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연결사회 인프라는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의 틀을 넘어 지식을 제공하는 기능의 시스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즉 모든 사물을 비롯하여 인간이 접할 수 있는 모든 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72919
2014
Korean
학술저널
28-36(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초연결사회 인프라는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의 틀을 넘어 지식을 제공하는 기능의 시스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즉 모든 사물을 비롯하여 인간이 접할 수 있는 모든 무...
초연결사회 인프라는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의 틀을 넘어 지식을 제공하는 기능의 시스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즉 모든 사물을 비롯하여 인간이 접할 수 있는 모든 무형의 정보, 방법 및 제반 수단까지도 초연결사회에서 독립적인 객체로서 역할을 하여 사람에게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이 요구될 것이다. 본 논문은 향후 초연결사회로 진입을 위한 IoT 환경에서 사물들과 관련된 사항들을 어떻게 지식화할 것인가에 대한 메커니즘의 기술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선행된 여러 국제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사물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지식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구체적인 분석으로, 지능적인 초연결사회 인프라를 위한 오브젝트들의 지식화를 위한 시맨틱 온톨로지 모델링, 이를 이용한 유즈케이스를 기술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