural soils were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and endosulfan sulfate, the residue were 2.0-12.0, 1.2-53.1, and $2.2-329.8{\mu}g/kg$, respectively. But these pesticides in all green perilla leaf and green pepper samples were not detected.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ROCPs residues in agricultural soils were not as high as crop safety threate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성, "충청지역 농업용수 중 농약 유래 POPs의 모니터링 연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8 (58): 219-294, 2015

      2 이지호, "주요 하천수역에서 검출된 농약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1)" 한국농약과학회 15 (15): 48-54, 2011

      3 박병준, "전국 논토양과 시설하우스 토양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과 환경 노출성" 한국농약과학회 15 (15): 134-139, 2011

      4 임성진, "딸기 시설재배지 토양 및 농산물 중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잔류량 – 유기염소계 농약" 한국환경농학회 35 (35): 6-14, 2016

      5 임성진, "들깨 생산단지 시설재배지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 잔류량 조사" 한국농약과학회 20 (20): 221-227, 2016

      6 임성진, "국내에 사용되어 금지된 유기염소계 농약류의 다중분석법과 모니터링" 한국농약과학회 20 (20): 319-325, 2016

      7 Boards, B., "Theoretical molecular descriptors relevant to the uptake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from soil by zucchini. A QSAR study" 59 (59): 2863-2869, 2011

      8 Lee, J. Y., "Drift and volatilization of some pesticides sprayed on Chinese cabbage" 16 (16): 373-381, 1997

      9 Kim, E. J., "Distribution of new Stockholm convention POPs in soils across South Korea" 476-477 : 327-335, 2014

      10 Bueno, M. R., "Assessment of spray drift from pesticide applications in soybean crops" 154 : 35-45, 2017

      1 이화성, "충청지역 농업용수 중 농약 유래 POPs의 모니터링 연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8 (58): 219-294, 2015

      2 이지호, "주요 하천수역에서 검출된 농약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1)" 한국농약과학회 15 (15): 48-54, 2011

      3 박병준, "전국 논토양과 시설하우스 토양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과 환경 노출성" 한국농약과학회 15 (15): 134-139, 2011

      4 임성진, "딸기 시설재배지 토양 및 농산물 중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잔류량 – 유기염소계 농약" 한국환경농학회 35 (35): 6-14, 2016

      5 임성진, "들깨 생산단지 시설재배지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 잔류량 조사" 한국농약과학회 20 (20): 221-227, 2016

      6 임성진, "국내에 사용되어 금지된 유기염소계 농약류의 다중분석법과 모니터링" 한국농약과학회 20 (20): 319-325, 2016

      7 Boards, B., "Theoretical molecular descriptors relevant to the uptake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from soil by zucchini. A QSAR study" 59 (59): 2863-2869, 2011

      8 Lee, J. Y., "Drift and volatilization of some pesticides sprayed on Chinese cabbage" 16 (16): 373-381, 1997

      9 Kim, E. J., "Distribution of new Stockholm convention POPs in soils across South Korea" 476-477 : 327-335, 2014

      10 Bueno, M. R., "Assessment of spray drift from pesticide applications in soybean crops" 154 : 35-45,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2 0.72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