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전통 화훼장식의 디자인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Design Analysis of Traditional Flower Desig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Focused on Expression Techn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의 기술 체계는 과거로부터 현대로 그 맥이 이어졌을 것이라는 인식 아래,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화훼장식에서 디자인 형태의 유형을 추출하여 표현기법을 분석하...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의 기술 체계는 과거로부터 현대로 그 맥이 이어졌을 것이라는 인식 아래,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화훼장식에서 디자인 형태의 유형을 추출하여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현대의 전통 화훼장식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 화훼장식 작품들은 대부분 중앙 출발점에 1개 초점(1점 출발)을 주로 표현하였다. 중심가지선은 주로 1개 사용하였고, 밑받침 소재로는 주로 절엽을 사용하였다. 현대 화훼장식에서도 1개의 중앙 출발점, 잎 소재의 밑받침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조선시대와 흡사하다. 표현기법별 사용 빈도를 보면, 줄기를 그대로 노출시킨 줄기 노출 기법의 빈도가 가장 많았고, 모든 기법에서 절화와 절지가 비슷한 빈도로 사용되었다. 사용된 식물성 소재로는 꽃을 이용하는 절화와 선의 표현할 수 있는 절지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외에 깃털, 부채, 붓 등의 비식물성 소재도 장식에 이용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은 표현기법 측면에서 이미 조선시대에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높은 수준의 화훼장식품이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우리 화훼장식의 역사를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하고 역사적 전통을 살려가면서 현대의 화훼장식을 발전시켜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technological system of traditional flower design in Korea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e extracted the type of design form from the flower decor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alyzed the express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technological system of traditional flower design in Korea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e extracted the type of design form from the flower decor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alyzed the expression techniqu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 traditional flower decoration in this study. As a result, most of the flower design works of the Joseon Dynasty mainly expressed one focal point at the central starting point. One central branch line was mainly used, and cut leaves were mainly used as the base material. Similar to the Joseon Dynasty, one central starting point and a base made of leaves are mainly used In modern flower design. In the frequency of use by expression technique, the stem exposure technique was used the most, and cut flowers and cut stems were used at a similar frequency in all techniques. As plant materials, cut flowers and cut stems were mainly used. In addition, non-plant materials such as feathers, fans, and brushes were also used for decora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raditional flower decorations in Korea we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expression techniques and high-level flower design works were mad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the history of our flower designs in more diverse ways and to develop modern flower designs while preserving historical tradi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윤점, "화훼장식학" 위즈벨리 2005

      2 고하수, "한국의 꽃藝術史 Ⅰ, Ⅱ" 하수출판사 1993

      3 김혜자, "한국의 器皿折枝 梅花圖 연구" 13 (13): 1-21, 2009

      4 고하수, "한국 전통화예 : 사상과 역사" 하수출판사 2006

      5 홍훈기, "한국 전통 꽃예술의 변천과 특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6 고하수, "한국 꽃꽂이 역사" 민속원 2011

      7 박혜숙, "조선의 梅花詩" 26 : 419-449, 2000

      8 김정희, "조선시대와 현대의 화훼장식 양식의 동질성과 차이점 비교"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4

      9 한상숙, "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에서 찾아 본 전통 꽃꽂이 양식" 한국화예디자인학회 41 (41): 61-92, 2019

      10 서인화,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1 박윤점, "화훼장식학" 위즈벨리 2005

      2 고하수, "한국의 꽃藝術史 Ⅰ, Ⅱ" 하수출판사 1993

      3 김혜자, "한국의 器皿折枝 梅花圖 연구" 13 (13): 1-21, 2009

      4 고하수, "한국 전통화예 : 사상과 역사" 하수출판사 2006

      5 홍훈기, "한국 전통 꽃예술의 변천과 특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6 고하수, "한국 꽃꽂이 역사" 민속원 2011

      7 박혜숙, "조선의 梅花詩" 26 : 419-449, 2000

      8 김정희, "조선시대와 현대의 화훼장식 양식의 동질성과 차이점 비교"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4

      9 한상숙, "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에서 찾아 본 전통 꽃꽂이 양식" 한국화예디자인학회 41 (41): 61-92, 2019

      10 서인화,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11 한상숙, "조선시대 궁중 행사도의 꽃꽂이 양식" 한국화예디자인학회 (31) : 63-90, 2014

      12 장영순, "조선 후기 회화에 나타난 화예의 구도에 관한 연구: 동양사상과 연계된 왕백민 동양화 구도론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13 고하수, "전통을 이은 한국 꽃꽂이" 민속원 2012

      14 허균,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부록 한정록(閑情錄)" 민족문화추진회 1981

      15 윤영신, "사상적 배경에 의해 형성된 한국전통화예 화형의 형태에 관한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16 한상숙, "다화 양식과 그 형성에 미친 조선 전통화예의 영향"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4) : 3-23, 2011

      17 정연순, "꽃예술 이론과 실제" 아름나무 2008

      18 문영란,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을 통해 본 화예정신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5) : 35-53, 2011

      19 金良姬, "韓國 傳統 꽃꽂이의 歷史的 考察에 관한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1

      20 김혜자, "甁花三說>에 나타난 甁花에 관한 硏究" 9 : 36-51, 2006

      21 고하수, "傳統을 이어가는 한국화예" 하수출판사 2002

      22 김혜자, "『甁花史』를 통해 본 花藝的 意味"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3) : 69-91,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